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응민 창 ‘이별가’로 본 보성소리 <춘향가>의 한 연원 = Study on One Source of Boseongsori Chunhyangga Based on Jeong Eung-min’s Farewell s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623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정응민 창 ‘이별가’를 현전 보성소리 <춘향가>의 전승자인 정권진, 성우향, 조상현, 성창순이 부른 ‘이별가’, 서편제 계열 <춘향가>의 전승자인 정광수, 김화선, ...

      본 논문에서는 정응민 창 ‘이별가’를 현전 보성소리 <춘향가>의 전승자인 정권진, 성우향, 조상현, 성창순이 부른 ‘이별가’, 서편제 계열 <춘향가>의 전승자인 정광수, 김화선, 정정렬, 박록주가 부른 ‘이별가’와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박유전-정재근-정응민으로 이어진 서편제 계열 <춘향가>가 보성소리 <춘향가>의 한 연원이 되었음을 밝혔다. 정응민이 1961년에 녹음한 ‘이별가’는 ‘창조-중모리-중중모리-중모리’로 구성되는 7-8분가량의 소리이다. 보성소리의 대부로 일컬어지는 명창임에도 그의 육성 녹음 자체가 드문 현실을 고려할 때, 이는 매우 귀중한 음원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정응민 창 ‘이별가’에 나타나는 사설상 특징은 현전 보성소리 <춘향가>의 ‘이별가’보다 현전 서편제 <춘향가>의 ‘이별가’와 유사한 면모를 보인다. 정응민에 앞서 보성소리의 기초를 마련한 인물이 정재근이므로 그 특징도 그에게서 비롯된 것일 가능성이 큰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 정재근의 출신지인 나주가 김창환 가(家), 정창업 가(家), 정재근 가(家)의 세 걸출한 명창 가문이 판소리 전통을 형성․확산한 지역이자, 서편제 <춘향가>가 주로 전승된 곳이었다는 사실이다. 그렇게 나주에 전승된 서편제 <춘향가>의 흔적이 정재근을 거쳐 정응민 창 ‘이별가’에 남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서편제 계열 <춘향가>가 보성소리 <춘향가>의 한 기반이 되었음은 선행 연구를 통해 이미 논의된 부분이나, 이번에 정응민 창 ‘이별가’라는 실제적인 자료에 근거해 그 사실을 구체적으로 재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정응민이 ‘이별가’에 남은 서편제 <춘향가>의 흔적을 계속 그대로 두기만 하지 않았음을 함께 기억할 필요가 있다.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보성소리 <춘향가>를 끊임없이 갈고 다듬었을 정응민의 노력을, 이 ‘이별가’를 통해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vealed that Seopyonje Chunhyangga, passed down following the lineage from Park Yu-jeon to Jeong Jae-geun to Jeong Eung-min has become a source of building Boseongsori Chunhyangga. To prove this, Farewell song sung by Jeong Eung-min was co...

      This paper revealed that Seopyonje Chunhyangga, passed down following the lineage from Park Yu-jeon to Jeong Jae-geun to Jeong Eung-min has become a source of building Boseongsori Chunhyangga. To prove this, Farewell song sung by Jeong Eung-min was compared to Farewell song sung by Jeong Eung-min’s disciples, such as Jeong Gwon-jin, Sung Woo-hyang, Cho Sang-hyun, and Sung Chang-soon, and Farewell song sung by the Seopyonje Chunhyangga s pansori singers, such as Jeong Gwang-su, Kim Hwa-seon, Jeong Jeong-ryeol, and Park Rok-joo. Recorded by Jeong Eung-min in 1961, the Farewell song consists of the rhythm of Changjo, Jungmori, Jungjungmori, and Jungmori, which has a playback time of about seven to eight minutes. Although Jeong is considered the founder of Boseongsori, his vocal recording itself is very rare, making it a very valuable music source. However,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Jung s 1961 recording of the Farewell song are more similar to the Farewell song of the current Seopyonje Chunhyangga than the one sung by Jeong s disciples. Jeong Jae-geun is the one who laid the foundation of Boseongsori before Jeong Eung-min. Hence, it is quite likely that the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from Jeong Jae-geun. What is noteworthy is that his hometown of Naju was where the family members of three prominent pansori master singers, Kim Chang-hwan, Jeong Chang-eup, and Jeong Jae-geun created and popularized the tradition of pansori, and the Seopyeonje Chunhyangga, which was largely passed down. The traces of Seopyonje Chunhyangga, performed in Naju was retained in Jeong Eung-min s Farewell song recorded in 1961, through Jeong Jae-geun. Of course, the fact that the Seopyonje Chunhyangga has become a foundation for Boseongsori Chunhyangga has already been discussed in prior studies, but this paper specifically reaffirmed the fact based on actual data of the Farewell song sung by Jeong Eung-min. However,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Jeong did not let go of the traces he received from Seopyeonje Chunhyangga until the end. The efforts of Jeong, who had constantly refined Boseongsori Chunhyangga until the end of his life, can be confirmed again through the Farewell song of the current Boseongsori Chunhyangg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2. 정응민 창 ‘이별가’와 현전 보성소리 <춘향가>의 ‘이별가’ 간 거리 3. 정응민 창 ‘이별가’와 타 바디 ‘이별가’의 친연성 4. 맺음말: 보성소리 <춘향가>의 한 연원, 나주에 전승된 서편제 <춘향가>
      • 1. 머리말 2. 정응민 창 ‘이별가’와 현전 보성소리 <춘향가>의 ‘이별가’ 간 거리 3. 정응민 창 ‘이별가’와 타 바디 ‘이별가’의 친연성 4. 맺음말: 보성소리 <춘향가>의 한 연원, 나주에 전승된 서편제 <춘향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헌봉, "歷代名唱名人과 그系譜"

