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농산물 산지유통의 효율화에 관한 연구 : 품목별 대표조직의 육성방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nhancing the efficiency of farm side marketing : focusing on a plan to cultivat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according to i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0725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 경영 , 2010. 2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81.4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88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건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송균석
        참고문헌: p. 84-85

      • 소장기관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농산물 산지유통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해보고, 생산농가 의 전국단위 조직화를 통해 산지유통혁신을 이루어낸 농업법인의 사례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찾아내어 농산물 산지유...

      본 연구는 농산물 산지유통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해보고, 생산농가 의 전국단위 조직화를 통해 산지유통혁신을 이루어낸 농업법인의 사례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찾아내어 농산물 산지유통의 효율화를 위한 품목별 전국대표조직 육성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농산물 시장개방의 가속화와 공급과잉, 대형소매점이 소비지시장 지배력을 확대하여 가는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는 산지가 농산물을 판매하는 방식을 전환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적기에 일관된 품질의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야 하고, 이를 위하여 농산물 생산과 산지유통이 서로 일치된 의사결정을 하여야 하는 수직적 통합거래관계를 강화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농업의 경쟁력이 생산단계의 가격 및 품질 경쟁력에서 점차 안정적 공급능력 확보, 차별화된 상품화라는 마케팅 경쟁력에 의해 결정되는 추세로 전환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정부도 산지유통의 규모화와 전문화를 위해 산지유통일반조직, 산지유통전문조직, 공동마케팅조직 등 인프라 측면의 지원과 함께 농산물 수매자금 등 운영자금을 지원하여 산지유통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산지유통의 규모는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대형유통업체에 대응하고 외국 농산물과의 차별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산지 브랜드화가 필요하나 2007년 기준 농축산물 브랜드는 6,552개로 난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산지유통의 규모화, 안정적 공급, 균질한 상품생산을 위해서는 생산자 조직화가 절실한 실정이다. 각 생산자조직을 중심으로 지역단위의 조직화가 시도되고 있으나 대형유통업체의 요구와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광역단위나 전국단위의 조직화가 품목별로 조기에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참다래유통사업단이 주축이 되어 전국의 키위 재배 농가를 조직화하여 산지유통의 규모화를 이루어낸 사례를 분석하여 농가의 조직화가 규모화로 이어지고, 규모화를 바탕으로 소비지유통의 요구를 충족하여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시사점을 찾아내었다.
      이 논문에서는 품목별 대표조직의 개념정립, 조직형태와 조직화 방향 및 대표조직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품목별대표조직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품목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생산에서 소비단계에 관여하는 모든 주체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설립한 조직으로 품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생산에서 소비단계까지 전 과정에 대한 경쟁력 제고 방안 연구, 수급조절, 품질관리, 마케팅 등 종합적 기능을 수행하는 조직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조직의 형태는 사단법인, 영농조합·농업회사 등 영리법인, 비영리법인과 영리법인(자회사) 결합모형 등 3개 모형을 제시하였다.
      대표조직의 조직화 방안으로는 기존 자조금단체 또는 농어법인을 대표조직으로 전환, 특정품목에 대해 신규 대표조직 설립, 협의회 구성에서 자조금단체로 전환하여 대표조직으로 발전하는 단계별 조직화방향을 모델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표조직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각종 정책사업의 사업자 추천권 부여, 수급안정사업 물량 배정, 유통명령·협약 제안권한 부여 등 기능과 역할 강화방안을 제시하고, 설립 초기 3년간의 회원 조직화 비용 등 운영비를 정부가 지원하고, 조직의 재정적 기반확보를 위해 자조금 사업 시행권을 대표조직에 부여하도록 하는 제도개선 방안도 제시하였다. 또한 각종 정책사업 지원체계를 지자체에서 대표조직으로 이양하는 방안과 농식품부와 대표조직의 실무 전문가를 양성하는 방안도 제시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대표조직육성에 적합한 국내외 사례를 폭넓게 조사·분석하지 못하였고, 대표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소수의 변수들만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 condition of and issues in the farm side marketing. In addition, it analyzes the cases of agricultural corporations that accomplished farm side marketing innovation through the national organization of farmhouses. Upo...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 condition of and issues in the farm side marketing. In addition, it analyzes the cases of agricultural corporations that accomplished farm side marketing innovation through the national organization of farmhouses. Upon finding points of suggestion from the success stories, it presented a plan to cultivat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according to item as a plan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farm side marketing.
