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집 : 제1차 국제학술대회 ; 한국에서의 국어교육 연구와 실제 -학술지 수록 논문을 중심으로 = Research and Practi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어교육의 연구 대상은 `국어`와 관련된 내용에 관한 영역과 `교육`과 관련된 방법에 관한 영역으로 나뉘어진다. 이 분야에 대한 최근 학문적 동향을 살피기 위해 유력한 두 학술지인 『국...

      국어교육의 연구 대상은 `국어`와 관련된 내용에 관한 영역과 `교육`과 관련된 방법에 관한 영역으로 나뉘어진다. 이 분야에 대한 최근 학문적 동향을 살피기 위해 유력한 두 학술지인 『국어교육』(한국어교육학회 발행)과 『국어교육학연구』(국어교육학회 발행)에 게재된 논문의 내용과 분포를 살피기로 한다. 최근 3년간 발행된 학술지에 수록된 기획 논문은 최근 국어교육학계의 공적 담론의 위상을 보여 준다. 『국어교육』(2009~2012년, 129~137호)에서는 국어교육의 대내외적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현황을 반영하듯이 국어교육의 대외적 위상을 점검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국어교육의 내적 정합성을 위한 국어과 평가 이론의 정립을 2호에 걸쳐 특집으로 다루고 있다. 『국어교육학연구』(2010~2012년, 39~43호)에는 국어교육의 세부적인 영역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바, 전자 문식성과 어휘, 교육 내용 위계화 등 국어교육의 학문적 주된 관심사에 연구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두 학술지 모두 `교과서`를 심층적으로 다루고 있는데, 이는 2011년에 개정된 국어과 교육과정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두 학술지에 수록된 개별 논문에 대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인 논문은 모두 197편인 바, 이중에서 내용 영역이 `국어`에 해당한 편수는 모두 120편으로 전체의 61%에 해당한다. 방법 영역인 `교육`에 해당하는 편수는 71편으로 전체의 38%에 해당한다. 국어교육학이 전통적으로 국어교과학에 기반을 두고 있는 관계로 내용 영역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에 원인이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들어 국어교육학에 대한 정책적, 실천적 요구가 급증함에 따라 방법 영역인 `교육`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의 과제는 내용 영역에 해당하는 `국어` 분야에 대한 교육적 접근과 방법 영역에 해당하는 `교육` 분야에 대한 국어적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교육` 영역의 게재 논문 현황에서도 볼 수 있듯이, 교과 외적 요구에 의해 국어교육학의 연구 동향이 쉽게 바뀌지 않도록 하는 것도 앞으로의 .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ubjects of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re as follows. One is an area of contents in `Korean language`, the other is an area of method of the education. I will examine those two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because of the academic trends. One i...

      The subjects of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re as follows. One is an area of contents in `Korean language`, the other is an area of method of the education. I will examine those two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because of the academic trends. One is KLE(Korean Language Education) published in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http://www.koredu.org), the other is KLER(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published in Associ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The interests of two journals are as follows. KLE is focused on the external phase to check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KLER is focused on the inner area of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he task of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s as follows. First, it needs the educational approach for the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Second, it needs the approach of Korean language for the method of the education. Third, it should not be changed easily by external demand trend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