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동기시대 조기설정 재고 = Reconsidering the initial phase of the Korean Bronze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3274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청동기시대 조기설정 연구는 전환과정을 설명하는 연구와 별도로, 고고학적 자료를 시공간적으로 이해한다는 측면에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조기에 문화사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

      청동기시대 조기설정 연구는 전환과정을 설명하는 연구와 별도로, 고고학적 자료를 시공간적으로 이해한다는 측면에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조기에 문화사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신석기시대 후말기부터 청동기시대 전기까지 조망하며 전환과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농경을 통해 전환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면, 농경민의 이주배경과 토착민의 대응이라는 한반도 내외적 상황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청동기시대 조기의 내용을 재검토하여 수정하면서 고고자료상에서 전기문화와의 차이점을 재확인하였다. 그리고 기후변화, 지역관계, 농경지 확보와 인구불균형 등의 복합적 계기로 농경민이 한반도로 이주하였다고 추정하였다. 이에 토착 신석기시대인들은 배타적 토지점유방식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농경을 선택하는 수동적인 방식이 아니라, 농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수렵채집민에서 농경민으로 전환한 것으로 보았다. 나아가서 청동기시대의 도작은 신석기시대보다 집약화되고, 토착민들은 도작에 필요한 도구제작 기술 및 벼 재배기술을 익혀야한다고 보고 도작농경으로의 시도 및 적응기간이라는 측면을 조기설정 의미로 부여하였다. 이후 본격적으로 농경사회 체제로 전환할 것을 결정한 수렵채집민은 농경에 적합한 새로운 물질문화를 만들어 가고, 결국 도작농경이 한반도 남부 전역으로 광역화되며 물질자료가 한반도화를 거쳐 확산되는 시기를 전기로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arch on the initial phase of the Korean Bronze Age has been conducted mostly in the culture-historical framework.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this phase, however, it is necessary to hold a broader temporal perspective...

      Research on the initial phase of the Korean Bronze Age has been conducted mostly in the culture-historical framework.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this phase, however, it is necessary to hold a broader temporal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the late and terminal phases of the Neolithic period and the early phase of the Bronze Age. Furthermor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transition in relation to agriculture, various social factors such as the migration of agriculturalists and the reaction of indigenous people need to be carefully considered. This study re-examines the archaeological data of the initial phase of the Bronze Age to find a considerable difference from those of the early phase. It is postulated that agriculturalists migrated to the Korean peninsula due to a web of reasons such as environmental changes, social conflicts, search for arable lands, and/or population-resource imbalance. The indigenous Neolithic population is viewed as people who actively adopted agriculture rather than being forced to accept a new subsistence strategy due the emergence of exclusive land ownership. The initial phase was a time of trial and error, which enabled people to intensify rice agriculture and master agricultural tool making. After the decision has been made by the indigenous population to make a transition to a full-fledged agricultural society, rice agriculture and the related culture spread across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temporally corresponds to the early phase of the Bronze Ag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장석, "흔암리 유형 재고 : 기원과 연대" 嶺南考古學會 28 : 35-64, 2001

      2 최대균, "호서지역 미사리유형의 전개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3 임상택, "한반도 중서부지역 빗살무늬토기문화 변동과정연구" 일지사 2008

      4 송만영, "한반도 중부지역 취락의 발전과 정치체의 성장 : 청동기시대~한성백제기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5 천선행, "한반도 무문토기문화 형성기의 중국동북지역과의 관계" 호남고고학회 48 : 5-33, 2014

      6 천선행, "한반도 돌대문 토기의 형성과 전개" 한국고고학회 57 : 61-97, 2005

      7 김재윤, "한반도 각목돌대문토기의 편년과 계보"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8 安在晧, "한국농경사회의 성립" 韓國考古學會 43 : 41-66, 2000

      9 조현종, "한국고대의 수전농업과 수리시설" 169-205, 2010

      10 이형원, "한국 청동기시대 전기 중부지역 무문토기 편년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1 김장석, "흔암리 유형 재고 : 기원과 연대" 嶺南考古學會 28 : 35-64, 2001

