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사회 평생교육의 현황 및 발전방안 : 구리시·남양주시 평생교육시설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al Administration Plan for the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0491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 지식기반사회로의 본격 진입이 이루어지고, 노동시장 내 불확실성의 증대로 여성들의 취업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참여욕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기업체의 근무형태도 주 5일 ...

      21세기 지식기반사회로의 본격 진입이 이루어지고, 노동시장 내 불확실성의 증대로 여성들의 취업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참여욕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기업체의 근무형태도 주 5일 근무제로 바뀌게 됨에 따라 여가시간의 증대와 함께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각 자치단체, 사업장 부설 평생교육시설, 대학교 등에서 다양한 평생교육 활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고,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는 '평생교육의 장(場)'으로서 지역사회에서 가지는 의미가 점점 커지고 있는 현실이다. 일상생활의 거점인 지역사회는 언제, 어디서든 지역주민이 자기에게 가장 적합한 방법을 활용하여 필요한 학습활동에 용이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평생학습권을 지원해야 한다. 실제로 평생교육을 체험하게 되는 지역사회는 학습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주된 원천이고 학습공동체의 주된 장으로서 평생교육의 시작과 끝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평생교육의 중요성과 역할이 점점 커지고 있는 현실에서 평생교육의 활성화의 성패는 지역 평생교육의 활성화에 달려 있다고 보고,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 및 능력개발과 사회참여 확대를 지원하는 지역사회 평생교육시설(구리시·남양주시의 대표적인 평생교육 시설 4개를 선정)의 현황을 분석하고, 운영상 문제점을 도출하여 다양한 평생교육시설간 네트워크 방안과 기관의 공공성과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관점에서 그 발전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보고서, 문헌연구, 심층면담, 인터넷 활용, 선진 외국의 사례조사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기관별 운영 프로그램의 검토 결과 정해진 동일한 계층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획일적이고 중복된 비슷한 수준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 지역적으로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독창적인 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일한 프로그램의 중복운영으로 인한 교육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평생교육 기관별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교육 프로그램의 특화와 다양화를 추구해야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서 기관별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대상의 특화가 필요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평생교육 환경에 부응하는 새로운 전문영역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평생교육 기회의 확대를 위한 야간제, 주말제, 원격수업 등 교육운영 제도의 다양화가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평생학습은 결코 한 기관에서 수행할 수 있는 성격이 아니므로 다양한 기관들에 의해 역할분담을 통한 형태로 추진되어야 한다. 지역평생교육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간의 합리적인 역할분담을 통해서 실용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지역 평생교육기관의 운영 분석 결과 대부분 기관에 따라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자원 활용의 공유도가 거의 없고, 프로그램의 중복투자로 인한 운영의 비효율성 및 지역 평생교육 기관간에 연계가 되고 있지 않는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역 평생교육기관들은 기관별 뿐 아니라 유형별, 지역별, 교육대상별(학생, 성인, 노인)등에 따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중복된 사업을 피하고, 인력과 기술을 공유하면서 지역주민에게 다양한 평생학습의 기회 및 정보를 신속히 제공해야 한다. 그 중심체 역할로서 지역 평생학습관이 거점이 되어 지역 교육정보를 위한 지역 협의체를 구성하고 각 분야별 인적자원, 물적자원, 프로그램 DB구축을 통해 지역평생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지역 특성에 맞는 평생교육 기회를 지역주민에게 제공해야 한다.
      넷째, 지역 주민들이 지역 평생교육 정보에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의 평생교육 시설 및 평생학습 정보를 통합 안내하고, 프로그램, 강사 등을 지역별, 분야별로 검색할 수 있는 공동 홈페이지를 제작, 운영하여 언제, 어디서든 평생교육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지역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주기적으로 학습자들의 교육욕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체계적인 평가 시스템을 통한 프로그램 질 관리에 힘써야 한다. 또한 평생교육을 담당하는 평생교육 종사자의 전문화 신장을 위해 정기적인 교육의 실시와 함께 지역 평생교육기관 관련 전문가들은 그 필요성을 공동 인식해야 한다.
      여섯째, 주요 외국 선진국의 평생학습도시 사례를 살펴본 결과 지역사회의 평생교육은 지역주민의 평생학습에 대한 공동인식과 함께 지역주도 및 다양성의 원리, 분야별 상호 연계·협조의 원리, 특히 '위로부터의 지원'과 '아래로부터의 적극적인 활동'이 함께 이루어질 때 성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1century, the Knowledge-Based Society comes over and the variable requisition of society participation including the women's adoption of profession has been increasing because of the enlargement of unreliability in the Labor Market. Besides, since...

      In 21century, the Knowledge-Based Society comes over and the variable requisition of society participation including the women's adoption of profession has been increasing because of the enlargement of unreliability in the Labor Market. Besides, since the working system of many enterprises has changed into the five days work, there has been increasing the necessities of the continuing education and the enlargement of leisure time.
