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우언(寓言) 및 관련 동아시아 우언 자료의 기초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first year of the study,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materials regarding Korean fables and relevant East Asian fables to have their bibliography documented and original texts of significant materials input onto computer systems. Details are as...

      In the first year of the study,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materials regarding Korean fables and relevant East Asian fables to have their bibliography documented and original texts of significant materials input onto computer systems. Details are as follows:
      1. To collate and list up the materials, the entire information was categorized into [title], [author and editor], [writing period], [number of words], [literature where the materials were released], [material information], [particulars] and story type or simple notes were added to prepare the ground for a further in-depth study later time.
      2. As for Korean fables, intensive reviews centered on the <<the Great Publication of Collection of Korean Classics or Hangukmunjipchonggan>>(360 volumes in total, 10 volumes of sequels included, photo-printed and marked with punctuations by the National Culture Promotion Association which, currently, is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o sort out fable materials. In addition, among literature collections and separate volumes of historical works that previous researches had shed light on (versions photo-printed by Kyeong In Culture Corporation, kinsfolk’s versions, handwritten copies owned by major national universities and libraries and individual collections), fables and fable collections were studied in earnest to make their bibliography.
      3. Bibliography of comparative East Asian fable materials was also made as follows: <Dispute between Confucius and a Child> widely distributed in the region; novel collection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 << Posthumous Draft Works by King Seongjong or Seongjong Yucho>> << New Publication of Eccentric Novels or Jeongisinbo >> <<Publication of New Eccentric Novels, or Sinjeongirok>>- which contained a number of Vietnamese fables; Korea’s fables of Maeryujaengchunryu type and China’s and Japan’s literary collections of Jaenggi (爭奇) in the same period; parody essays of the Edo period categorized as burlesque by Japanese scholars on literature classics; and Japanese novel < Literature on Experiences in Imaginary Foreign Countries or 假想異國遍歷體> comparable to Korea’s fables on journeys in daydreaming.
      4. For better utilization of listing results, Korean fables were subcategorized by distribution type into [those published in literature collections], [those published in newspapers and journals during the National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Period and translated fables], [different versions of same fable novels] and [those included in separate volumes]; however, this criteria was not applicable to Japanese and Vietnamese fables for whom single lists were made based on field works and study articles.

      The second year of the study saw the list of fables completed, based on which the following three separate volumes were written; [Korean Fable Literature Anthology (for prose)], [Vietnamese Fable Literature Anthology] and [Japanese Fable Literature Anthology]. [Korean Fable Literature Anthology] contains Korean and Chinese classics of significance except fable lyrics and fable novels, elaborating each work under the heads of entitling, comments, translations and notes, comparisons of the originals, sources, appreciation and analysis. In particular, 【appreciation and analysis】laid the foundation for a further study and profound appreciation of a work that translations, source text and footnotes rarely give full understandings of. There are 106 fables (2341pages) in the [Korean Fable Literature Anthology]. [Vietnamese Fable Literature Anthology]contains translations and bibliographical introductions of To Hoai’s novel collections [Animal Stories](The Adventures of Cricket and two other stories included), while the [Japanese Fable Literature Anthology] gives translations, comments and bibliographical introductions of The Most Popular of Aesop’s Fables (237 sto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1차년도에는 한국우언문학 및 관련 동아시아 우언문학 자료를 조사해 그 서지목록을 작성하고, 중요 자료의 원문을 전산 입력하였다. 세부 작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목록화 ...

      본 연구의 1차년도에는 한국우언문학 및 관련 동아시아 우언문학 자료를 조사해 그 서지목록을 작성하고, 중요 자료의 원문을 전산 입력하였다. 세부 작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목록화 방법은 [제목] [저자 및 편자] [저작시기] [字數] [수록문헌] [자료정보] [특기사항] 등의 세부항목을 두고 , 자료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종합하였고 이야기 유형이라든가 간단한 참고사항을 부기함으로써 장래의 심화된 연구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2. 한국우언의 경우 <<한국문집총간>>(총 360책, 속집10책 포함, 민족문화추진회 표점영인)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여 우언 자료들을 선별해 내었다. 또한 그 동안 연구를 통해 드러난 역대 문집 및 단행본들(경인문화사 및 문중 영인본, 주요국공립 및 대학 도서관 소장 필사본, 개인 소장본) 가운데에서도 우언에 해당되는 작품 및 작품집을 본격적으로 조사하여 위 방식대로 목록표를 작성하였다. 3. 한국우언과 관련하여 동아시아 우언문학 자료’에 대해서도 서지작업을 완성하였다. 예를 들어, 동아시아에서 광범위하게 유통된 <공자동자문답> 유형의 우언, 베트남의 우언소설을 다수 수록하고 있는 <<聖宗遺草>> <<傳奇新譜>> <<新傳奇錄>> 등과 같은 한문소설집, 한국의 梅類爭春類 우언과 동궤의 중국·일본의 爭奇文學 작품집, 일본의 고전문학 연구자들에 의해 戱作文學으로 분류되고 있는 에도(江戶)시대의 패로디 교술문학 작품군, 한국의 몽유우언류와 대비를 이루는 일본의 假想異國遍歷體 소설 등이 그것이다. 4. 목록화 작업 결과의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 한국 우언의 경우에는 수록문헌의 유통방식을 기준으로 하여 [문집소재] [애국계몽기 신문잡지 소재 및 번역 우언] [우언소설 이본] [단행본 소재] 등으로 나누었고, 일본과 베트남의 경우 현지조사와 연구서를 통해 각각 단일한 목록을 작성하였다.
      제2차 연도에는 우언목록을 완성하고 그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단행본 원고를 집필하였다. [한국우언문학 선집(산문편)] [월남 우언문학 선집] [일본 우언문학 선집]의 3책 분량이다. [한국우언문학 선집]은 우언가사와 우언소설을 제외한 한국 한문고전우언 중에서 중요 작품을 선정하여 제목 부여, 해설, 번역문과 주해, 원문 교감, 출전표시, 감상과 연구 등의 여러 항을 공통적으로 집필하였다. 특히【감상과 연구】항목을 넣어 번역과 원문 및 각주만으로는 충분치 않은 작품의 이해를 심도 있게 감상하고 또 심화된 연구를 위한 기초적 논의를 마련했다. 대상 작품의 양은 총106편이며 집필된 원고는 원고지 2,341매이다. [월남 우언문학 선집]은 또오 호아이의 소설집 [동물이야기](귀뚜라미 표류기 외 2편)를 번역하고 해제하였다. [일본우언선집]은 [통속通俗 이솝우화伊蘇普物語](총237話)를 번역하고 해석하고 해제하였다.
      한편, 본 연구팀이 최초에 계획한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
      (1) 우언(寓言)의 이론적 개념을 적용하여 한국우언의 문헌학적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물로 <한국우언 작품목록>을 작성한다.
      (2) 이를 바탕으로 대표작을 선별하고 해제, 주해, 번역 등의 가공을 거쳐 <한국우언문학 선집>을 출간한다.
      (3) 한국작품을 기준으로 삼아 동아시아 우언의 전파 소통에 관한 문헌 조사와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 <동아시아 우언 비교문학 목록>을 작성한다.
      (4) 이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우언 비교문학 선집>이나 혹은 각국의 관련 작품집을 가공하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