      2 최대균, "호서지역 미사리유형의 전개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3 임상택, "한반도 중서부지역 빗살무늬토기문화 변동과정연구" 일지사 2008

      4 송만영, "한반도 중부지역 취락의 발전과 정치체의 성장 : 청동기시대~한성백제기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5 천선행, "한반도 무문토기문화 형성기의 중국동북지역과의 관계" 호남고고학회 48 : 5-33, 2014

      6 천선행, "한반도 돌대문 토기의 형성과 전개" 한국고고학회 57 : 61-97, 2005

      7 김재윤, "한반도 각목돌대문토기의 편년과 계보"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8 安在晧, "한국농경사회의 성립" 韓國考古學會 43 : 41-66, 2000

      9 조현종, "한국고대의 수전농업과 수리시설" 169-205, 2010

      10 이형원, "한국 청동기시대 전기 중부지역 무문토기 편년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11 김장석, "한국 신석기문화 개론" 481-503, 2011

      12 안승모, "한국 남부지방 신석기시대 농경 연구의 현상과 과제" 韓國新石器學會 10 : 7-25, 2005

      13 三阪一徳, "토기제작 기술로 본 한반도 남부 신석기·청동기시대 이행기:죠몽·야요이 이행기와의 비교, In 생산과 유통" 219-247, 2012

      14 안재호, "청동기시대 취락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15 박성희, "청동기시대 조기론(早期論)에 대한 비판적 접근-돌대문토기를 중심으로" 강원고고학회 12/13 : 5-21, 2009

      16 이형원, "청동기시대 조기 설정과 송국리유형 형성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2000년대 이후 경기지역 발굴성과를 중심으로-" 중부고고학회 9 (9): 43-75, 2010

      17 고일홍, "청동기시대 전기의 농경방식 재조명 –화전농경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67 (67): 25-44, 2010

      18 정원철, "중부지역 돌대문토기의 편년 연구" 한국청동기학회 (11) : 4-29, 2012

      19 宮本一夫, "일본열도의 문명기원과 교류, In 동아시아의 문명 기원과 교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83-201, 2010

      20 이홍종, "일본 초기수전농경기의 덧띠새김무늬 토기-한반도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33 : 45-63, 1988

      21 김장석, "이주와 전파의 고고학적 구분: 시험적 모델의 제시" 한국상고사학회 38 : 1-26, 2002

      22 배진성, "압록강~청천강유역 무문토기 편년과 남한 –조기~전기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64 (64): 5-24, 2009

      23 천선행, "신석기시대후말기 이중구연토기의 지역적 전개양상" 한국상고사학회 72 (72): 5-30, 2011

      24 송은숙, "신석기시대 생계방식의 변천과 남부내륙지역 농경의 개시" 湖南考古學會 14 : 95-118, 2001

      25 李俊貞, "수렵채집경제에서 농경으로의 轉移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嶺南考古學會 28 : 1-33, 2001

      26 강병학, "서울·경기지역의 조기-전기 편년, In 청동기시대 광역편년을 위한 조기〜전기문화 편년" 韓國靑銅器學會 2012

      27 이기성, "문화사적 시기 구분으로의 무문토기시대 조기 설정 재검토" 한국상고사학회 76 (76): 5-26, 2012

      28 김장석, "무문토기시대 조기설정론 재고" 한국고고학회 (69) : 94-115, 2008

      29 천선행, "무문토기시대 조기설정과 시공적 범위" 1 : 4-27, 2007

      30 천선행, "무문토기시대 전기문화의 지역성 연구 : 중서부지방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31 천선행, "마성자문화 동굴묘 출토 토기 변천과 전개" 영남고고학회 (63) : 5-31, 2012

