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948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by residence among the young-old and the old-old.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used the 7th data from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by residence among the young-old and the old-old.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used the 7th data from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and study sample was consisted of 21760 older adults, including the young-old (aged 65-74, n=10185) and the old-old (75 and older, n=11575). Study sample was classified into six sub-groups by age (the young-old, the old-old) and residence (big city, small city, rural area),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for each group were compared and analyzed.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as for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mong the young-old, assets for older adults living in a big city, subjective health status for older adults living in a small city, and educational attainment for older adults living in a rural area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addiction, subjective health status for older adults living in a big city and depression for older adults living in a small city and a rural area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mong the old-old. Based on tho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and policy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among the young-old and the old-old by incorporating residential characterist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배, "한국노인의 우울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회 25 (25): 167-187, 2005

      2 김미혜, "한국 노인의 생애주기별 성공적인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2 (12): 697-715, 2010

      3 민주홍, "한국 노인의 사회참여가 주관적 건강 및 건강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다양한 사회참여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105-123, 2013

      4 이현경, "한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정신건강과 자살생각과의 연관성"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38 (38): 69-79, 2012

      5 김자영, "취업여부와 교육수준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노인복지학회 72 (72): 167-190, 2017

      6 최인호, "초고령사회의 지방중소도시에 대한 활성화 방안의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19 (19): 181-195, 2017

      7 이현지, "초고령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우울 : 노년초월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75 (75): 9-29, 2020

      8 강대선, "지역조직화 프로그램의 조직적임파워링특성과 개인적임파워먼트 간 프로그램유형의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복지관의 주민교육과 주민복지프로그램 비교" 사회과학연구원 9 (9): 117-142, 2016

      9 김순양, "지방자치단체의 규모별 건강불평등 및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31-57, 2012

      10 임석회, "지방소도시의 인구감소 및 성장과 쇠퇴의 특성" 대한지리학회 54 (54): 365-386, 2019

      1 김동배, "한국노인의 우울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회 25 (25): 167-187, 2005

      2 김미혜, "한국 노인의 생애주기별 성공적인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2 (12): 697-715, 2010

      3 민주홍, "한국 노인의 사회참여가 주관적 건강 및 건강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다양한 사회참여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105-123, 2013

      4 이현경, "한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정신건강과 자살생각과의 연관성"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38 (38): 69-79, 2012

      5 김자영, "취업여부와 교육수준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노인복지학회 72 (72): 167-190, 2017

      6 최인호, "초고령사회의 지방중소도시에 대한 활성화 방안의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19 (19): 181-195, 2017

      7 이현지, "초고령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우울 : 노년초월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75 (75): 9-29, 2020

      8 강대선, "지역조직화 프로그램의 조직적임파워링특성과 개인적임파워먼트 간 프로그램유형의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복지관의 주민교육과 주민복지프로그램 비교" 사회과학연구원 9 (9): 117-142, 2016

      9 김순양, "지방자치단체의 규모별 건강불평등 및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31-57, 2012

      10 임석회, "지방소도시의 인구감소 및 성장과 쇠퇴의 특성" 대한지리학회 54 (54): 365-386, 2019

      11 한기명, "중고령층이 인지하는 지역사회의 고령친화도시 조성 정도와 삶의 만족, 연령차별과의 관계 : 연령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지방자치연구소 36 (36): 53-83, 2019

      12 김승렬, "죽음불안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영적 안녕감의 조절효과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1 (21): 25-48, 2019

      13 서문진희, "주관적 건강인식과 사회적 지지가 노인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4) : 361-385, 2011

      14 강정애,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위덕대학교 대학원 2020

      15 장봉수,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건강습관, 스트레스, 우울과 자살생각과의 관련성"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6

      16 김혜교, "전기노인․후기노인․초고령기 노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17 김혜경, "전기·후기고령자의 건강수준 및 복지욕구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노년학회 26 (26): 1-16, 2006

