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급성하벽심근경색에서 전흉부유도 ST절 하강의 의의 =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in Acute Inferior Myocardial Infar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565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급성하벽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심전도상 흔히 동반되는 전흉부유도 ST절 하강의 의의를 알아보았다. 방법 : 심근경색후 24시간에서 48시간에 얻은 심전도를 기준으로 52명의 급성하벽...

      목적 : 급성하벽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심전도상 흔히 동반되는 전흉부유도 ST절 하강의 의의를 알아보았다.
      방법 : 심근경색후 24시간에서 48시간에 얻은 심전도를 기준으로 52명의 급성하벽심근경색증 환자를 전흉부유도에서 ST절의 하강이 있는 군과 없는 군으로 나누었으며 심도자, 관상동맥조영술, 심초음파도 및 방사성 핵종을 이용한 좌심구혈율 측정 등을 시행하였다.
      결과 :
      1) 좌심실확장기말압은 전흉부유도에서 ST절의 하강이 있는 경우에서 16.9±5.33mmHg로 없는 경우의 11.0±4.02mmHg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러나 운동량 및 좌심구혈을은 흥부 유도상 ST절의 하강이 있는 경우 7.6±3.0 METs 및 53.9±9.1%로 없는 경우의 9.1±2.7 METs 및 54.6±9.5%보다 낮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80, p=0.823).
      2) 관상동맥조영술상 전흉부 ST절의 하강이 동반된 군에서는 유의한 좌전하행지나 좌회선지의 협착이 있는 경우가 60.9% 및 57.9%로 ST절의 하강이 없는 군에서의 34.5% 및 7.7%와 비교해 좌관상동맥에 협착이 동반된 경우가 많았다(p=0.050, p=0.001).
      3) 관상동맥조영술상 세 혈관질환의 빈도는 흉부유도상 ST절의 하강을 보인 23예에서 10예로 ST절 하강이 없었던 29예중 2예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았고(P=0.007), 단 혈관질환의 빈도는 ST절의 하강을 보인 군에서 23예중 5예로 ST절 하강이 없었던 29예중 17예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다(P=0.002). 두 혈관질환의 경우에는 각각 8예와 10예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흉부유도상 ST절 하강의 빈도는 단 혈관질환 22예 중 5예에서, 두 혈관질환 18예중 8예, 세 혈관질환 12예 중 10예에서 관찰되어 협착이 있는 관상동맥의 수가 많을수록 ST절의 하강이 나타나는 빈도가 많음을 보였다(p=0.00308). 그러나 흉부유도상 나타난 ST절의 하강을 모두 합하여 구한 ST절 하강의 합은 협착이 있는 관상동맥의 수와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5) 심초음파도상 좌심실 하벽의 벽운동은 ST절 하강을 보인 군에서는 akinesia가 83.3%, hypokinesia가 11.1%, 정상 벽운동이 5.6%로, ST절 하강이 없었던 군에서의 dyskinesia가 3.6%, akinesia가 39.3%, hypokinesia가 25.0%, 정상 벽운동이 32.1%와 비교하여 ST절의 하강이 있는 군에서 유의하게 벽운동의 장애가 빈번함을 보였다(p=0.03891). 그러나 좌심실전벽, 측벽 및 중격부위에서는 유의한 벽운동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급성하벽심근경색증 환자의 전흉부유도에서 ST절의 하강이 동반되는 경우 다혈관 질환의 가능성이 높으며 좌심실확장기말압이 상승되었고 운동능력은 감소되어 있었다. 또한 심초음파도상 좌심실하벽의 벽운동장애도 심하였다. 따라서 전흉부 ST절의 하강을 동반한 급성하벽심근경색증 환자는 전흉부유도에 ST절 하강이 없는 경우보다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생각되며,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appearing during acute inferior myocardial infarction and to assess the correlation of that with angiographic finding. 52 patients were allocated into two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appearing during acute inferior myocardial infarction and to assess the correlation of that with angiographic finding. 52 patients were allocat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existence of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 23 patients with ST segment depression and 29 patients without ST segment depression.
      The ext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as well as the prevalence of significant stenosis (≥70%) in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were more frequent in patients showing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than in patients not showing them (p=0.050) and the result were similar in cases of left circumplex artery (p=0.001). On echocrdiographic examination of left ventricular (LV) wall motion, it showed more severely decreased inferior LV wall motion in patients showing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than in patients not showing them (p=0.03891) even though the other segment of LV wall motion didn't show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The other cardiac parameters such as LVEDP, exercise amount (METs) and ejection fraction were tend to showing bad profile in patients with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From the above results, we could deduce that patients with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have relatively large infarction or concomitant left coronary artery disease, so they need more caution and intensive theraph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