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고려전기 사면의례의 구성과 의미 = The Organization and Meaning of Amnesty Ritual in Early Goryeo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amnesty ritual was organized in the former period of Goryeo based on Yeji of 󰡔Goryeosa󰡕 and also designed goods used for amnesty to consider the symbolicity of it. Amnesty ritual is d compared to the other rituals dealt w...

      This study examines how amnesty ritual was organized in the former period of Goryeo based on Yeji of 󰡔Goryeosa󰡕 and also designed goods used for amnesty to consider the symbolicity of it. Amnesty ritual is d compared to the other rituals dealt with in Yeji of 󰡔Goryeosa󰡕, it is more noteworthy as it allows us to understand how the authority of reward and punishment, one of the essentials of royal authority, was operated and manifested at the site. In addition, because the pardoning power was absolute and special right given to the king only, it can be said that examining rituals related to it is a process indispensable to figure out the substance of royal authority in Goryeo.
      Amnesty ritual as an act of ritual to declare a pardon was a means of the king to show his power and a medium for him to exhibit virtuous leadership for all the people. Accordingly, the king made the process of amnesty into a ritual and made good use of it as a means of ruling. Three amnesty rituals found in Yeji of 󰡔Goryeosa󰡕 are the very examples. Among them, ‘Uibongmunseonsaseoui (儀鳳門宣赦書儀)’ and ‘Chinsawonguhusasaui (親祀圓丘後肆赦儀)’ are the ones conducted in the former period of Goryeo, and there were differences found in the moving line of the king or organization.
      In the meantime, the king in Goryeo exhibited his authority and beneficence all over the world by showing uniquely designed goods, many and diverse attendees, and splendid and magnificent scenes for expression in the ritual of amnesty. Also, it came to be firmly positioned as a national event that not only the king and his subjects but all the people could enjoy together.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amnesty ritual in the former period of Goryeo was national ritual in which the king’s authority was manifested visual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고려사』 예지에 수록된 고려전기의 사면의례 구성방식을 살펴보고, 나아가 사면에 쓰인 의장물을 통해 그것이 가지는 상징성을 고찰하였다. 사면의례는 『고려사』 예지에 수...

      본 논문은 『고려사』 예지에 수록된 고려전기의 사면의례 구성방식을 살펴보고, 나아가 사면에 쓰인 의장물을 통해 그것이 가지는 상징성을 고찰하였다. 사면의례는 『고려사』 예지에 수록된 여타의 의례보다 국왕권의 기본 요소인 상벌권(賞罰權)이 현장에서 어떻게 발현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게다가 사면권(赦免權)은 오로지 국왕만이 행사할 수 있는 절대적인 특권이었으므로, 그와 관련된 의례 검토는 고려 왕권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는 불가분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사면의례란 사서(赦書)를 선포하는 의례 행위로, 국왕의 권력을 발현시키는 수단이자 만민에게 덕치를 베푸는 매개체였다. 그에 따라 국왕은 사면을 예식화시켜 통치의 수단으로써 유용하게 사용해왔다. 『고려사』 예지에 수록된 3개의 사면의례가 바로 그것이다. 그 중 ‘의봉문선사서의(儀鳳門宣赦書儀)’와 ‘친사원구사사의(親祀圓丘後肆赦儀)’가 고려전기의 의례로서, 국왕의 동선과 의례 구성내용 방식에서 차이가 있었다.
      한편, 고려 국왕은 사면의례에 독특한 의장물, 다양·다수의 참석자, 화려하고 장엄한 연출적 장면들을 드러냄으로써 자신의 권위와 은혜를 만방에 펼쳐 보였다. 더욱이 군신뿐만 아니라 백성들 모두가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국가적 행사로 연출시켰다. 따라서 고려전기의 사면의례는 국왕의 권위가 시각적으로 발현되던 국가의례라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史"

      2 김철웅, "한국 중세의 吉禮와 雜祀" 경인문화사 2007

      3 김수태, "한국 고대의 축제와 사면" 한국고대사학회 (59) : 253-291, 2010

      4 정동훈, "특집 : 고려시대 사신 영접 의례의 변동과 국가 위상" 한국역사연구회 (98) : 103-140, 2015

      5 와타나베 신이치로, "천공의 옥좌" 신서원 2002

      6 안상복, "중국의 전통 장대곡예(竿技) 그 기원과 역사 전개" 한국중국어문학회 47 : 63-81, 2006

      7 이성구, "중국고대의 주술적 사유와 제왕통치" 일조각 1997

      8 강제훈, "조선 전기의 국가 의례와 의주" 민속원 2015

      9 김용선, "이규보 연보" 일조각 2013

      10 캐서린 벨, "의례의 이해 -의례를 보는 관점들과 의례의 차원들" 한신대학교출판부 2009

      1 "金史"

