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대건 신부의 성사 사목활동과 행정 사목활동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88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김대건 신부는 1845년 8월 17일 사제 서품을 받았고, 1846년 9월 16일 새남터에서 참수치명했다. 사제로서 생활한 기간이 13개월이다. 본고는 이 13개월간 김대건 신부가 행한 일에 대한 검토이다....

      김대건 신부는 1845년 8월 17일 사제 서품을 받았고, 1846년 9월 16일 새남터에서 참수치명했다. 사제로서 생활한 기간이 13개월이다. 본고는 이 13개월간 김대건 신부가 행한 일에 대한 검토이다. 여기서는 김대건 신부의 사목활동의 범위를 확정하고 그 활동의 세세한 면면을 찾았다. 자료로는 기존의 문헌 사료는 물론, 지역답사를 겸하며 관련 지역의 전승까지 활용했다.
      시작에 앞서 김대건 신부의 사목활동의 개념과 방향을 전환할 필요를 제시했다. 그리고 그의 체력과 외모, 성사 사목 태도, 사는 모습 등을 살폈다. 이어 시복 재판에 나온 증언을 토대로 김대건 신부의 성사 사목활동을 정리했다. 김 신부는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성사 사목활동을 했는데, 그 빈도는 반반이었다. 성사에 참여한 사람들은 상호 간 인적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교회 내 신앙적 위치도 깊은 이들이었다. 이와 더불어 재판 증언은 김 신부의 성사 활동을 포괄적으로 밝히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지적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남경문 등 증언자로 나오지 않았으면서 김 신부로부터 성사를 본 사람들, 또 신부의 옥중에서의 성사 사목 등을 짚고, 당시 교회 상황을 분석했다.
      다음으로 김대건 신부의 특수 사목으로 신자들 조직 방법과 그 운영 방식을 밝히고, 김 신부의 인적 자원을 확인했다. 연평도 항해에 나갔던 사람들, 신부댁에서 봉사하던 여성 등 김 신부와 함께 일한 이들도 역시 상호 인적 관계가 긴밀하고, 신앙생활도 활발한 이들이었다. 김 신부는 이들 인력을 배치하여 교회를 점조직으로 운영해 갔다. 한편, 김대건 신부는 전교자금을 운영했는데, 포목과 은괴 등을 통한 물품으로 국내외 차익을 통해 자금을 늘리고자 했다. 신자들에게 돈을 대주어 배를 사서 장사하도록 하면서 바닷길을 개척·운영했다. 또한 김 신부는 부제 때부터 해오던 신학생 교육도 재개하여 이어갔다. 그는 이러한 교회 업무를 처리하면서, 조선교회 부주교의 역할까지도 감당했다.
      김대건 신부는 기해박해 이후 폐허화된 교회를 재건했고, 두 선교사가 조선에 정착 활동할 기반을 다져 놓았다. 메스트르 신부와 최양업 신부는 각기 다른 길로 입국했지만, 그가 개척한 해양로는 이후 조선교회와 세계교회의 연결로가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김 신부는 조선 조정에 새 문화에 대한 충격을 가져다주었다. 무엇보다도 그는 조선인이 신부가 되는 길을 보여주었고, 한국인에게 꿈을 열어 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ather Kim Dae-geon was ordained priest on August 17, 1845, and was beheaded at Saenamteo on September 16, 1846. At the time of his martyrdom he has completed 13 months since his priestly ordination. This article is a review of what Father Kim Dae-...

