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시대의 한국공예문화와 비전 = Vision of Korean craft in Digital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829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의 공예는 실용적 제작에 부가된 미적 가치라는 고전적인 개념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현대의 공예적 생산은 한 사회의 . , 지적?문화적 양상을 반영하며 그 사회가 가지고 있는 가치...

      오늘날의 공예는 실용적 제작에 부가된 미적 가치라는 고전적인 개념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현대의 공예적 생산은 한 사회의 . , 지적?문화적 양상을 반영하며 그 사회가 가지고 있는 가치체계는 물론 가치관의 변화를 추동하기도 한다. 오늘날 공예라 함은, 인간이 창조한 물건 이상으로서의 개념으로, 문화?경제?사회 등 한 사회의 가치를 반영하고 변화 시키는 수단이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연구는 선미(善美)의 융합이라는 개념으로서의 공예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상징’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개념으로 변화하는 것에 주목한다. 상징은 그것이 속한 사회의 집단의식과 전통사상, 가치관, 생활 방식의 차이에 따라 의미전달과 해석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새로운 문화를 형성하기도 한다. 특히, 하나의 공동체 안에 형성되어 있는 가치체계들을 교환함으로서, 매우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수단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의미를 담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 체계 속에서의 상징의 특성을 고찰하고, 이러한 현상과 한국공예의 현 상황을 통해 가능성 및 개선, 전개방향을 예측해 본다. 또한 문화변동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공예가 상징생산으로서의 문화 현상이 된다는 가정 하에, 상징생산을 중심으로 한 한국 공예의 문화 그리고 그에 따르는 비전을 가늠하고자 한다. 현재에 와서 생활세계는 기술 혁명으로 점점 가상과 현실이 혼재되고, 디지털이라는 코드는 그것을 뒷받침하는 가장 강력한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인간의 본래적인 삶의 형태인 아날로그적 삶을 지탱하고, 디지털이라는 가상 현실적인 경향들 사이에서 인간의 인간다움을 담보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한다. 본 연구의 단초는 디지털 혁명으로 일컬어지는 작금의 현실에서 공예에 대한 진지한 문제제기를 위한 예비적인 형태의 질문과 기초적인 대응과 모색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rafts of nowadays have a meaning more than classical concepts which is called aesthetic value added to functional manufacturing. Contemporary production of crafts reflects intellective, cultural aspects of a society, and it occasionally - also, it pu...

      Crafts of nowadays have a meaning more than classical concepts which is called aesthetic value added to functional manufacturing. Contemporary production of crafts reflects intellective, cultural aspects of a society, and it occasionally - also, it pursues and leads the value system and changes of society. Crafts of nowadays are meanings more than objects created by human, and they can be called a measure that can possibly reflect many of values in a society such as culture, economy, politics and change them. accordingly, this research focuses on crafts in change into a variety of concepts with priority given to emblems rather than those as a combination of - virtue and beauty. Symbol might have different communications and interpret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s in group consciousness, value and lifestyle that each society has had, and happened to form new culture. Especially, by exchanging value systems that are formed in a community, it is not only a very efficient measur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ut also plays a decisive role of including social meanings. In this research, features of emblems in cultural systems will be considered and through these existing conditions and current situations of Korean craft, possibilities, renovations, unfolding directions will be expected. Additionally, through the research on cultural changes, we can recognize that crafts become a cultural phenomenon as a symbolic form of production, and we are going to make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korean crafts which focuses on symbolic form of production and also its vision in accordance with it. As the time goes to the present, the fiction and reality are mixed up and exist together in the world of our current life because of technological renovation, and the code called "digital" is becoming the most powerful source that supports that sort of situation. Now the discussion is required, in my opinion, on the ways to secure humanity in the era of digital and virtual reality and to support the analog life style that is original for the human. The purpose of this study could be both the preliminary form of questions and accordingly fundamental response and search to raise questions about craft in the face of reality billed digital revolu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 Ⅱ. 본 론
      • Ⅲ. 결 론
      • ?참고문헌
      • I. 서 론
      • Ⅱ. 본 론
      • Ⅲ. 결 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