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설화의 지역적 특성 연구와 설화문학지도: ‘234-1 모르면서 점장이로 성공’ 유형의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Map of Folktales: Focused on the Variations of the Tale 234-1 Contained in the Complete Works of Korean Oral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975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e the applicability and utility of the map of folktales. To achieve this purpose, I analysed the variations of the tale 234-1 contained in the Complete Works of Korean Oral Literature in this paper, and marked the v...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e the applicability and utility of the map of folktales. To achieve this purpose, I analysed the variations of the tale 234-1 contained in the Complete Works of Korean Oral Literature in this paper, and marked the variations the tale 234-1 on the map. The tale 234-1 is a success story of a person who is not a fortune teller, but he succeed in as a fortune teller. This tale composed of three states ; the state of acquiring fame as a fortune teller, the state of receiving a difficult task, and the stage of solving the task and succeeding in as a fortune teller. I analysed the variations of the tale 234-1 focused on these three states, and marked the variations on the map.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ale 234-1 appeared according to the regional tale zone A, B, C, D. Not to mention the importance of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al tale zone, it is more important that the map of folktales can provide a panoptic view. Especially the map of folktales can show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a tale. Regional studies of a tale need to be accomplished according to the regional tale zone. I confirmed a applicability and utility of the map of folktales, as a method of a research method in this pap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한국구비문학대계』 1차분에 수록된 설화 유형 ‘234-1 모르면서 점장이로 성공(잃어버린 옥새 찾기 포함)’에 해당하는 63편의 각편을 대상으로 그 변이 양상을 분석하고 기호...

      본고에서는 『한국구비문학대계』 1차분에 수록된 설화 유형 ‘234-1 모르면서 점장이로 성공(잃어버린 옥새 찾기 포함)’에 해당하는 63편의 각편을 대상으로 그 변이 양상을 분석하고 기호화하여 분포 양상을 지도상에 표시함으로써 설화의 지역적 특성을 연구하는 데 설화문학지도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설화 유형 ‘234-1’은 점쟁이가 아닌 인물이 점쟁이로 성공한 이야기라는 점에서 ① 주인공이 점쟁이로서의 명성을 획득하게 되는 과정, ② 점쟁이가 되어 그가 해결하는 과제의 성격, ③ 과제의 해결과정이 서사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 세 국면을 중심으로 유형 ‘234-1’의 변이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그 변이 양상을 지도상에 표시해 본 결과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된 설화 유형 ‘234-1’은 A, B, C, D 네 개의 권역에 따라 지역적 특성이 달리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권역 A]는 대국 천자 옥새 찾기가 널리 채록된 경기도와 강원도를 아우르는 권역이며, [권역 B]는 도둑 잡기가 상대적으로 많이 채록된 충청남도 서해안을 중심으로 하면서 전라북도와 충청북도 일부를 아우르는 권역이다. [권역 C]는 나라님 옥새 찾기만 채록된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하되 전라북도 일부를 아우르는 권역이며, [권역 D]는 위의 세 가지 이야기가 모두 활발하게 전승되는 대구․안동․군위 등 영남 내륙을 중심으로 한 권역이다. 설화권역 A, B, C, D의 특징적 변이 양상도 중요하지만, 이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개개의 화소가 지역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면서 전승되고 있는지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서사 단락과 단락의 결합 양상이 지역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는데 설화문학지도가 매우 유용하다는 사실이다. 또한 설화의 변이나 지역적 특성에 대한 이해는 특정 지역 설화에 대한 미시적 연구보다 설화권역이라고 하는 보다 거시적인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깨닫게 해 주었다.
      본고에서 가설적으로 제시한 설화 유형 ‘234-1’의 설화권역 설정 및 구분은 자료의 폭을 넓히고 채록 시기에 따른 변이까지도 반영하여 그 정확성을 높이고 시대별 변화의 추이까지도 보여줄 수 있는 설화문학지도로 완성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연구의 출발점에 서 있을 뿐 아니라 설화의 지역적 특성 연구를 위한 방법론으로서 설화문학지도가 가지는 의의와 유용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 전82책" 1988

      2 윤승준, "한국 설화문학지도 작성을 위한 試考" 동양학연구원 (63) : 17-40, 2016

      3 조희웅, "증보개정판 한국설화의 유형" 일조각 1996

      4 김덕호, "전자문화지도 제작을 위한 한국어 문화자원의 자료 처리 방안 연구" 영남문화연구원 (20) : 87-127, 2011

      5 박성용, "문화지도: 자료활용방법과 조사내용" 서울대 비교문화연구소 7 (7): 3-28, 2001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 전82책" 1988

      2 윤승준, "한국 설화문학지도 작성을 위한 試考" 동양학연구원 (63) : 17-40, 2016

      3 조희웅, "증보개정판 한국설화의 유형" 일조각 1996

      4 김덕호, "전자문화지도 제작을 위한 한국어 문화자원의 자료 처리 방안 연구" 영남문화연구원 (20) : 87-127, 2011

      5 박성용, "문화지도: 자료활용방법과 조사내용" 서울대 비교문화연구소 7 (7): 3-28,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4 1.46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