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麗水 竹圃里 古墳 = The Jookpo-ri tomb of Yeosoo, Jeollanam-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3274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여수 죽포리 고분은 여수반도 동남쪽에 위치한 돌산도에 있다. 현지주민들에 의해 조산으로 불리고 있을 뿐 고분으로 소개된 바 없다. 현재 고분 위에는 7그루의 나무가 자라고 있고 주변을 ...

      여수 죽포리 고분은 여수반도 동남쪽에 위치한 돌산도에 있다. 현지주민들에 의해 조산으로 불리고 있을 뿐 고분으로 소개된 바 없다. 현재 고분 위에는 7그루의 나무가 자라고 있고 주변을 조경석이 감싸고 있어 얼핏 보면 나무들을 둘러싼 돌둔덕처럼 보이며, 정상부는 평탄면을 이루고 있어 주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GPS광파측량기를 이용하여 측량을 실시한 결과, 동-서 27.3m, 남-북 24m, 높이 5.6m로서 동-서가 남-북보다 약간 더 길지만 원래 직경 28m 정도의 원형에 가까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전남 해안지역에서는 흔히 왜계고분이라 일컬어지는 5세기대 고분들이 조사되면서 그 피장자와 축조배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여수 죽포리 고분도 비슷한 성격을 가진 것으로 보이는데 아마도 5세기대의 연안항로와 관련된 것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고대 한국과 일본을 잇는 전통적인 항로는 『삼국지』 위서 동이전 왜인전에 기록된 항로로서, 낙랑·대방군-한국-구야한국-쓰시마-이키-큐슈로 이어지는 연안 항로이다. 그 이후의 항로에 대해서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지만 전남 해안지역에서 조사되는 자료들을 보면 5세기대에는 기존 항로와 다른 새로운 항로가 개척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기록에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백제에서 왜로 연결되는 5세기대 항로는 가야나 신라의 방해로 인해 경남 해안을 거쳐가는 기존 항로와는 다른 항로가 이용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여수 죽포리 고분은 고흥-여수-고성일대에 이르러 더 이상 동쪽으로 진행하지 않고 남쪽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을 암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五島列島에서 출토된 유공광구소호, 장경소호, 직구소호 등 영산강유역권과 상통하는 유물들은 이를 방증해 준다. 여수 죽포리 고분의 정확한 규모와 성격은 향후 발굴조사를 통해 밝혀질 것이지만 그동안 전남 해안·도서지역을 중심으로 조사되었던 유사한 고분들을 감안하여 보면, 그 주인공은 백제와 왜를 연결하는 항로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던 인물일 것으로 추정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Jookpo-ri tomb is situated in Yeosoo, Jeollanam-do. It is known to the local population as “Josan” but has not been introduced as an ancient tomb. Presently, there are seven large trees and a few surrounding boulders on the top of the mound, w...

      The Jookpo-ri tomb is situated in Yeosoo, Jeollanam-do. It is known to the local population as “Josan” but has not been introduced as an ancient tomb. Presently, there are seven large trees and a few surrounding boulders on the top of the mound, which make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mound as a tomb. The tomb currently measures 27.3m on the east-west axis, 24m on the north-south axis, and 5.6m high. The original shape is assumed to have been semi-spherical and approximately 28m long and 6m high.Recently, a few ancient tombs dated to the 5th century AD, called “Japanese-type tombs,” have been discovered or excavated along the southern coast of Jeollanam-do. These discoveries have led to scholarly efforts to understand who was interred in the tombs and what the historical circumstance of their construction was. The Jookpo-ri tomb has many features that are similar to those of the so-called Japanese-type tombs of the southern coast. The interred individual was presumably involved in maritime transportation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The traditional oceanic transportation route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is documented in the Samgukji and forms a line that connects Lolang, Hangook, Gooyahangook, Tsushima, Ikey, and Kyushu. The transportation route of later periods is unfortunately not recorded in ancient texts. Archaeological remains, such as the Jookpo-ri tomb of Yeosoo, suggest that a new sea route existed from the Yeosoo area to the Goto islan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榮文, "麗水市 鳳溪洞 支石墓" 全南大學校博物館 1990