      2 김철웅, "한국 중세의 吉禮와 雜祀" 경인문화사 2007

      3 김수태, "한국 고대의 축제와 사면" 한국고대사학회 (59) : 253-291, 2010

      4 정동훈, "특집 : 고려시대 사신 영접 의례의 변동과 국가 위상" 한국역사연구회 (98) : 103-140, 2015

      5 와타나베 신이치로, "천공의 옥좌" 신서원 2002

      6 안상복, "중국의 전통 장대곡예(竿技) 그 기원과 역사 전개" 한국중국어문학회 47 : 63-81, 2006

      7 이성구, "중국고대의 주술적 사유와 제왕통치" 일조각 1997

      8 강제훈, "조선 전기의 국가 의례와 의주" 민속원 2015

      9 김용선, "이규보 연보" 일조각 2013

      10 캐서린 벨, "의례의 이해 -의례를 보는 관점들과 의례의 차원들" 한신대학교출판부 2009

      11 채웅석, "월령과 국가" 민속원 2010

      12 한영화, "신라 사면의 의례와 공간" 한국역사연구회 (94) : 75-112, 2014

      13 김종명, "상원연등회와 중동팔관회 -성격 재조명 및 절차 역주"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8

      14 하워드 J. 웨슬러, "비단같고 주옥같은 정치" 고즈원 2005

      15 김양동, "북소리, 그 神命의 세계" (31) : 2004

      16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국역 고려사" 경인문화사 2011

      17 김보광, "고려전기 재상의 임명과정과 宣麻儀" 역사실학회 (68) : 33-66, 2019

      18 김보광, "고려전기 궁궐 구조와 국왕의 정치 공간- ‘합문(閤門)’의 의미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119) : 19-50, 2021

      19 김보광, "고려전기 閣門의 역할과 국가의례상 의미" 국학연구원 (189) : 31-57, 2019

      20 김선미, "고려전기 王太子 朝賀儀를 통해 본 왕태자의 위상" 국학연구원 (189) : 85-112, 2019

      21 안지원, "고려의 불교의례와 문화 -연등・팔관회와 제석도량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22 김아네스, "고려의 국가제사와 왕실의례" 경인문화사 2019

      23 이희덕, "고려유교 정치사상의 연구" 일조각 1984

      24 이진한, "고려시대 본품항두(本品行頭)" 한국역사연구회 (54) : 253-286, 2004

      25 한정수, "고려시대 국가의례의 設行과 統合意識" 한국중세사학회 (55) : 319-360, 2018

      26 김유진, "고려시대 구정(毬庭)의 의례적 활용과 다변성 고찰 ―고려사 「세가」 기록을 중심으로―" 국립민속박물관 (44) : 71-97, 2019

      27 이민기, "고려시대 法駕鹵簿의 구성과 운용" 한국중세사학회 (48) : 157-189, 2017

      28 이현정, "고려시대 毬庭에 관한 연구" 역사학회 (212) : 205-241, 2011

      29 최종석, "고려시대 朝賀儀 의례 구조의 변동과 국가 위상"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1) : 223-264, 2010

      30 박용운, "고려사 백관지 역주" 신서원 2009

      31 윤훈표, "고려 후기 사면(赦免)의 추이와 각 시기별 특징의 분석" 역사실학회 (68) : 67-115, 2019

      32 윤훈표, "고려 전기 사면 실시의 특징과 행형 체계의 수립 방향" 한국사학회 (130) : 49-96, 2018

      33 이정란, "고려 전기 上表 儀禮와 국왕 권위의 顯現" 수선사학회 (68) : 63-93, 2019

      34 김신해, "고려 예종대 ‘恩賜’ 정책의 유형과 정치적 성격" 고려사학회 (58) : 65-124, 2015

      35 윤훈표, "고려 성종대 실시되었던 사면과 그에 수반된 은전에 대한 분석 -특히 宋‧遼의 책봉 및 東‧西京의 행차 때 실시된 것들을 중심으로-" 연세사학연구회 44 : 159-212, 2019

