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아로니아 과즙 첨가량에 따른 젤리의 품질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86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로니아 과즙의 첨가량을 0, 3, 6, 9%로 달리하여 젤리를 제조하고 품질특성과 소비자 기호도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아로니아 과즙 첨가량을 0-9%까지 달리하여 제조한 젤리의 수분함...

      아로니아 과즙의 첨가량을 0, 3, 6, 9%로 달리하여 젤리를 제조하고 품질특성과 소비자 기호도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아로니아 과즙 첨가량을 0-9%까지 달리하여 제조한 젤리의 수분함량은 81.1-81.9%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당도의 경우는 아로니아 과즙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이는 젤리 제조시 물 대신 첨가한 아로니아 과즙에 함유된 당류에 의한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젤리의 명도(L<SUP>*</SUP>)는 아로니아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가 28.5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로니아 과즙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로니아 과즙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적색도(a<SUP>*</SUP>)는 증가한 반면에 황색도(b<SUP>*</SUP>)는 감소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아로니아 과즙 함량에 비례하여 경도와 씹힘성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부착성은 아로니아 과즙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아로니아 과즙을 6%와 9% 첨가하여 제조한 젤리에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아로니아 과즙 첨가여부 및 첨가량에 상관없이 젤리의 탄성, 응집성과 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아로니아 과즙 첨가량에 비례하여 젤리에 함유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안토시아닌 함량도 증가하였다. 아로니아 과즙을 첨가하여 제조한 젤리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대조구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아로니아 과즙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비자 기호도 평가에서는 아로니아 과즙 6%를 첨가하여 제조한 젤리의 색, 향미, 맛, 질감, 씹힘성, 전반적인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 기호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해 볼 때 아로니아 젤리 제조시 아로니아 과즙의 함량은 6%가 가장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jelly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aronia juice. Aronia juice was incorporated into jelly at concentrations of 3, 6, and 9%, based on the total wei...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jelly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aronia juice. Aronia juice was incorporated into jelly at concentrations of 3, 6, and 9%,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water. While the total water content of the jelly in different group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sugar content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aronia juice. In the chromaticity measurements, L<SUP>*</SUP> and b<SUP>*</SUP> values decreased, whereas the a<SUP>*</SUP>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aronia juice in the jelly. Further, the hardness and chewiness of je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aronia juice. On the other hand, resilience, cohesiveness, and gumminess of the jelly were nearly similar for the control and samples treated with aronia juice. The total polyphenols, flavonoids, and anthocyanin contents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increasing levels of aronia juice. In addition, the antioxidant activity measured in terms of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jelly extra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samples containing aronia juice compared to the control and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aronia juice.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sample containing 6% aronia juice was perceived to have the best color, taste, texture, chewiness, flavor, and overall accept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ronia juice may be a useful ingredient in jelly for improving its quality as well as sensory and antioxidant potenti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애정, "흑삼 농축액 첨가 수준에 따른 흑삼 젤리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3 (23): 196-202, 2010

      2 이준호, "크랜베리 농축액을 첨가한 젤리의 품질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4 (44): 1100-1103, 2015

      3 오현정, "참다래 과즙을 첨가한 젤리의 품질 특성" 한국조리학회 19 (19): 110-120, 2013

      4 문혜경, "오디 착즙액 첨가비율에 따른 젤리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8 (28): 797-804, 2012

      5 김애정, "오디 분말을 이용한 젤리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0 (20): 27-33, 2007

      6 황영란, "아로니아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및 산화방지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47 (47): 452-459, 2015

      7 이슬애, "아로니아 막걸리의 안토시아닌 안정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8 (18): 374-381, 2014

      8 황은선, "설탕 대체 당류를 첨가하여 제조한 아로니아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7 (27): 888-896, 2014

      9 최한석, "복분자주 발효과정 중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37 (37): 574-578, 2005

      10 유옥경, "복분자를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792-797, 2008

      1 김애정, "흑삼 농축액 첨가 수준에 따른 흑삼 젤리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3 (23): 196-202, 2010

      2 이준호, "크랜베리 농축액을 첨가한 젤리의 품질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4 (44): 1100-1103, 2015

      3 오현정, "참다래 과즙을 첨가한 젤리의 품질 특성" 한국조리학회 19 (19): 110-120, 2013

      4 문혜경, "오디 착즙액 첨가비율에 따른 젤리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8 (28): 797-804, 2012

      5 김애정, "오디 분말을 이용한 젤리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0 (20): 27-33, 2007

      6 황영란, "아로니아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및 산화방지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47 (47): 452-459, 2015

      7 이슬애, "아로니아 막걸리의 안토시아닌 안정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8 (18): 374-381, 2014

      8 황은선, "설탕 대체 당류를 첨가하여 제조한 아로니아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7 (27): 888-896, 2014

      9 최한석, "복분자주 발효과정 중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37 (37): 574-578, 2005

      10 유옥경, "복분자를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792-797, 2008

      11 김철암, "복분자 젤리의 제조특성 및 이화학적 성분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554-559, 2010

      12 김경희,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분말 첨가 젤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10-115, 2010

      13 손민정, "백년초 젖산 발효액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408-413, 2005

      14 성창근, "돌나물 즙을 첨가한 젤라틴 젤리의 제조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9 (39): 619-624, 2007

      15 이준호, "단호박 분말을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39-142, 2013

      16 박봉순, "다래 농축액을 이용한 어린이 간식(젤리) 제조 및 품질 평가"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3 (23): 561-568, 2013

      17 조영, "강황과 비트를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6 (26): 481-489, 2010

      18 정지숙, "감귤농축액으로 제조한 감귤젤리의 특성평가"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174-181, 2008

      19 Benvenuti S, "Polyphenols, anthocyanins, ascorbic acid,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ubus, Ribes, and Aronia" 69 : 164-169, 2004

      20 Jakobek L, "Phenolic acids, flavonols, anthocyanins and antiradical activity of “Nero”, “Viking”, “Galicianka” and wild chokeberries" 147 : 56-63, 2012

      21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69-90, 1995

      22 D’Alessandro LG, "Integrated process extraction-adsorption for selective recovery of antioxidant phenolics from Aronia melanocarpa berries" 120 : 92-101, 2013

      23 Kovacevic DB, "Influences of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grown strawberry cultivars on anthocyanins content and color in purees and low-sugar jams" 181 : 94-100, 2015

      24 Bolling BW, "Harvest date affects aronia juice polyphenols, sugars, and antioxidant activity, but not anthocyanin stability" 187 : 189-196, 2015

      25 Slimestad R, "Flavonoids from black chokeberries, Aronia melanocarpa" 18 : 61-68, 2005

      26 Wu X, "Characterization of anthocyanins and proanthocyani야ns in some cultivars of Ribes, Aronia and Sambucus and their antioxidant capacity" 52 : 7846-7856, 2004

      27 Brand M, "Aronia: Native shrubs with untapped potential" 67 : 14-25, 2010

      28 Martin DA,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ronia berry extracts in murine splenocytes" 8 : 68-75,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1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2.0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