      32 안승모, "동아시아 정주취락과 농경출현의 상관관계" 韓國新石器學會 11 : 25-54, 2006

      33 이동주, "동삼동유적에서 나타나는 환경과 해수면 변동, In 동삼동패총의 재조명" 77-116, 2009

      34 한창균, "대천리 신석기유적 탄화곡물의 연대와 그 의미" 한국신석기학회 (28) : 41-60, 2014

      35 이형원, "남한지역 청동기시대 전기의 상한과 하한" 韓國靑銅器學會 (창간) : 28-63, 2007

      36 金炳燮, "남한지역 조·전기 무문토기 편년 및 북한지역과의 병행관계" 韓國靑銅器學會 4 : 4-25, 2009

      37 金壯錫, "남한지역 신석기-청동기시대 전환: 자료의 재검토를 통한 가설의 제시" 한국고고학회 48 : 93-124, 2002

      38 김현식, "남한 청동기시대 조기-전기의 문화사적 의미" 釜山考古學硏究會 2 : 1-34, 2008

      39 정지선, "남강유역 돌대문토기의 편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40 고민정, "남강유역 각목돌대문토기 문화와 북한지역과의 병행관계-무문토기시대 조기·전기를 중심으로, In 동북아관점에서 본 북한의 청동기시대" 韓國靑銅器學會 59-93, 2009

      41 배진영, "기후변화와 동북아시아 고고문화의 변천- 燕山 南北 지역을 중심으로 -" 동북아역사재단 (37) : 107-147, 2012

      42 공민규, "금강 중류역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의 검토" 韓國靑銅器學會 8 : 36-68, 2011

      43 천선행, "고김해만을 둘러싼 해수면변동 재고" 부산고고학연구회 (6) : 25-54, 2010

      44 황상일, "고김해만 북서지역의 Holocene 후기 환경변화와 지형발달" 한국지형학회 16 (16): 85-99, 2009

      45 최종모, "강원도 청동기문화 전개에 있어서 조기문제의 제기" 중부고고학회 9 (9): 5-30, 2010

      46 김권중, "강원 영서지역 청동기시대 조기-전기문화의 편년, In 청동기시대 광역편년을 위한 조기〜전기문화 편년" 韓國靑銅器學會 33-58, 2012

      47 庄田慎矢, "韓国青銅器時代の編年と年代" 東アジア考古学会 2007

      48 千羨幸, "韓半島と西日本の突帯文土器" 143-150, 2007

      49 安在晧, "韓半島 靑銅器時代의 時期區分" 國立中央博物館 16 : 5-56, 2010

      50 이수정, "韓半島 南部 突帶文土器文化의 成立過程"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51 金炳燮, "韓半島 中南部地域 前期 無文土器에 대한 一考察"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3

      52 庄田 愼矢, "靑銅器時代 土器燒成技法의 實證的 硏究" 호남고고학회 23 : 115-138, 2006

      53 宮本一夫, "農耕の起原を探る─イネの来た道" 吉川弘文館 2009

      54 千羨幸, "西日本における突帯文土器文化の成立過程" 日本考古学会 92 (92): 53-88, 2008

      55 安在晧, "福岡大学考古学論集" 小田富士雄先生退職記念事業会 69-98, 2004

      56 甲元眞之, "環境変化の考古学的検証, In 砂丘形成と寒冷化現象" 7-31, 2007

      57 裵眞晟, "無文土器文化의 成立과 階層社會" 서경문화사 2007

      58 최종택, "渼沙里遺跡의 住居様相과 変遷, In 마을의 고고학" 한국고고학회 97-136, 1994

      59 朴淳發, "渼沙里 類型考" 호서고고학회 (9집) : 85-112, 2003

      60 大貫靜夫, "東北アジアの考古學 第二" 1996

      61 後藤 直, "朝鮮半島初期農耕社會の研究" 同成社 51-72, 2006

      62 이창희, "放射性炭素年代測定法의 原理와 活用(II) –考古學的 活用과 適用事例–" 한국고고학회 (81) : 269-291, 2011

      63 이희진, "土壤分析을 통해 본 韓半島 初期 水田農耕의 일면" 한국고고학회 (82) : 84-113, 2012

      64 배진성, "可樂洞式土器의 初現과 系統" 부산고고학연구회 (11) : 1-27, 2012

      65 岡田憲一, "二重口縁土器と孔列土器" 九州古文化研究会 55 : 1-46, 2006

      66 박영구, "中部地域 突帶文土器文化의 展開樣相 -江原嶺西地域을 中心으로-" 한국상고사학회 75 (75): 25-55,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6 2.001 0.6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