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몽골어 정서법의 문장부호 분석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Punctuation Marks in Modern Mongolian Orthogra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10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orthography(Зөв бичгийн дүрэм)’ in the new revision of the 『Mongolian Orthography Regulation Dictionary』 published in 2018 in term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nd summarized and...

      This articl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orthography(Зөв бичгийн дүрэм)’ in the new revision of the 『Mongolian Orthography Regulation Dictionary』 published in 2018 in term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nd summarized and introduced this in order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newly revised Mongolian orthography which is newly enforced.
      For lack of space, we focused on ‘Punctuation marks to be used Mongolian script(Монгол бичигт хэрэглэх цэг цэглэл)’ corresponding to Chapters 8 of the contents of the ‘orthography(Зөв бичгийн дүрэм)’.
      Chapters 8 have not changed in terms of the contents from the previous 1983 version, but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at the subheadings are given so that some headings of each chapter and the contents of each provision can be understood at once by making the most of the beauty of editing.
      Since the specific and overall contents about the Mongolian orthography have not been introduced in Korean, it can be said that the analysis, summary, and introduction of this are of great significance not only academically, but also practically in terms of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new revision of Mongolian orthography.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in terms of providing basic data necessary for majors of Mongolian and Mongolian studies and other related schola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18년에 출판된 신 개정 『몽골어 정서법 규정 사전(Монгол хэлний зөв бичих дүрмийн журамласан толь)』의 ‘정서법(Зөв бичгийн дүрэм)’ 내용 중, 제8장 ...

      이 연구는 2018년에 출판된 신 개정 『몽골어 정서법 규정 사전(Монгол хэлний зөв бичих дүрмийн журамласан толь)』의 ‘정서법(Зөв бичгийн дүрэм)’ 내용 중, 제8장 ‘몽골문자에 사용하는 문장부호(Монгол бичигт хэрэглэх цэг цэглэл)’ 규정의 체계, 의미, 기능, 용법 등을 정리, 분석한 연구이다. 그 결과 제8장 역시 기존의 1983년본과 비교해 내용 면에서 크게 달라진 점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근 현대인의 눈에 익숙한 글자 모양과 글꼴 크기 조정 등 편집상의 변화, ‘몽골 문자 규범(1983)’에서 규정했던 따옴표 „ ”가 ‘정서법(2018)’에서는 큰따옴표 " "(“ ”) 형태로 개정된 점 등만이 조금 달라졌다고 할 수 있다.
      몽골어와 한국어, 양 언어 모두 물음표, 느낌표 등과 같은 일부 문장부호는 사용에 있어서 특별히 차이 나는 독특한 항목이나 규정은 찾아볼 수 없다. 다만 한국어 규정의 경우 몽골어 규정보다 상대적으로 자세한 해설과 함께 그 용례를 들고 있으며, 몽골어의 경우 해설 부분이 다소 소략한 감이 없지 않아 있다. 앞으로 좀 더 자세한 해설의 보충과 용례 제시가 필요해 보인다.
      한편, 문장부호와 관련한 여러 조항에서 볼 수 있듯이 양 언어 모두 서로 유사하게 쓰이고 있는 조항도 많지만, 각국 언어의 표기 특성상 차이가 나는 부분도 상당수 존재한다. 하나의 예로 몽골어에서는 이름을 표시할 때 성에 해당하는 앞부분의 이름을 줄여서 마침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한국어의 경우 성 다음에 마침표 등을 사용해 이름을 표시하는 경우는 없다.
      몽골어 ‘정서법(2018)’ 규정을 ‘몽골 문자 규범(1983)’에서 그대로 가져와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 당시의 사회적 환경을 반영한 예문이 대부분이다. 2018년 현재 몽골은 자유민주주의 국가이지만 정서법의 많은 예문은 옛 사회주의 색채를 띠고 있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현대 자유민주주의, 자본주의, 시장경제 사회의 급속한 시대적 사회상을 반영한 예문들로 조속한 개정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분명한 수정이 필요한 규정 항목 부분임에도 전혀 수정을 가하지 않고, 예전 1983년본과 똑같이 옮겨서 규정하고 있다는 점, 따라서 급속한 현대 사회의 언어, 어문 생활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등은 크게 잘못된 점이라 여겨진다. 급속한 사회 변화에 발맞춘 현대 몽골인의 언어, 어문 생활을 반영하는 구체적이고 세밀한 정서법이 여러 번의 개정 과정을 거치게 되더라도 조속히 개정되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국어원, "홑화살괄호"