      36 남창근, "고려 본궐 만월대 주요전각 위치와 배치체계" 중앙문화재연구원 (32) : 105-140, 2020

      37 김창현, "고려 도읍과 동아시아 도읍의 비교연구" 새문사 2017

      38 이종서, "고려 국왕과 관리의 복식(服飾)이 반영하는 국가 위상과 자의식의 변동"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0) : 37-63, 2012

      39 김창현, "고려 개경의 구조와 그 이념" 신서원 2002

      40 김대식, "고려 行頭·班首의 검토" 호서사학회 (53) : 307-335, 2009

      41 豊島悠果, "高麗王朝の儀礼と中国" 汲古書院 2017

      42 신호웅, "高麗法制史硏究" 國學資料院 1995

      43 한용근, "高麗時代의 赦에 關한 硏究" (12・13) : 1986

      44 신호웅, "高麗時代의 赦免制度" (21) : 1993

      45 유성국, "高麗時代의 赦免制度" (4) : 1997

      46 노명호, "高麗時代의 多元的天下觀과 海東天子" (105) : 1999

      47 "高麗史節要"

      48 "高麗史"

      49 이민기, "高麗前期鹵簿의 構成과 運用" 한신대학교 2016

      50 이진한, "高麗前期 致仕制의 運營과 官人의 引年致仕" 민족문화연구원 (58) : 273-306, 2013

      51 奧村周司, "高麗における八關會的秩序と國際環境" (16) : 1979

      52 朱丹丹, "骑鹤仙去・骑鸡吉来-试论骑鸟图案的起源及时代变迁" (21) : 2009

      53 이범직, "韓國中世禮思想硏究-五禮를 中心으로" 一潮閣 1991

      54 "隋書"

      55 김택민, "譯註唐律疏議-名例編" 한국법제연구원 1994

      56 佐竹昭, "藤原宮の朝庭と赦宥儀礼-古代宮室構造展開の一試論" (478) : 1988

      57 송진, "秦漢時代 통행 허가와 君命의 상징" 중국고중세사학회 (42) : 147-188, 2016

      58 陈俊强, "皇权的另一面-北朝隋唐恩赦制度研究" 北京大学出版社 2007

      59 "楊文公談苑"

      60 "東文選"

      61 "東國李相國集"

      62 김세배, "朝鮮王朝赦免制度의 硏究" 徽文出版社 1970

      63 "星湖僿說"

      64 大津透, "日唐律令制の財政構造" 岩波書店 2006

      65 "新唐書"

      66 淸木場東, "帝賜の構造-唐代財政史硏究支出編" 中國書店 1997

      67 "封氏聞見記"

      68 谭艳玲, "宋詩中的男子簪花現象研究" 西南大學 2013

      69 "宋史"

      70 于飞虎, "宋代赦宥制度研究" 西南政法大学 2017

      71 冯尕才, "宋代男子簪花习俗及其社会内涵探析" (3) : 2011

      72 孙建权, "守本纳新-辽金赦宥制度研究"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17

      73 "太平御覽"

      74 "大唐開元禮"

      75 "夢華錄"

      76 김상범, "土牛儀禮의 法制化過程과 儀禮變化에 나타나는 時代的 含意 - 天聖令과 唐令의 비교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12) : 133-160, 2009

      77 "唐律疏議"

      78 葛承雍, "唐代金雞風俗談" (70) : 1993

      79 禹成旼, "唐代赦文硏究" 北京大學敎 2003

      80 姬秀丽, "唐代赦免制度硏究" 天津师范大学 2005

      81 田明辉, "唐代赦免制度研究" 西北政法大学 2019

      82 中村裕一, "唐代制勅硏究" 汲古書院 1991

      83 根本誠, "唐代の大赦に就いて" (6) : 1960

      84 佐竹昭, "古代王権と恩赦" 雄山閣出版 1998

      85 于赓哲, "中古放赦文化的象征-金鸡考略" 39 : 2010

      86 김창현, "『고려사』 예지의 구조와 성격" 고려사학회 (44) : 37-83, 2011

      87 이정훈, "『고려사』 예지 가례의 구성과 서술방식" 역사실학회 (72) : 113-148, 2020

      88 Brian E. Mcknight, "The Quality of Mercy -Amnesties and Traditional Chinese Justice" University Press Of Hawaii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6 2.615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