      18 정규형, "전기·후기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체계, 가족체계, 지역사회체계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3) : 45-78, 2016

      19 김미령,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97-222, 2006

      20 임준, "인천광역시 지역간 건강불평등 현황" 인천공공보건의료지원단 2014

      21 이유진, "의료시설 접근성과 대중교통 접근성이 농촌 및 도시 지역 거주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일반화된 순서형 로짓 모형의 적용 -" 한국지역개발학회 27 (27): 65-88, 2015

      22 손근호, "연령 집단별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27-138, 2020

      23 석재은,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관계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321-349, 2016

      24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시도별 지역보건취약지역 보고서" 2014

      25 통계청, "시도별 장례인구 추계"

      26 구철회, "서울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국정관리학회 25 (25): 281-300, 2015

      27 조명한, "삶의 질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집문당 1998

      28 김영범, "사회활동과 우울의 관계에 대한 일 연구 - 전기 노인과 후기 노인의 차이를 중심으로" 지역사회학회 16 (16): 213-237, 2015

      29 전명숙, "사회경제적 변인이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여가참여의 매개효과 -" 한국콘텐츠학회 16 (16): 323-333, 2016

      30 김영범, "비공식 사회지원망 종류와 삶의 만족도 :전기 노인과 후기 노인의 차이를 중심으로" 지역사회학회 20 (20): 129-156, 2019

      31 이인정, "만성질환 및 기능손상노인 가족수발자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183-205, 2004

      32 박용순, "만성질환 남성노인의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 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17 (17): 79-96, 2012

      33 문지현,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8 (18): 44-54, 2018

      34 서인균, "독거노인의 사회적 자원과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농촌과 도시독거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219-247, 2016

      35 김준표, "독거노인의 사회자본과 삶의 만족: 우울과 공적연금 수급의 지역차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9 (29): 267-284, 2018

      36 최경희, "도・농노인의 삶의 만족도 분석을 통한 지역별 노인복지정책 우선순위 결정" 한국도시행정학회 26 (26): 49-70, 2013

      37 김성원, "다층모형을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도 분석: 개인적 요인과 지역적 요인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6 (36): 581-594, 2016

      38 이정화, "농촌노인의 지역사회 복지서비스 이용실태 -'노인생활지도마을'을 대상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5 (15): 149-165, 2004

      39 임정기,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변화궤적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38 : 217-240, 2013

      40 손신영,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회 26 (26): 601-615, 2006

      41 김윤영, "농어촌 취약계층의 사회서비스 수요탐색과 정책함의" 한국콘텐츠학회 20 (20): 332-345, 2020

      42 성기옥, "노후불안과 자아통합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43 정재훈, "노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요소"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5 (15): 93-100, 2013

      44 박수진, "노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도농복합지역의 특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45 염동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0 (30): 27-50, 2014

      46 최순희, "노인의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도시와 농촌 지역 비교"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111-132, 2018

      47 성혜연,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객관적 및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소 69 : 117-143, 2021

      48 신용석, "노인의 자산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참여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216-250, 2017

      49 이인정, "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위기사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34-62, 2011

      50 김은주, "노인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있어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51 김은아, "노인의 우울, 자살사고와 삶의 질의 관계: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6 (46): 179-208, 2018

      52 최현석, "노인의 생활전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3 (23): 131-142, 2012

      53 박순미, "노인의 생활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적 접근 ;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1-24, 2009

      54 박선숙, "노인의 삶의 만족도 유형과 관련 변인 연구" 사회복지정책실천회 6 (6): 79-109, 2020

      55 황춘익, "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7

      56 허원구, "노인의 삶의 만족도 발달궤적과 건강특성요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4 (44): 297-318, 2017

      57 전명진, "노인의 삶의 만족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수도권과 비수도권 거주 노인 비교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28 (28): 153-172, 2016

      58 이장범, "노인의 사회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도시․농촌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59 김명일, "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 수준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 우울과 주관적 건강수준의 다중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소 30 (30): 141-161, 2019

