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령보행자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391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령보행자의 교통사망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고령보행자 교통사고의 발생원인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수행하고 교통경찰업무관리시스템(TCS)의 자료를 활용하여 충...

      본 연구는 고령보행자의 교통사망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고령보행자 교통사고의 발생원인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수행하고 교통경찰업무관리시스템(TCS)의 자료를 활용하여 충남의 고령보행자 교통사망사고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연령에 따른 교통사망사고 발생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운전자의 차량기기 조작 미숙과 주변 상황의 인지판단 오류 보다 주의분산이 고령보행자 교통사망사고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전자와 보행자가 충분한 가시거리를 확보하기 어려운 날씨와 시간에 각각 1.5배와 2.5배 교통사망사고의 발생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차로에서 고령보행자 교통사망사고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중앙분리표시는 오히려 고령보행자 사망사고 확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고령자 중심의 교통안전시설 정비와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s related to elderly pedestrian crash and then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elderly pedestrian fatal crash, using Traffic Cop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TCS) in Chungcheongnam-do.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s related to elderly pedestrian crash and then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elderly pedestrian fatal crash, using Traffic Cop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TCS) in Chungcheongnam-do.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The traffic fatality of elderly pedestrian increases as age increases and drivers’ distraction had a greater effect on traffic fatality of elderly pedestrian than driver’s inexperience in operating vehicle equipment and errors in judgment of surrounding conditions. In addition, weather and time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traffic fatality of elderly pedestrian increased by 1.5 times and 2.5 times, respectively when it is difficult for drivers and pedestrians to have sufficient visibility. The traffic fatality of elderly pedestrians decreases at intersections, while the central separation mark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deaths of elderly pedestrians. These analysis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informative criterion for the maintenance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policy for elderly pedestria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정책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정책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재훈, "택시 영상DB를 활용한 교통약자 보행자 사고의 심각도 분석" 한국안전학회 29 (29): 98-106, 2014

      2 경찰청,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한 운전면허체계 개선 등 고령운전자 교통안전대책 수립연구" 2020

      3 박준태, "지방부 도로 고령 보행자 사고 특성분석연구" 대한교통학회 28 (28): 155-162, 2010

      4 교통안전공단, "야간 및 악천후 시 고령운전자노면시인성 증진방안 연구" 2013

      5 윤준호, "서울시 주·야간 시간대 보행자 교통사고 심각도 요인 비교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4 (54): 70-88, 2019

      6 강수철, "보행특성 분석 및 교통사고 예방대책 연구" 도로교통공단 2016

      7 유기열, "보행자 교통사고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62 : 689-694, 2010

      8 한국교통연구원, "미래사회 인구구조 변화에대비한 도로 교통정책 연구" 2012

      9 장정아, "무신호 단일로 횡단보도에서 고령 보행자의 횡단행태조사 및 분석" 대한교통학회 34 (34): 207-221, 2016

      10 김순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이해" 교우사 2014

      1 정재훈, "택시 영상DB를 활용한 교통약자 보행자 사고의 심각도 분석" 한국안전학회 29 (29): 98-106, 2014

      2 경찰청,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한 운전면허체계 개선 등 고령운전자 교통안전대책 수립연구" 2020

      3 박준태, "지방부 도로 고령 보행자 사고 특성분석연구" 대한교통학회 28 (28): 155-162, 2010

      4 교통안전공단, "야간 및 악천후 시 고령운전자노면시인성 증진방안 연구" 2013

      5 윤준호, "서울시 주·야간 시간대 보행자 교통사고 심각도 요인 비교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4 (54): 70-88, 2019

      6 강수철, "보행특성 분석 및 교통사고 예방대책 연구" 도로교통공단 2016

      7 유기열, "보행자 교통사고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62 : 689-694, 2010

      8 한국교통연구원, "미래사회 인구구조 변화에대비한 도로 교통정책 연구" 2012

      9 장정아, "무신호 단일로 횡단보도에서 고령 보행자의 횡단행태조사 및 분석" 대한교통학회 34 (34): 207-221, 2016

      10 김순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이해" 교우사 2014

      11 최성택, "도시 시설 특성을 반영한 고령 보행자의 사고 심각도 모형 개발" 한국안전학회 30 (30): 94-103, 2015

      12 지우석,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원인 분석 및 대책" 한국노년학회 30 (30): 843-853, 2010

      13 윤치원,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손상 역학 연구: 충청남도 TCS 분석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019

      14 이수범,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의 현황과 발전과제" 1-4, 2017

      15 김주영, "고령보행자 특성을 고려한 교통안전증진방안 연구" 도로교통안전공단 2016

      16 교통안전공단, "고령보행자 특성을 고려한 교통안전 증진방안 연구" 2016

      17 박준범, "고령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 8 (8): 289-303, 2019

      18 도로교통공단, "가상현실을 활용한 고령보행자 교통안전 교육용 시뮬레이터개발"

      19 박철영, "가로환경 특성이 보행자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가로 세그먼트 분석단위와 공간통계모형의 적용" 한국도시설계학회 17 (17): 105-121, 2016

      20 El-Basyouny, K., "Urban arterial accident prediction models with spatial effects" 2102 (2102): 27-33, 2009

      21 Lobjois, R., "The effects of aging on street-crossing behavior: from estimation to actual crossing" 41 (41): 259-267, 2009

      22 윤치원, "TCS 활용을 통한 교통사고 원인의 분석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3 (33): 271-298, 2019

      23 김순귀, "SPSS를 활용한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이해와 응용" 한나래아카데미 2011

      24 Rosenbloom, T., "Risk Factors in Road Crossing among Elderly Pedestrians and Readiness to Adopt Safe Behavior in Socio-Economic Comparison" 93 : 23-31, 2016

      25 Gates, T.J., "Recommended walking speeds for timing of pedestrian clearance interval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rian population" 1982 (1982): 38-47, 2006

      26 Olszewski, P., "Pedestrian Safety at Traffic Signals in Warsaw" 14 : 1174-1182, 2016

      27 Oxley, J., "Older pedestrians-Meeting their safety and mobility needs" 1 : 2004

      28 Siddiqui, C., "Macroscopic spatial analysis of pedestrian and bicycle crashes" 45 : 382-391, 2012

      29 LaScala, E., "Demographic and environmental correlates of pedestrian injury collisions: a spatial analysis" 32 (32): 651-658, 2000

      30 Haleem, K., "Analyzing pedestrian crash injury severity at signalized and non-signalized locations" 81 : 14-23, 2015

      31 Zegeer, C. V., "Analysis of Elderly Pedestrian Accidents and Recommended Countermeasures" 1405 : 56-63, 1993

      32 Eluru, N., "A Mixed Generalized Ordered Response Model for Examining Pedestrian and Bicyclist Injury Severity Level in Traffic Crashes" 40 : 1033-1054,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도시행정학보 -> 도시행정학보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1.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3 1.292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