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빛과 그림자’ 프로젝트를 통한 유아의 그림자 개념 변화 = The Change of Young Children s Shadow Conception in the Light and Shadow Proj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373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빛과 그림자’ 프로젝트를 통하여 유아들의 그림자에 대한 개념 변화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N구에 소재한 S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세 14명을 대상으로 2016년...

      본 연구는 ‘빛과 그림자’ 프로젝트를 통하여 유아들의 그림자에 대한 개념 변화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N구에 소재한 S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세 14명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31일부터 12월 16일까지 빛과 그림자 프로젝트를 18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빛과 그림자 프로젝트 과정을 수행하면서 사물과 그림자의 관계를 이해하게 되었고, 빛의 반대편에 생기는 그림자의 방향에 대한 이해와 빛과 사물의 거리에 따른 그림자 크기변화에 대한 이해가 나타났으며 빛의 통과와 그림자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에 기초한 빛과 그림자 활동은 유아들의 그림자 개념변화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그림자에 관한 유아 교수방법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and analyze the changing process of the young children s shadow conception in the course of light and shadow projec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 young children, aged three years, attending S child car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and analyze the changing process of the young children s shadow conception in the course of light and shadow projec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 young children, aged three years, attending S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N Gu. This study was implemented from Oct. 31. 2016 to Dec. 16. 201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Young children showed more improvement in knowledg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 and shadow, the shadow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light, the shadow size along the distance of light and object.
      And young children became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ssage of light and shadow.
      Consid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roject approach based light and shadow activity is a useful way to the young children s shadow education. This study pursue to supply groundwork which is helpful to plan teaching by understanding young children s shadow concep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Ⅵ.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Ⅵ.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영숙, "프로젝트 중심 : 방과후 아동지도" 양서원 1998

      2 한경희, "프로젝트 접근법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아동학회 25 (25): 131-152, 2004

      3 지옥정, "프로젝트 접근법 : 교사를 위한 실행 지침서" 창지사 1995

      4 허은영, "초등학생의 빛과 그림자에 대한 개념 이해 수준 조사" 30 : 151-172, 2005

      5 형우성, "초등학생의 그림자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6 박소연, "초등학생들의 빛과 그림자에 대한 개념 조사" 초등교육연구원 25 (25): 111-126, 2014

      7 구성혜, "초등학교 아동들의 빛과 그림자에 대한 개념 이해 수준 및 대안개념 : 2,4,6학년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8 김미숙, "유아의 개념변화와 상위 인지 : 빛과 그림자 개념을 중심으로" 2 (2): 171-195, 1997

      9 Katz. L. G., "유아들의 마음 사로잡기" 이대출판부 1995

      10 노영희, "유아교육 방법에 대한 반성적 고찰: 프로젝트 접근법의 시사점"

      1 서영숙, "프로젝트 중심 : 방과후 아동지도" 양서원 1998

      2 한경희, "프로젝트 접근법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아동학회 25 (25): 131-152, 2004

      3 지옥정, "프로젝트 접근법 : 교사를 위한 실행 지침서" 창지사 1995

      4 허은영, "초등학생의 빛과 그림자에 대한 개념 이해 수준 조사" 30 : 151-172, 2005

      5 형우성, "초등학생의 그림자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6 박소연, "초등학생들의 빛과 그림자에 대한 개념 조사" 초등교육연구원 25 (25): 111-126, 2014

      7 구성혜, "초등학교 아동들의 빛과 그림자에 대한 개념 이해 수준 및 대안개념 : 2,4,6학년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8 김미숙, "유아의 개념변화와 상위 인지 : 빛과 그림자 개념을 중심으로" 2 (2): 171-195, 1997

      9 Katz. L. G., "유아들의 마음 사로잡기" 이대출판부 1995

      10 노영희, "유아교육 방법에 대한 반성적 고찰: 프로젝트 접근법의 시사점"

      11 안경숙, "유아과학활동과 통합된 과학능력 평가도구의 개발 : 과학적 태도, 탐구능력, 과학적 개념에 대한 평가"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12 전명남, "유아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2

      13 김지연, "빛과 그림자 프로젝트 전개과정 관찰" 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14 채기숙, "빛과 그림자 프로젝트 전개 과정에 나타난 유아의 과학적 사고과정의 변화"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5 하방글, "빛과 그림자 과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시선이동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6 박세랑, "반성적 교수활동을 통한 만 3세 기본생활습관 형성 과정 탐색"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7 Kamii, C., "물리적 지식 활동: 피아제 이론이 암시하는 과학교육" 창지사 1990

      18 남기원, "만 3세 유아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19 김미숙, "기록화와 반영적 사고 : 유아의 빛과 그림자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3 (3): 21-51, 1998

      20 정갑순, "그림자를 통한 유아의 사고발달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7 (7): 1-26, 2003

      21 이경우,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양서원 1999

      22 김은희, "구성주의 과학교육의 그림자 활동이 유아의 그림자 개념 발달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6

      23 Merriam, B. S., "교육학에서의 질적 사례연구법" 양서원 1994

      24 윤승훈, "개미빼고는 모든 것에 그림자가 있어요?와 "그림자 프로젝트"의 비교 : 어린이 이미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5 Duckwirth, E., "“The having or wonderful ideas” and other essays on teaching and learning" Teaching College Press 1987

      26 Inhelder, B., "The growth of logical think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Basic 1958

      27 Piaget, J., "The grasp of Consciousness: Action and concept in the young child" Harvard University Press 1976

      28 Piaget, J., "The Child's Conception of Physical Causality" Little-field, Addms, and Co 1960

      29 Feher, E., "Shadows and anti-images: children's conception of light and vision. Ⅱ" 72 (72): 637-649, 1988

      30 Cameron, P. A., "Self-awareness in children: The development of shadow self-recognition" New York State University 1989

      31 DeVries, R., "Programs early education" Longman 1987

      32 Katz. L. G., "Engaing children's minds : The Project Approach" Ablex 1989

      33 Martin, D. J.,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Wadsworth/Thomson Learning 2000

      34 Yonas, A., "Development of sensitivity to information provided by cast shadow in picture" 7 : 333-341, 1978

      35 DeVries, R., "Children's conception of shadow phenomena, Genetic" 112 (112): 481-530, 1986

      36 Katz. L. G., "Approach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Merrill 209-222, 1993

      37 Mayan, M. J.,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methods: A training module for students and professionals" Institute for Qualitative Methodology 2001

      38 곽원이, "3~8세 아동의 그림자 개념 수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1.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