      60 김자영, "노인빈곤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용상태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노년학회 34 (34): 717-735, 2014

      61 이해영, "노인복지론" 창지사 2019

      62 서병진, "노인복지론" 도서출판 솔바람 2008

      63 최혜지, "노인복지론" 사회평론아카데미 2020

      64 허준수,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인과모형 연구: 유형별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7 (17): 673-691, 2017

      65 강이주, "노인들의 노동시장 참여형태와 동거유형이 건강수준 및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9 (19): 1031-1044, 2010

      66 박은주, "노인단독가구의 주거빈곤과 삶의 만족도에관한 연구 : 도시와 농촌 지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6 (36): 59-81, 2020

      67 최균, "노인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의 지역별 특성 연구 - 대도시(서울시), 중소도시(춘천동지역), 농촌지역(춘천읍면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3) : 79-101, 2007

      68 정순둘, "노인 삶의 만족도 변화: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3개년도(1994, 2004, 2008년) 결과비교" 한국노년학회 31 (31): 1229-1246, 2011

      69 원도연, "노부모의 자산이 자녀와의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녀와의 만남빈도, 연락빈도, 금전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6 (36): 475-492, 2016

      70 김혜경, "노년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종단적 요인: 전기·후기 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66) : 427-449, 2014

      71 권중돈, "노년기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 (20): 61-76, 2000

      72 채종훈, "고령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도・농간 비교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31 (31): 137-158, 2019

      73 오영경, "경제활동 노인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9 (19): 271-280, 2019

      74 허영주, "개인적 변인과 평생교육 참여에 따른노인 삶의 만족도 차이와 평생교육의 방향" 교육연구소 22 (22): 77-100, 2016

      75 Cohen-Mansfield, J., "The old, old-old, and the oldest old: Continuation or distinct categories?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changes in health, function, and wellbeing" 77 (77): 37-57, 2013

      76 Erickson, E. H., "The life cycle completed: A review" Norton 1982

      77 Smith, J., "The fourth Age: A period of psychological mortality?" 4 : 75-88, 2000

      78 Gonyea, J., "The New Politics of Old Age Polic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0

      79 Hitschler, P. B., "Spending by older consumers, 1980 and 1990 compared" 116 : 3-13, 1993

      80 Atchley. R. C., "Social forces and aging: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Wordsworth 2000

      81 Fujino, Y., "Prospective cohort study of stress, life satisfaction, self-rated health, insomnia, and suicide death in Japan" 35 (35): 227-237, 2005

      82 Adams, K. B., "Loneliness and depression in independent living retirement communities : Risk and resilience factors" 8 (8): 475-485, 2004

      83 Sousa, L., "Life satisfaction. Encylopedia of women and gender: Sex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he impact of society on gender" 2 : 667-676, 2001

      84 OECD, "Life satisfaction in society at a glance 2016: OECD social indicators" OECD Publishing 2016

      85 Lykouras, L., "Late onset suicide, distinction between ‘young-old’ vs. ‘old-old’suicide victims. How different populations are they?" 54 (54): 136-139, 2012

      86 Gilligan, T. D., "Initi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students’life satisfaction scale-adolescent version" 2 (2): 1-16, 2007

      87 Kovar, M. G., "Health of the elderly and use of health services" 92 (92): 9-19, 1977

      88 Smith, J., "Health and well-being in the young old and oldest old" 58 : 715-732, 2002

      89 WHO, "Global Age-Friendly Cities: A Guide"

      90 Newman, B. M., "Development through Life, A Psycho social Approach" Brooks Cole Publishing Company 1991

      91 Neugarten, B., "Age constraints and adult socialization" 70 : 710-717, 1995

      92 Ferriss, Abbott L.,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the Quality of Life" 1 : 117-123, 2006

      93 보건복지부, "2020 전국 정신건강관련 기관 현황집"

      94 한국고용정보원, "2018년 고령화연구패널 이용자가이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17 1.625 0.4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