      Father Kim Dae-geon was ordained priest on August 17, 1845, and was beheaded at Saenamteo on September 16, 1846. At the time of his martyrdom he has completed 13 months since his priestly ordination.
      This article is a review of what Father Kim Dae-geon did during these 13 months. For my research, I used not only existing historical documents, but also information of local traditions of found during my field surveys on the geographic areas where father did his Pastoral work.
      As a starting point it seemed important to me to present the need of changing the concept and direction of Father Kim’s pastoral activity. It also seemed important to me to highlight the strength of his physical appearance, his own personal way of conceiving and living the sacraments.
      Then, based on the testimony from his process of beatification, I summarized Father Kim Dae-geon’s sacramental ministry. By this data, Father Kim carried out his sacramental pastoral activities betwee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 regional frequency was half and a hal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formation for the reception of the sacraments had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nd they also had a deep religious position in the life of the local Church.
      In addition, I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he witnesses during the process of beatification; those testimonies remain short and do not comprehensively reveal the fullness of Father Kim’s sacramental ministry.
      To support this, I analyzed the situation in the church at the time by pointing to people who did not appear as witnesses, such as Nam Kyung-moon, and the work of pastoral ministry carried out in the prisons where the sacramental life was preached and prepared.
      Next, I try to explain the originality of the pastoral work of father Kim Dae-geon specially the way he organized and interacted with the believers and prepared them as a resource for his work of evangelization.
      Those who worked with Father Kim, such as those who went on a voyage to Yeonpyeong Island for finding the entrance for the missionaries and the women who served at the presbytery, also had close personal relationships and were active in their religious life.
      Father Kim organized these belivers as a branch organization to run the church. On the other hand, Father Kim Dae-geon ran the funds of the mission, and he wanted to increase the funds through import profits with goods such as cloth and silver ingots. He opened and operated the sea route by lending money to believers to buy ships and trade. In addition, Father Kim continued to educate seminaries, which he had been doing since the time of his deacon. While handling these church affairs, he was even considered as the vice-bishop of the Joseon Church.
      Father Kim Dae-geon rebuilt the church that was ruined after the Gihae persecution,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two missionaries to settle down in Joseon. The sea route that Father Kim Dae-geon pioneered became a connection way between the Korean church and the world church, except Father Maistre and Father Yang-eop Choi entered Korea by different routes. Not only that, but Father Kim brought the shock of the new culture to the Joseon court. Above all, he showed the way for Koreans to become priests and opened up dreams for Korea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1. 이끄는 말
      • 2. 김대건 신부의 신자에 대한 성사 사목활동
      • 3. 김대건 신부의 교회행정 사목활동
      • 5. 맺음말
      • 국문 초록
      • 1. 이끄는 말
      • 2. 김대건 신부의 신자에 대한 성사 사목활동
      • 3. 김대건 신부의 교회행정 사목활동
      • 5. 맺음말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 하" 한국교회사연구소 1980

      2 양인성, "한국천주교회사 3" 한국교회사연구소 2017

      3 김구정, "한국순교사화 4" 가톨릭출판사 1976

      4 원재연, "페레올 주교의 조선 입국 후 사목 활동 - 김대건 신부 현양 및 양반중심 교회운영을 중심으로 -"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5) : 113-167, 2008

      5 수원교회사연구소, "페레올 주교 서한" 2012

      6 조현범, "중국 체류 시기 페레올 주교의 행적과 활동"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5) : 47-111, 2008

      7 宋世興, "조선가톨릭사 편영 九, 복자 안드레아 김대건의 약력" 1934

      8 다블뤼, "조선 주요 순교자 약전" 내포교회사연구소 2014

      9 천주교순교자유적답사회, "이민식 빈첸시오의 삶과 신앙 행적(2)" 480 : 2015

      10 조성희, "용인천주교회사" 용인천주교회사편찬위원회 1981

      1 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 하" 한국교회사연구소 1980

      2 양인성, "한국천주교회사 3" 한국교회사연구소 2017

      3 김구정, "한국순교사화 4" 가톨릭출판사 1976

      4 원재연, "페레올 주교의 조선 입국 후 사목 활동 - 김대건 신부 현양 및 양반중심 교회운영을 중심으로 -"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5) : 113-167, 2008

