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一波 嚴恒燮의 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一波 嚴恒燮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를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한 인물이다. 그동안 김구의 최측근이라는 역할만 강조된 측면이 있어, 그의 임시정부와 임시의...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一波 嚴恒燮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를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한 인물이다. 그동안 김구의 최측근이라는 역할만 강조된 측면이 있어, 그의 임시정부와 임시의정원, 그리고 정당에서의 활약을 포함한 독립운동 전반의 활동은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독립운동사 속 임시정부에서의 활동을 중심으로 엄항섭의 역할에 대한 의미를 확인하고자 한다.
      엄항섭은 1919년 임시정부 법무부 참사를 시작으로 임시정부 국무원에서 활동을 시작하였다.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임시의정원에서 新到의원 자격심사위원을 맡아 새로 선출된 의원들의 자격을 검토하여 통과여부를 결정하였고, 상임위원회 상임위원을 맡아 임시정부 재정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였다. 1930년대부터는 한국독립당, 한국국민당, 재건 한국독립당 창당에 참여하여 임시정부를 뒷받침하는 정당에 속해 선전업무를 담당하였다. 한국국민당에서는 기관지 『韓民』의 편집과 발행을 맡아 당의 활동을 선전하였고, 한국독립군특무대의 총감독으로 학생들의 훈련과 중국군관학교 입학교섭을 지원하였다. 이후 한국독립군특무대의 활동이 침체되자 한국국민당의 전위단체인 한국국민당청년단을 조직하여 그 활동을 이어나갔다. 재건 한국독립당에서는 한국광복군과 미군의 연합작전 시행을 지원함으로써 독립운동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하고 독립 후 승전국의 위치를 점하고자 했다. 1940년대부터는 임시정부 국무원에서의 활동이 집중된다. 엄항섭은 1944년 선전부장에 임명되어 임시정부의 선전업무를 책임졌다. 1940년대는 임시정부의 국제적 승인을 위한 노력이 전개되던 때로 외국어에 능통하고 남다른 정보력을 가진 엄항섭의 역량이 발휘되었다. 그의 선전 활동은 주로 對중국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주체성을 잃지 않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 후, 엄항섭은 임시정부 요인들과 함께 선발대로 환국하였다. 이후 통일국가수립을 주장하며 김구와 함께 남북협상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49년 6월 26일 김구가 안두희의 총탄에 희생되면서 통일국가수립의 구호는 남한 정부에서도, 한국독립당 내에서도 배척되었고 엄항섭의 정치적 입지는 점차 약화 되었다. 그러던 중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로 남쪽에 가족을 남긴 채 납북되어 1962년 7월 30일 평양에서 고혈압으로 사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om Hang-Seop, the main theme of this paper, went to China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to participate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with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Known as the closest person of Kim Gu, he played roles ...

      Eom Hang-Seop, the main theme of this paper, went to China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to participate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with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Known as the closest person of Kim Gu, he played roles in recruiting, financing and propaganda for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ccording to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Eom Hang-Seop’s role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e need to focus on how he influenced the independence movement rather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Gu and Eom Hang-Seop.
      Eom Hang-Seop served as a member of the provisional assembly from the 1920s to the 1940s. He also screened the qualifications of the new lawmakers and handled fiscal bills for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1930s, he participated in the founding and propaganda activities of the Korean National Party(韓國國民黨) and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韓國獨立黨) that support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particular, he attempted to occupy the position of a victorious country as a member of the allied forces after independence by supporting the combined operation of the ROK and US forces. In the 1940s, he was involved in the propaganda work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made a diplomatic effort to ge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ternationally approv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상해청년동맹회와 상해한인청년회 활동
      • 3. 임시의정원에서의 의정활동
      • 4.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의 선전활동
      • 5. 맺음말
      • 1. 머리말
      • 2. 상해청년동맹회와 상해한인청년회 활동
      • 3. 임시의정원에서의 의정활동
      • 4.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의 선전활동
      • 5.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민"

      2 "중앙신문"

      3 "조선일보"

      4 김구, "올바르게 풀어쓴 백범일지" 너머북스 2008

      5 이태호, "압록강변의 겨울 : 납북요인들의 삶과 통일의 한" 다섯수레 1991

      6 "신한민보"

      7 "동아일보"

      8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별책4: 韓民(중문판)" 2010

      9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9: 군무부" 2006

      10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6: 임시의정원 Ⅴ" 2005

      1 "한민"

      2 "중앙신문"

      3 "조선일보"

      4 김구, "올바르게 풀어쓴 백범일지" 너머북스 2008

      5 이태호, "압록강변의 겨울 : 납북요인들의 삶과 통일의 한" 다섯수레 1991

      6 "신한민보"

      7 "동아일보"

      8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별책4: 韓民(중문판)" 2010

      9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9: 군무부" 2006

      10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6: 임시의정원 Ⅴ" 2005

      11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43: 서한집 Ⅱ" 2011

      12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35~36: 한국국민당Ⅰ~Ⅱ" 2009

      13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31: 관련단체 Ⅰ" 2009

      14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4: 임시의정원Ⅰ~Ⅲ" 2005

      15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8: 한인애국단 Ⅰ" 2008

      16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6: 미국의 인식" 2008

      17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2: 대중국외교활동" 2008

      18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 헌법·공보" 2005

      19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9: 주미외교위원부Ⅰ~Ⅱ" 2007

      20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6: 외무부" 2007

      21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2:한국광복군 Ⅲ" 2006

      22 김희곤,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 지식산업사 2005

      23 한시준, "대한민국임시정부 법령집" 국가보훈처 1999

      24 한시준, "대한민국임시정부 Ⅲ: 중경시기"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25 김희곤, "대한민국임시정부 Ⅰ : 상해시기"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26 최병수,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일파 엄항섭 지사(志士)" 충북대학교 사학회 10 : 1998

      27 이재호,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의 상임위원회 설치와 운영" 숭실사학회 (41) : 197-217, 2018

      28 이재호,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29 국사편찬위원회, "韓國獨立運動史. 資料 20: 臨政篇 Ⅴ" 1991

      30 이재호, "金朋濬의 中國에서 獨立運動" 안동사학회 13 : 2008

      31 "時代日報"

      32 국사편찬위원회, "日帝侵略下 韓國三十六年史. 13" 1978

      33 국사편찬위원회, "日帝侵略下 韓國三十六年史. 11" 1976

      34 최선웅, "1924~1927년 上海 청년동맹회의 통일전선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한국근현대사학회 (44) : 190-221, 2008

      35 박유진, "1923년 제11회 대한민국임시의정원 회의 연구" 수선사학회 (60) : 227-259,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2 1.44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