      Because of the rapid change, the several self governments, an establishment's annex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universities have been extending the variety of activities related to the continuing education. As well, nowadays the importance of a local community as the center of continuing education is increasing more and more.
      The local community, a stronghold of daily life, should make the local residents to use the methods appropriate to themselves and to participate the needful learning activities. Also, it has to offer them the opportunity of the continuing education as well as the right of continuing learning.
      Actually, The local community which is the field experiencing of the continuing education is a main fountain head for a learning society and a major field of a learning community that is the begin and the end of the continuing education.
      Accordingly, nowadays there has been enlarging the importance and the role of the continuing education in the local society. And success and failure of activation of the continuing education depends on that in the local societ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administration plan of the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in local communities in the point of view to make the local residents to rise the quality of life, develop their abilities and increase the participation in society, and to examine the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of the local community, especially in Guri city and Namyangju city, and to lead the problems in administration for increasing the various network system among the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and the efficacy and publicity of them.
      To achieve this purpose of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a study paper, literature research, depth interview, practical use of internet, case study of foreign advanced countries and so on.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of the administration program according to each self-government body, it reveals that their creative efforts for the activation of the continuing education are not enough because of managing the program which un-inform and over lapped for the learner of same class.
      Accordingly, we should prevent the waste of education resources for the duplicate managing of same program and seek for the specialization and the variety of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ensure the competitive power relating the continuing education according to each self-government body. It is necessary to specialize the education program and the education subjects as the plan for these things. Also, it calls for developing the new professional program appropriate to the circumstances of the continuing education that is changing rapidly.
      As well, it needs to examine the variety of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such as an evening school system, an weekend school system and long distance , in order to enlarge the opportunity of the local continuing education and so on.
      Second, the continuing learning doesn't get accomplished through only one facilities. So, it should be made progress in various facilities by taking over a portion of a work.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ministration of the local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most facilities are managed individually and almost have no the use of resources. Also, we could know the ineffectiveness of the administration through the duplicate investment and the problem that there is no the connection among the local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The local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have to establish the network such as the those according to facilities, patterns, areas and educational subject(student, adults, the aged) by which they could escape from the overlapping business, share human strength and technology and rapidly offer the local residents the various opportunity of the continuing learning including the informations
      The local continuing study center, as a role of core, should be the operation base to compose the local committee for the education information and to offer the local residents the opportunity of the continuing education in order to activate the local continuing education through constructing human support, physical support and DB program.
      Forth, we should offer the local residents the information concerning the continuing education by manufacturing and administrating the joint homepage that could search each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informations, programs and instructors according to the area and the field.
      Fifth,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local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we should regularly invest and analyze the learner's desires of education, and develop the program to satisfy their wants, and do our best in managing the quality of program through the systematic evaluation system.
      Also, the continuing education related professionals should acknowledge the necessity of regular education so as to extend the speciality of workers charging the continuing education.
      Six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amples related to the continuing learning city in the major foreign advanced countries, we know the facts that it will be successful when the continuing education of the local community walks abreast with the common acknowledge concerning the continuing learning of local residents, the taking the initiative of the local community, the principle of variety and network according to each field, especially the active operation down to up and so 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ⅴ
      • ABSTRACT = ⅰ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내용 = 3
      • 목차 = ⅴ
      • ABSTRACT = ⅰ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내용 = 3
      • 3. 연구방법 = 4
      • 4. 연구의 제한점 = 5
      • Ⅱ. 이론적 배경 = 6
      • 1. 지역사회 평생교육의 개념과 중요성 = 6
      • 2. 외국의 지역사회 평생교육 동향 = 14
      • 3. 평생교육법에 의한 평생교육기관 = 30
      • Ⅲ.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 운영실태 및 문제점 = 37
      • 1. 평생교육기관 선정 및 조사지역 특징 = 37
      • 2. 사업장 부설 평생교육시설 - LG백화점 문화센터 = 38
      • 3. 여성 평생교육 관련 시설 여성회관 = 44
      • 4. 구리사회복지관(평생학습관) = 50
      • 5. 구리시ㆍ남양주시 주민자치센터 = 56
      • 6. 조사지역 평생교육시설의 현황 및 문제점 종합 = 61
      • Ⅳ. 지역사회 평생교육의 발전방안 = 67
      • 1. 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특성화와 다양화 추구 = 68
      • 2. 평생교육기관간 분야별 네트워크 구축 = 70
      • 3. 지역 평생학습관의 역할강화 = 73
      • 4.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의 지원 = 74
      • 5. 평생학습의 질 관리와 교육 담당자(평생교육사) 전문성 신장 = 75
      • Ⅴ. 요약 및 결론 = 77
      • 참고문헌 = 81
      • 국문초록 = 85
      • 설문지 = 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