      5 수원교회사연구소, "페레올 주교 서한" 2012

      6 조현범, "중국 체류 시기 페레올 주교의 행적과 활동"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5) : 47-111, 2008

      7 宋世興, "조선가톨릭사 편영 九, 복자 안드레아 김대건의 약력" 1934

      8 다블뤼, "조선 주요 순교자 약전" 내포교회사연구소 2014

      9 천주교순교자유적답사회, "이민식 빈첸시오의 삶과 신앙 행적(2)" 480 : 2015

      10 조성희, "용인천주교회사" 용인천주교회사편찬위원회 1981

      11 이규경, "오주연문장전산고 경사편 3, 석전류 3, 서학, 斥邪敎辨證說"

      12 임성빈, "신유박해 이후 교회 재건기의 지도자 권기인 요한에 대한 연구 - 양근 권철신 5형제 가문의 혈연을 중심으로 -"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8) : 7-90, 2011

      13 정지웅, "수원교구 30년사" 천주교 수원교구 1993

      14 한국교회사연구소, "성 김대건 신부의 활동과 업적" 1996

      15 한국교회사연구소, "성 김대건 신부의 체포와 순교" 1997

      16 김학렬, "성 김대건 신부의 복사 이의창 레오 순교자" 2021

      17 김용태, "성 김대건 가문의 순교자들과 증거자들" 대건출판사 1996

      18 수원교회사연구소, "샤스탕 신부 서한" 2019

      19 차기진, "박해기 수원 지역에서 활동한 성직자와 그 활동 무대" (여름) : 2004

      20 정종득, "미리내 성지의 교회사적 의의"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5) : 7-46, 2008

      21 임성빈, "미리내 교우촌의 옛이야기, 골배마실, 은이, 미리내의 삼덕송"

      22 한국교회사연구소, "뮈텔 주교 일기 7" 2008

      23 "당신이 천주교인이오?" 대전교구 2021

      24 오기선, "다시 태어나도 사제의 길을" 성황석두루가서원 1985

      25 다블뤼, "다블뤼 주교가 가족들에게 보낸 편지" 내포교회사연구소 2018

      26 서종태, "김대건 신부의 활동과 업적에 대한 연구"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5) : 169-207, 2008

      27 차기진, "김대건 신부의 활동과 업적" 12 : 1997

      28 김성태, "김대건 신부의 전기 자료 검토, In 당신이 천주교인이오?" 2021

      29 임성빈, "김대건 신부의 입국 개척경로 답사기(1~11)" 540~550 : 2020

      30 김영대, "김대건 신부의 삶과 사상 위대한 생애" 가톨릭출판사 1992

      31 최석우, "김대건 신부와 최양업 신부" 184 : 1990

      32 한국교회사연구소, "김대건 신부 순교 150주년 기념 전시회" 1996

      33 "김대건 신부 서한"

      34 "김대건 신부 가계의 거처와 신학교 생활과 사목활동" 수원교구시복시성위원회 2021

      35 수원교회사연구소, "기해·병오 순교자 시복 재판록 1·2권" 2012

      36 임성빈, "고초골·미리내·한덕골 교우촌의 형성과 신앙생활(2~4)" 552·553·555 : 2021

      37 정운택, "검은바위, 사제 서품 기념집"

      38 서종태, "가족과 회장" 형제애 2018

      39 한국교회사연구소, "邪學懲義(영인본)"

      40 차기진, "‘기해·병오 순교자 시복 조사 수속록’ 역주" 12 : 1997

      41 Pichon, "Pro Corea(조선성교사료)"

      42 Daveluy, "Notices des principaux martyrs de Corée"

      43 김정숙, "3·1운동과 한국천주교회" 한국천주교주교회의 2020

      44 이석원, "1830년대 로마가톨릭(천주교)의 동아시아 선교와 조선대목구장 앵베르 주교의 활동"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8) : 91-126,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9 1.10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