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키네시오테이핑이 유연성과 최대근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Kinesiotaping on the Flexibility and Maximum Muscle Streng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067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운동선수, 일반인,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키네시오 테이핑 처치가 유연성과 최대근력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에 참가한 대상자들은 키네시오 테...

      본 연구는 운동선수, 일반인,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키네시오 테이핑 처치가 유연성과 최대근력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에 참가한 대상자들은 키네시오 테이핑 전 유연성(좌전굴, 체후굴)과 최대근력(상완이두근, 대퇴사두근)을 측정하였으며 키네시오 테이핑 처치 후 유연성과 최대근력을 측정하였다.
      결과에 따른 자료처리는 세 집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각 변인에 대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기위해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유연성 변인(가설1)과 최대근력 변인(가설2)의 사전·사후 변화 분석을 공변량 분석(ANCOVA)으로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 수준으로 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연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키네시오 테이핑 전·후 유연성(좌전굴, 체후굴)의 변화에서 유연성이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키네시오 테이핑 전·후에 최대근력의 변화(상완이두근, 대퇴사두근의 flexion, extension)에서 상완이두근의 extension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집단에서도 테이핑 처치 전보다 후에 최대근력이 증가하였다.
      요약하면 키네시오 테이핑 처치 전·후에 유연성과 최대근력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집단에 상관없이 테이핑 처치 후에 유연성과 최대근력이 향상되어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종합하면 지적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테이핑 효과를 연구하여 테이핑 처치 전과 후의 유연성과 최대근력이 증가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요인을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며 키네시오 테이핑의 효과를 스포츠 현장의 다양한 기록경기에서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inesiotaping methods on the flexibility and maximum muscle strength in targeting of the athletes, general people,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body flexibility was measured by bending up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inesiotaping methods on the flexibility and maximum muscle strength in targeting of the athletes, general people,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body flexibility was measured by bending upper body front at sitting position and bending behind in standing position and the maximum muscle strength of upper arm bicep and quadriceps femoris muscle was measured within pre and post kinesiotaping period.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o calculat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n each varianc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within three groups of sample subjects. After getting mean and SD, the variance of flexibility as the first hypothesis and the variance of muscle strength as the second hypothesi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ANCOVA between pre and post test results in the significance level of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kinesiotaping treatment in the body flexibility of bending upper body front and back, however, the improvement was shown in the body flexibilit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kinesiotaping treatment in maximum muscle strengths of bicept flexion and quadriceps femoris flexion and extension both. Even 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as shown in the test results, the positive improvement of body flexibility and muscle strength were indicated.
      In conclusion, the positive enhancement in body flexibility and maximum muscle strengths were shown in all subject groups before and after kinesiotaping treatment.
      Therefore, the taping methods specially kinesiotaping treatment could be assistive for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ir enhancement of body flexibility and muscle power to be effective for their own physical activities or performances. Further, the other research such as psychological approach could be examined using this kinesiotaping on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