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단과대학별 신입생의 핵심역량 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만족도 요인 탐색: 대면과 온라인, 병행 수업상황의 비교 = Educational Satisfaction Factors Affecting the Changes in Core Competencies of Freshmen by College: Based on Face-to-face, Online, and Parallel Clas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59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personal and educational factors affect the changes in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freshmen in face-to-face, online, and parallel class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421 freshmen who ent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personal and educational factors affect the changes in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freshmen in face-to-face, online, and parallel class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421 freshmen who entered N University in the 2018-2020 school year were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competencies of N University freshmen improved the most in the face-to-face, but improved to a lesser extent than the face-to-face in the parallel, and decreased in the online classes. However, the change in core competencies was found to vary by college. While the core competencies of freshmen at the College of Engineering decreased in all classes, it at the College of Health and Welfare improved in all classes. It at the Global College of Commerce and Commerc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ace-to-face, while it increased slightly in the online and decreased in the parallel. It can be seen that at the College of Creative Arts and Culture improved more than three times in the face-to-face, and decreased in the online and parallel. Second, it was found that core competency increased when the initial value of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performance were high and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performance increased. However,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in core competencies were found to vary by college.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initial value of the curriculum and the greater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the higher the core competency. In the Global University of Commerce, it was found that increased as the quality of classes and educational performance increased. In the College of Health and Welfare, it was found that increased as the initial value of the curriculum was high and change in educational performance increased. In the College of Creative Arts and Culture, it was found that increased as the initial value of education quality and educational performance were high, and change in the educational performanc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creased.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a differentiated support strategy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ge is needed to improve the core competencies of new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면-대면 및 대면-온라인, 온라인-병행 수업상황에서 대학 신입생들의 개인적 요인과 교육적 요인이 핵심역량의 변화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

      본 연구는 대면-대면 및 대면-온라인, 온라인-병행 수업상황에서 대학 신입생들의 개인적 요인과 교육적 요인이 핵심역량의 변화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N대학교에 2018-2020학년도 입학한 신입생 2,42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1학년에서 2학년 사이의 핵심역량 변화량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대학교 신입생들의 핵심역량은 대면-대면 수업상황에서 가장 크게 향상되었고, 온라인-병행 수업상황에서는 대면-대면 수업상황에서 보다는 적지만 향상되었고, 대면-온라인 수업상황에서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핵심역량 변화량은 단과대학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과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은 모든 수업상황에서 감소한 반면, 보건의료복지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은 모든 수업상황에서 향상되었다. 글로벌상경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은 대면-대면 수업상황에서는 큰 폭으로 상승한 반면, 대면-온라인 수업상황에서는 소폭 상승하였고 온라인-병행 수업상황에서는 소폭 감소하였다. 창조문화예술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은 대면-대면 수업상황에서는 다른 단과대학의 3배 이상 향상되었고, 대면-온라인 수업상황과 온라인-병행 수업상황에서는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학교육만족도 하위영역 중에서는 교육과정 초기값과 교육성과 초기값이 높고, 교육과정 변화량과 교육성과 변화량이 증가할 때,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핵심역량 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과대학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과대학은 교육과정 초기값이 높고 교육과정 변화량이 클수록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글로벌상경대학은 수업의 질과 교육성과 변화량이 클수록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건의료복지대학은 교육과정 초기값이 높고, 교육성과 변화량이 클수록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창조문화예술대학은 교육의 질과 교육성과 초기값이 높고, 교육성과와 교육환경 변화량이 클수록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신입생들의 핵심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과대학 특성에 맞는 차별적인 지원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주,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생의 핵심역량 변화와 수업만족도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3-109, 2017

      2 김하영,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이 전공만족,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취업진로학회 11 (11): 89-113, 2021

      3 최정윤, "한국 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연구(Ⅱ)" 한국교육개발원 2008

      4 최정윤 ; 신혜숙, "한국 대학에서의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성격과 대학교육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분석: 대학 특성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31-154, 2010

      5 박성희 ; 배상확, "학습포트폴리오를 적용한 대학생의 학습역량에 대한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 (8): 159-179, 2008

      6 소경희, "학교지식의 변화요구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설계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39-59, 2006

      7 이동원 ; 허영훈 ; 정태호 ; 임용덕 ; 김호정, "팬데믹 온라인 병행 수업 시대 초·중·고 체험·동아리활동 운영 실태와 대안 탐색" 교육연구원 41 (41): 329-359, 2021

      8 이지희 ; 이상민 ; 엄정호 ; 김소린, "중학생의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 간 차와 개인 내 변화량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1 (11): 165-184, 2014

      9 김규태, "전문대학생이 지각하는 핵심역량, 교육만족도, 긍정심리자본, 고용가능성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교육연구소 22 (22): 255-278, 2016

      10 박희인 ; 구자경, "전공-적성 불일치로 인해 전공만족도가 낮은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4 (24): 173-190, 2011

      1 김은주,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생의 핵심역량 변화와 수업만족도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3-109, 2017

