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환경갈등관리의 제도적 접근방안 -사회영향평가를 중심으로 = The Role of Social Impact Assessment for Environmental Conflict Manag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645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rongly pursued national projects have caused environmental conflicts, producing tax payers` money squandered, environment polluted, and cultural values disregarded. Many reasons contributed to environmental conflicts. First, civic participation was c...

      Wrongly pursued national projects have caused environmental conflicts, producing tax payers` money squandered, environment polluted, and cultural values disregarded. Many reasons contributed to environmental conflicts. First, civic participation was constrained by government. It had not been consulted enough before the projects started, and, even after its importance was recognized, it was mainly considered a procedural nuisance. Second, negotiations and mutual consensus-building were ignored. Rather, government has shown tendencies to rely on the court, resulting in social and economic loss. Third, there is lack of institutions to mediate environmental conflicts. As a consequence, local communities suffer from them, for they are disadvantaged in terms of resources and expertise against government. Fourth, environmental and cultural aspects on impacted local communities are rarely investigated in full. Social impact assessment has been widely used in developed countries as an institutional means to prevent adverse impacts of projects on environment and local communities. And it has proved effective in building consensus among stakeholder because it mediates multiple stakeholder. Moreover, it brings much needed expertise on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impacts that projects may make on environment and local communities. Thus, the study demonstrates that social impact assessment can be a strong tool for conflict resolu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환경분쟁조정 통계 현황"

      2 이수장, "환경갈등해결의 이론적 틀과 제도화 방안" 한국환경정책학회 14 (14): 75-98, 2006

      3 윤순진, "환경갈등의 예방·완화·해소를 위한 환경영향평가제도 개선방안: 시민참여적 사회영향평가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15 (15): 283-312, 2004

      4 김선희, "환경갈등관리 특성 및 합의형성 수준 분석: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록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학회 14 (14): 99-124, 2006

      5 구자건, "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 연세대학교출판부 2008

      6 구자건, "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2006

      7 박태순, "지자체 갈등의 유형과 특징"

      8 대한상공회의소, "주요 국책사업 중단 사례 분석 및 시사점"

      9 김창수, "절차적 합리성의 성과와 함정: 환경갈등사례의 비교분석" 2007

      10 유영성, "유형화를 통한 지자체 환경갈등의 특징 분석: 경기도 사례들을 중심으로" 2006

      1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환경분쟁조정 통계 현황"

      2 이수장, "환경갈등해결의 이론적 틀과 제도화 방안" 한국환경정책학회 14 (14): 75-98, 2006

      3 윤순진, "환경갈등의 예방·완화·해소를 위한 환경영향평가제도 개선방안: 시민참여적 사회영향평가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15 (15): 283-312, 2004

      4 김선희, "환경갈등관리 특성 및 합의형성 수준 분석: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록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학회 14 (14): 99-124, 2006

      5 구자건, "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 연세대학교출판부 2008

      6 구자건, "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2006

      7 박태순, "지자체 갈등의 유형과 특징"

      8 대한상공회의소, "주요 국책사업 중단 사례 분석 및 시사점"

      9 김창수, "절차적 합리성의 성과와 함정: 환경갈등사례의 비교분석" 2007

      10 유영성, "유형화를 통한 지자체 환경갈등의 특징 분석: 경기도 사례들을 중심으로" 2006

      11 김해창, "언론이 바뀌어야 나라가 땅이 산다" (82) : 2005

      12 이창훈, "시화지속협의회의 의의" 2007

      13 이재준, "시민참여 도시개혁운동 관점에서 본 시화지속협의회 활동 평가" 2007

      14 정주철, "사회영향평가의 원칙 및 지침에 관한 연구 -미국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6 (16): 45-58, 2007

      15 이정환, "사회영향평가 제도화 방안 연구" 6 : 127-169, 2004

      16 이종배, "불명확한 환경론보다 개발론에 무게"

      17 문태훈, "보전과 개발을 둘러싼 중앙부서간의 환경갈등 원인과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35 (35): 1-18, 2001

      18 이시재, "대형국책사업의 의사결정구조와 시민참가: 새만금간척사업을 사례로" 2001

      19 박태순, "국책사업관련갈등과 사회적 합의형성"

      20 김영수, "국책사업과 관련한 중앙과 지방정부간 분쟁조정제도의 정립방안" 11 (11): 47-71, 1999

      21 박태순, "국책사업 갈등이 남긴 상처, 누가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 부 안사태 4주년, 부안은 여전히 신음하고 있다" 사회갈등연구소 2007

      22 김선희, "국책사업 갈등관리와 합의형성" 289 : 116-123, 2005

      23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공공갈등관리의 이론과 기법" 지속가능발전위원회 2005

      24 The Consensus Building Institute, "Using Dispute Resolution Techniques to Address Environmental Justice Concerns" The Office of Environmental Justic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3

      25 Burdge, R. J., "The Concepts, Process and Methods of Social Impact Assessment" Social Ecology Press 2004

      26 Emerson, "The Challenges of Environmental Conflict Resolution, The Promise and Performance of Environmental Conflict Resolution"

      27 Gamble, D. J, "The Berger Inquiry: An Impact Assessment Process" 199 (199): 946-951, 1978

      28 IOCGP (Interorganizational Committee on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Social Impact Assessment),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Social Impact Assessment in the USA" 21 (21): 231-250, 2003

      29 Susskind, Lawrence, "Negotiating Environmental Agreements, How to Avoid Escalating Confrontation, Needless Costs, and Unnecessary Litigation" Island Press 2000

      30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 and President's Council on Environmental Quality, "Memorandum on Environmental Conflict Resolution"

      31 Ringquist, E. J., "Environmental Justice: Normative Concerns and Empirical Evidence in Environmental Policy" CQ Press 2000

      32 Office of Environmental Justice, "EPA's Environmental Justice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Model"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3-02 통합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67 0.96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