      2 李順葉, "麗水 美坪洞 평지 出土 土器類" 순천대학교박물관 (創刊) : 71-90, 1999

      3 崔仁善, "麗水 美坪洞 죽림 支石墓" 順天大學校博物館 1998

      4 林永珍, "麗水 美坪洞 陽地 遺蹟" 全南大學校博物館 1998

      5 李榮文, "麗水 積良洞 상적 支石墓" 全南大學校博物館 1993

      6 崔仁善, "麗水 禾長洞 禾山, 月下洞 支石墓" 順天大學校博物館 2000

      7 李榮文, "麗水 五林洞 支石墓" 全南大學校博物館 1992

      8 李榮文, "麗川市 平呂洞 산본 支石墓" 全南大學校博物館 1993

      9 임영진, "영산강유역권 왜계고분의 피장자와 ‘임나일본부’" 부경역사연구소 (35) : 225-256, 2014

      10 지건길, "여천 월내동 고인돌" 국립광주박물관 1992

      1 李榮文, "麗水市 鳳溪洞 支石墓" 全南大學校博物館 1990

      2 李順葉, "麗水 美坪洞 평지 出土 土器類" 순천대학교박물관 (創刊) : 71-90, 1999

      3 崔仁善, "麗水 美坪洞 죽림 支石墓" 順天大學校博物館 1998

      4 林永珍, "麗水 美坪洞 陽地 遺蹟" 全南大學校博物館 1998

      5 李榮文, "麗水 積良洞 상적 支石墓" 全南大學校博物館 1993

      6 崔仁善, "麗水 禾長洞 禾山, 月下洞 支石墓" 順天大學校博物館 2000

      7 李榮文, "麗水 五林洞 支石墓" 全南大學校博物館 1992

      8 李榮文, "麗川市 平呂洞 산본 支石墓" 全南大學校博物館 1993

      9 임영진, "영산강유역권 왜계고분의 피장자와 ‘임나일본부’" 부경역사연구소 (35) : 225-256, 2014

      10 지건길, "여천 월내동 고인돌" 국립광주박물관 1992

      11 조선대학교박물관, "여수시의 문화유적" 2000

      12 朴美羅, "여수 마산, 화동 유적" 麗水市, 馬韓文化硏究院 2009

      13 朴美羅, "여수 마산, 화동 유적" 馬韓文化硏究院 2009

      14 동신대학교박물관, "안좌면 읍동고분 및 배널리고분 발굴조사 회의자료"

      15 한국고고학회, "삼국시대 남해안지역의 문화상과 교류" 2011

      16 최성락, "무안 송현리유적" 목포대학교박물관 2011

      17 돌산읍지발간추진위원회, "돌산읍지" 여수지역사회연구소 2000

      18 연민수, "고대한일관계사" 도서출판 혜안 1998

      19 임영진, "고고학 자료로 본 5~6세기 서남해 항로의 일면, In 바다와 섬, 소통과 교류 그리고 지속가능성"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130-137, 2013

      20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高興 野幕古墳" 2014

      21 永珍, "高興 吉頭里 雁洞古墳 試掘調査 槪報" 湖南文化財硏究院 7 : 205-215, 2007

      22 지건길, "突山松島Ⅰ" 국립광주박물관 1989

      23 趙現鐘, "突山 世救地 遺蹟" 國立光州博物館 1994

      24 임영진, "百濟의 建築과 土木" 忠淸南道歷史文化硏究院 352-398, 2007

      25 順天大學校博物館, "文化遺蹟分布地圖-麗水市-" 2003

      26 趙現鐘, "安島貝塚" 國立光州博物館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6 2.001 0.6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