      2 김하영,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이 전공만족,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취업진로학회 11 (11): 89-113, 2021

      3 최정윤, "한국 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연구(Ⅱ)" 한국교육개발원 2008

      4 최정윤 ; 신혜숙, "한국 대학에서의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성격과 대학교육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분석: 대학 특성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31-154, 2010

      5 박성희 ; 배상확, "학습포트폴리오를 적용한 대학생의 학습역량에 대한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 (8): 159-179, 2008

      6 소경희, "학교지식의 변화요구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설계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39-59, 2006

      7 이동원 ; 허영훈 ; 정태호 ; 임용덕 ; 김호정, "팬데믹 온라인 병행 수업 시대 초·중·고 체험·동아리활동 운영 실태와 대안 탐색" 교육연구원 41 (41): 329-359, 2021

      8 이지희 ; 이상민 ; 엄정호 ; 김소린, "중학생의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 간 차와 개인 내 변화량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1 (11): 165-184, 2014

      9 김규태, "전문대학생이 지각하는 핵심역량, 교육만족도, 긍정심리자본, 고용가능성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교육연구소 22 (22): 255-278, 2016

      10 박희인 ; 구자경, "전공-적성 불일치로 인해 전공만족도가 낮은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4 (24): 173-190, 2011

      11 김정연 ; 이경화, "온라인 창의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 및 창의적 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교육종합연구원 13 (13): 1-31, 2015

      12 정선정, "실업자 직업훈련생의 훈련서비스 품질과 훈련만족도 및 고용가능성의 관계"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1-28, 2014

      13 진미석, "수도권 및 지방대학생 핵심역량의 격차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105-127, 2013

      14 배현주 ; 백영은,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생의 K-CESA 핵심역량 분석"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 (2): 125-143, 2017

      15 박득진 ; 정창현 ; 한민수 ; 남택근 ; 윤익현, "사회맞춤형학과 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핵심역량 및 자기주도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목포해양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해양환경안전학회 26 (26): 665-673, 2020

      16 서보람, "비서학전공 전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2016

      17 이근호,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탐색 : 교육과정, 교수 학습 및 교육평가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18 이근호,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19 이병식 ; 최정윤, "대학졸업자의 취업성과에 대한 개인 및 대학특성 영향요인 탐색: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 간 차이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6 (36): 191-215, 2009

      20 김필성, "대학의 교육과정 자율화 정착 방안에 대한 탐색"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127-137, 2019

      21 유현숙,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Ⅲ): 4년제 대학의 교수·학습 역량진단" 한국교육개발원 2015

      22 유현숙,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Ⅱ): 4년제 대학의 교수·학습 역량진단" 한국교육개발원 2014

      23 이장익 ; 김주후,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성취도 관계성에 대한 분석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227-246, 2012

      24 정재엽,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교육만족도가 학생의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예술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2 (12): 261-273, 2018

      25 최선일 ; 조무정, "대학생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장·단기 교양교육 성과분석" 인문사회 21 10 (10): 293-308, 2019

      26 조무정 ; 최선일, "대학생의 핵심역량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207-233, 2019

      27 손수경 ; 신화용 ; 박지혜,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핵심역량 유형 분류 및 특징 분석 - K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95-117, 2019

      28 신정철 ; 정지선 ; 신택수,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그 영향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287-313, 2008

      29 최정윤 ; 이병식, "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요인 탐색: 대학의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199-222, 2009

      30 이진희 ; 임성택, "대학생의 학과만족도와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한 진로성숙도의 조절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133-146, 2011

      31 백유미 ; 가신현, "대학생의 비인지적 핵심역량과 학교만족도간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65-189, 2012

      32 김은정 ; 박진주, "대학생의 비인지 역량이 학업 성취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P대학 재학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91-206, 2021

      33 남창우 ; 박영희 ; 송지희, "대학생의 계열 및 학년별 비인지적 핵심역량 차이 분석: 자기관리 역량 및 대인관계 역량을 중심으로" 대한사고개발학회 12 (12): 91-118, 2016

      34 이하원 ; 이화선,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 검사(K-CCCA)의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97-127, 2017

      35 유순규 ; 김은주,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K-CESA핵심역량, 진로정체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1-26, 2016

      36 황지원 ; 손유미 ; 백영은, "대학생들의 개인 배경변인에 따른 핵심역량 차이분석: K-CESA 진단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 (2): 107-123, 2017

      37 진미석 ; 손유미 ; 주휘정,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461-486, 2011

      38 김현우 ; 강선영, "대학생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스마트러닝기반 비교과교육의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27-35, 2018

      39 백평구, "대학생 핵심역량 수준과 대학생 개인 변인의 관계 및 특성"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349-387, 2013

      40 민춘기, "대학생 창의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 사례 및 개선 방향"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21-142, 2019

      41 김대중 ; 김소영, "대학교육에서의 핵심역량과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이해와 쟁점"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 (2): 23-45, 2017