      The changes in the farm side marketing environment including the acceleration of the opening of agricultural product market and oversupply and large-scale retail stores expanding their market shares in the consumption site market are demanding for a conversion into the method of local sites selling agricultural products. They are demanding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of vertically integrated transaction in which consistent quality products need to be provided at the right time and that requires the decision-making of consistent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farm side marketing. The trend is that the competitiveness of farming is gradually changing from the price and quality competitiveness in the production stage to the marketing competitiveness of assuring stable supply capability and differentiated commercialization.
      In this aspect, the government is also promoting the revitalization of farm side marketing by providing operational funds such as agricultural product procurement fund, along with the support in the infrastructure aspect such as organization specializing in farm side marketing and co-marketing organization, for the scalability and specialization of farm side marketing
      However, the scale of farm side marketing is still very insignificant. The actual circumstance is that there are 6,552 agricultural and stockbreeding products as of 2007 even though site branding is needed to respond to large-scale distribution companies and emphasize their differentiation from foreign products.
      The actual circumstance is that systemization of producers is desperately needed for the scalability of farm side marketing, stable supply and homeogenous product production. Although attempts are being made for systemization of regional units centering on producer organization, the systemization in the metropolitan or national unit needs to occur according to item to meet the demands for large-scale distribution company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is study, a suggestion point was identified that systemization of farmhouses leads to scalability that in turn leads to the creation of high value-add upon satisfying the demands of consumption site distribution by analyzing the case of Chamdarae Distribution Business systemizing kiwi farmhouses throughout the nation and achieving scalability of farm side marketing
      In this thesis, concept establishment of representative organization according to item, organization form and direction of systemization and plan to revitaliz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were presented.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according to item can be defined as the organization that established through the voluntary participations by every party involved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item in the midst of changing environment, and that resolves on its own the issues that occur in the item and performs the comprehensive function such as the study of plans to increase competitiveness in the entire process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 supply and demand control, quality control and market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
      • 제3절 논문의 구성 = 4
      • 제2장 농산물 산지유통에 관한 이론적 고찰 = 5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
      • 제3절 논문의 구성 = 4
      • 제2장 농산물 산지유통에 관한 이론적 고찰 = 5
      • 제1절 농산물 유통환경의 변화와 구매패턴의 변화 = 5
      • 1. 농산물 유통 환경의 변화 = 5
      • 2. 농산물 구배패턴의 변화 = 8
      • 제2절 산지유통조직의 현황 = 12
      • 제3절 정부의 산지유통 활성화 사업 = 16
      • 1. 산지유통 활성화 사업의 지원유형 = 16
      • 2. 산지유통 활성화 사업 현황 = 17
      • 제4절 산지유통조직의 경영실태와 문제점 = 19
      • 1. 주요 산지유통조직의 경영실태 = 19
      • 2. 산지유통조직의 문제점 = 26
      • 제3장 농산물 산지유통의 효율화를 위한 사례연구 = 32
      • 제1절 연구대상의 선정과 연구방법 = 32
      • 제2절 참다래유통사업단의 사례 = 33
      • 1. 회사의 개요 = 33
      • 2. 사례의 연구 = 35
      • 제3절 사례의 시사점 = 46
      • 제4장 농산물 산지유통의 효율화 방안 = 48
      • 제1절 산지유통의 혁신방향 = 48
      • 1. 산지유통 혁신의 필요성 = 48
      • 2. 산지유통의 혁신방향 = 50
      • 제2절 품목별 대표조직의 필요성 = 60
      • 제3절 품목별 대표조직의 요건과 기능 = 64
      • 1. 대표조직의 요건과 기능 = 64
      • 2. 대표조직의 회원의 범위와 조직의 형태 = 66
      • 제4절 품목별 대표조직의 활성화 방안 = 70
      • 1. 기본 원칙 = 70
      • 2. 대표조직의 단계별 조직화 방향 = 71
      • 3. 대표조직의 활성화 방안 = 75
      • 제5장 결론 = 80
      • 참고문헌 = 84
      • ABSTRACT = 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