      2 아르코예술기록원,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3 최동현, "판소리명창과 고수연구" 신아출판사 1997

      4 최혜진, "판소리 유파의 전승 연구" 민속원 2012

      5 판소리학회, "판소리 명창론" 박이정 2010

      6 최동현, "판소리 동편제 연구" 태학사 1998

      7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다섯 마당" 한국 브리태니커 회사 1982

      8 송미경, "춘향가 소리 대목 및 더늠의 전승 양상과 판소리사적 의미" 고려대학교 2015

      9 한덕수, "창극조 대춘향가" 광주서적인쇄소 1954

      10 "정창관국악녹음집(12) <김화선의 국악세계>"

      1 박헌봉, "歷代名唱名人과 그系譜"

      2 아르코예술기록원,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3 최동현, "판소리명창과 고수연구" 신아출판사 1997

      4 최혜진, "판소리 유파의 전승 연구" 민속원 2012

      5 판소리학회, "판소리 명창론" 박이정 2010

      6 최동현, "판소리 동편제 연구" 태학사 1998

      7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다섯 마당" 한국 브리태니커 회사 1982

      8 송미경, "춘향가 소리 대목 및 더늠의 전승 양상과 판소리사적 의미" 고려대학교 2015

      9 한덕수, "창극조 대춘향가" 광주서적인쇄소 1954

      10 "정창관국악녹음집(12) <김화선의 국악세계>"

      11 최혜진, "정응민 바디 <춘향가>의 성립과 분화 과정" 한국공연문화학회 11 (11): 65-102, 2005

      12 최혜진, "정응민 바디 <심청가>의 성립과 전승 실태 연구" 판소리학회 (20) : 359-392, 2005

      13 정회석, "정응민 가계 〈수궁가〉의 음악적 특징과 전승양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14 서정민, "정응민 <수궁가> 중 초입 네 대목 연구" 판소리학회 (23) : 309-336, 2007

      15 송미경, "자료 : 박록주 <춘향가>" 금오공과대학교 선주문화연구소 17 : 2014

      16 "인간문화재 성창순 판소리 대전집 金世宗版 春香歌"

      17 최난경, "오수암의 생애와 예술" 판소리학회 12 : 253-287, 2001

      18 송미경, "아르코예술기록원 소장 ‘정응민외 판소리집’"

      19 송미경, "아르코예술기록원 소장 ‘정권진 춘향가’"

      20 최동현, "보성소리의 전개" 판소리학회 (21) : 23-44, 2006

      21 배연형, "보성소리와 장재백 춘향가의 형성과정" 판소리학회 (23) : 27-46, 2007

      22 이보형,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16 : 판소리 유파"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2

      23 김명환, "내 북에 앵길 소리가 없어요" 뿌리깊은나무 1991

      24 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 "나주 전통민속예술 및 예인 연구"

      25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자료 시리즈 16 김명환 판소리 고법"

      26 이보형, "고음반에 제시된 판소리 명창제 더늠 Ⅱ" 한국고음반연구회 4 : 5-11,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4 1.57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