      2 김기성, "현대몽골어 정서법에 대한 해석과 논평 - '탈락모음 규범', '경음·연음부호 규범', '의미부 정서 규범'을 중심으로 -" 한국몽골학회 (59) : 113-135, 2019

      3 김기성, "현대몽골어 정서법에 대하여 - ‘몽골문자 규범’, ‘약화모음 규범’을 중심으로-" 한국몽골학회 (58) : 129-156, 2019

      4 김기성, "현대몽골어 정서법 구성에 대한 분석연구 – 정서법(2018)의 ‘음절, 단어 넘김 규범’, ‘첨사, 후치사 정서 규범’을 중심으로 –" 동양학연구원 (86) : 59-72, 2022

      5 국립국어원, "큰따옴표"

      6 국립국어원, "중괄호"

      7 국립국어원, "줄표"

      8 위키백과, "줄표"

      9 국립국어원, "줄임표"

      10 국립국어원, "작은따옴표"

      1 국립국어원, "홑화살괄호"

      2 김기성, "현대몽골어 정서법에 대한 해석과 논평 - '탈락모음 규범', '경음·연음부호 규범', '의미부 정서 규범'을 중심으로 -" 한국몽골학회 (59) : 113-135, 2019

      3 김기성, "현대몽골어 정서법에 대하여 - ‘몽골문자 규범’, ‘약화모음 규범’을 중심으로-" 한국몽골학회 (58) : 129-156, 2019

      4 김기성, "현대몽골어 정서법 구성에 대한 분석연구 – 정서법(2018)의 ‘음절, 단어 넘김 규범’, ‘첨사, 후치사 정서 규범’을 중심으로 –" 동양학연구원 (86) : 59-72, 2022

      5 국립국어원, "큰따옴표"

      6 국립국어원, "중괄호"

      7 국립국어원, "줄표"

      8 위키백과, "줄표"

      9 국립국어원, "줄임표"

      10 국립국어원, "작은따옴표"

      11 국립국어원, "쌍점"

      12 네이버 지식백과, "쌍반점"

      13 위키백과, "쌍반점"

      14 국립국어원, "쌍반점"

      15 국립국어원, "쉼표"

      16 국립국어원, "소괄호"

      17 위키백과, "붙임표"

      18 국립국어원, "붙임표"

      19 국립국어원, "물음표"

      20 국립국어원, "문장부호"

      21 국립국어원, "마침표"

      22 위키백과, "따옴표"

      23 국립국어원, "대괄호"

      24 이승후, "국어 문장부호에 관하여" 한국국어교육학회 62 : 157-167, 2001

      25 위키백과, "괄호"

      26 국립국어원, "겹화살괄호"

      27 Ц.Дамдинсүрэн, "Монгол үсгийн дүрмийн толь" БНМАУ Ардын боловсролыняамны сурах бичиг сэтгүүлийн нэгдсэн редакцын газар 1983

      28 Хэлний бодлогын үндэсний зөвлөл, "Монгол бичигт хэрэглэх цэг цэглэл"

      29 ОЮУНЫ АЙРАГ, "МОНГОЛ ХЭЛЭНД ЦЭГ, ТАСЛАЛ, ТЭМДГИЙГ ХЭРХЭН АШИГЛАХТУХАЙ"

      30 Ядамын Сэндэрмаа, "Кириллээр зөв бичихэд суралцахуй" “Тод үсэг” хэвлэх үйлдвэр 2011

      31 Х.Далхажав, "Зөв бичих зүйн толь бичиг" БНМАУ Ардын боловсролыняамны хэвлэл 1974

      32 Ц. Оюун, "Зөв бичих дүрмийн тогтолцоот хураамж-2" 2012

      33 Хэлний бодлогын үндэсний зөвлөл, "Зөв бичгийн дүрэм"

      34 Rita Kullmann, "Mongolian Grammar" Jensco Ltd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KAFMS -> KAM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Mongolian Studies -> TKAFM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3 0.50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