      42 강만수 ; 박상규, "대학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 신뢰, 몰입과 학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13 (13): 129-149, 2011

      43 이길재 ; 이정미, "대학교육 만족도 및 교수학습 성과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105-127, 2015

      44 박수정 ; 송영수, "대학 특성화에 따른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19 (19): 79-107, 2016

      45 허영주, "대학 신입생의 대학전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개인 간 차이와 개인 내 변화량의 비교" 교육종합연구원 18 (18): 59-82, 2020

      46 김헌주 ; 김경미, "대학 신입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사례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6 (26): 1283-1293, 2015

      47 신소영 ; 권성연, "대학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07-132, 2013

      48 허영주, "대학 교양교육과정을 위한 역량의 재개념화-Sen의 잠재가능성 접근과 Vallance의 다양한 앎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11-39, 2017

      49 김동일 ; 오헌석 ; 송영숙 ; 고은영 ; 박상민 ; 정은혜, "대학 교수가 바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역량: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0 (10): 195-214, 2009

      50 주영주 ; 한상윤, "대졸 청년층의 대학생활 만족도 및 첫 직장만족도 관련 영향변인에 관한 연구" 교육종합연구원 13 (13): 193-212, 2015

      51 김성완, "다층모형을 활용한 대학생의 개인특성 요인 및 집단특성 요인과 대학조직 몰입과의 관계분석" 한국기업교육학회 21 (21): 143-163, 2019

      52 김덕기, "군사학전공 대학생의 공공봉사동기와 직업선택동기가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2020

      53 이애화 ; 최명숙, "국내 대학생 핵심역량과 그 진단도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0 (30): 561-588, 2014

      54 홍성연, "교양교육 영역별 성과진단 방안 연구" 657-667, 2016

      55 허영주 ; 박은숙, "교양교과목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 수강이 이공계열 대학생의 창의역량 향상에 미치는 영향 -COVID-19 이전과 이후 수업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359-372, 2021

      56 허영주, "교양과 단과대학별 전공 교과목의 PBL 적용에 따른 강의평가 및 학생역량에 있어서의 차이"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6 (6): 71-92, 2021

      57 권재기 ; 정미경, "공과대학생의 핵심역량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방법학회 26 (26): 687-716, 2014

      58 김소영 ; 김지은, "고등교육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학교참여의 영향과관련 요인 분석연구" 교육연구소 14 (14): 73-96, 2013

      59 진성희 ; 성은모, "고등교육에서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탐색 자기 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학계열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1-18, 2012

      60 조미경 ; 김미영,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업성취도가 핵심역량, 학습동기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161-170, 2018

      61 Astin, A. W., "What matters in colleges?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Jossey-Bass Publishers 1993

      62 Kirkpatrick, D. L., "Training and development hand book: A guide to human resource development" McGraw-Hill 100-120, 1976

      63 Kuh, G. D., "They shall be known by what they do: An activities-based typology of college students" 41 : 228-244, 2000

      64 Brown, R. M., "The importance of institutional image to student satisfaction and loyalty within higher education" 58 (58): 81-95, 2009

      65 이학식, "SPSS 24.0 매뉴얼" 집현재 2017

      66 Aldridge, S., "Measuring customer satisfaction in higher education" 6 (6): 197-204, 1998

      67 Smith, P., "Measuring change in psycho-social working conditions : Methodological issues to consider when data are collected at baseline and one follow-up time point" 65 (65): 299-296, 2008

      68 오철희, "Kano 모형과 Timko의 만족계수를 이용한 대학교육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 : 태권도학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2016

      69 남화성 ; 유미선, "IPP(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K대학교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5 (25): 129-157, 2018

      70 Pascarella, E., "How College Affects Students Decade of Research" Jossey- Bass 2005

      71 AAC & U., "Fulfilling the american dream: Liberal education and the future of work. Selected findings from online Ssrveys of business executives and hiring managers" Association of American Colleges and Universities 2018

      72 OECD,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DeSeCo) :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ꠓstrategy paper" OECD 2002

      73 OECD,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DeSeCo)" OECD 2003

      74 함형인, "COVID-19 상황에서 기술교사의 온·오프라인 병행수업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21 (21): 19-51, 2021

      75 Astin, A. W., "Assessment for excellence: The philosophy and practice of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MacMillan 1991

      76 이민정, "ACE사업 참여 대학의 핵심역량 및 실천전략에서의 교육적 함의" 교육연구소 18 (18): 339-364, 2017

      77 이민정, "ACE사업 참여 대학의 핵심역량 및 실천 전략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2016

      78 Barrie, S. C., "A research-based approach to generic graduate attributes policy" 23 (23): 261-275, 2004

      79 Marozzi. M., "A composite indicator dimension reduction procedure with application to university student satisfaction" 63 : 258-268, 2009

      80 Boyatzis, R. E., "A 20-year view of trying to develop emotional, social and cognitive intelligence competencies in graduate management education" 27 (27): 92-108,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12-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핵심역량교육학회 ->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Essential Skills Educ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Core Competency Education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