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폴란드 사회주의리얼리즘 소설에 반영된 한국전쟁과 한국의 이미지 = The Korean War and the images of Korea reflected in Polish Socialist Realism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080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사에 유래 없는 동족상잔의 비극을 낳은 한국전쟁은 폴란드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에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다. 표면적인 이유는 자본주의를 비판하고,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를 홍보...

      세계사에 유래 없는 동족상잔의 비극을 낳은 한국전쟁은 폴란드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에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다. 표면적인 이유는 자본주의를 비판하고,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를 홍보하는데 있어 한국전쟁만큼 극적인 이슈가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작품의 내용을 면밀히 검토해보면, 폴란드인들이 '한국'에 대해 갖고 있는 각별한 관심과 우호적인 감정도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1950년대에 발표된 사회주의리얼리즘 계열의 폴란드 소설 가운데, '한국전쟁'을 테마로 한 4권의 책 -『소년 연락병 김애조』(1951), 『다시 찾은 어린 시절의 집』(1953), 『나이팅게일의 무리』(1954), 『어둠 속의 광채』(1956)를 분석 텍스트로 설정하여, 작품 속에 반영된 한국의 이미지와 한국 전쟁의 실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전쟁을 소재로 한 폴란드 사회주의리얼리즘 소설에서 엿볼 수 있는 특징적인 현상은 대부분의 작품들이 청소년 독자의 사상적 개조를 목적으로 씌어졌다는 점이다. 하지만 『소년 연락병 김애조』와 『나이팅게일의 무리』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정치 이데올로기에 입각해서 작위적으로 만들어진 영웅적인 어린이 주인공상(象)은 독자들에게 보편적인 공감과 감흥을 불러일으키는데 실패했다. 오히려 지나치게 미화된 주인공의 모습에서 어린이 특유의 순수함을 상실한 채 너무 일찍 철이 들어버린 그로테스크한 면모가 부각됨으로써 당초의 집필 목적이었던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토착화 보다는 반전(反戰)과 평화의 메시지를 역설적으로 강조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반면에 1950년대 폴란드에서 교육받은 북한 전쟁고아들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 『다시 찾은 어린 시절의 집』이나 북한에 파견된 폴란드 적십자사 의료봉사단의 활약상을 그린 『어둠 속의 광채』의 경우에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지만 널리 알려지지 못했던 구체적인 사건들을 면밀히 조사하여 '문학'이라는 틀 속에 감동적으로 담아냈고, 그 과정에서 인류 보편의 휴머니즘적 가치를 일깨움으로써 작품 저변에 깔려 있는 정치 선동적 목적의식과는 별개로 기록적ㆍ미학적 가치를 획득하는데 성공했다.
      1950년대 한국전쟁을 소재로 한 폴란드 사회주의리얼리즘 소설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당시 작가들이 한국을 역사의 질곡 속에 가혹한 운명을 짊어진 불행한 약소국, 그리고 기아와 빈곤으로 얼룩진 비극의 영토로 형상화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같은 민족끼리 총부리를 겨누어야만 했던 참혹한 한국의 현실에서 외세의 침략과 학살로 일그러진 조국 폴란드의 쓰라린 과거를 떠올리며 동병상련(同病相憐)의 우호적인 감정을 표출하고 있다는 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War was the one of the themes that frequently appeared in Polish Socialist Realism Proses. The representative books include Weronika Tropaczyńska-Ogarkowa's A Little Liaison Kim E-Cho (Mały łącznik Kim E-Cho)(1951), Marian Brand...

      The Korean War was the one of the themes that frequently appeared in Polish Socialist Realism Proses. The representative books include Weronika Tropaczyńska-Ogarkowa's A Little Liaison Kim E-Cho (Mały łącznik Kim E-Cho)(1951), Marian Brandys' The Home of Regained Childhood (Dom odzyskanego dzieciństwa)(1953), Marian Leon Bielicki's The Nightingale's Group (Grupa słowika)(1954) and Andrzej Braun's The Light in the Darkness (Blask Ciemności)(1956).
      Polish Socialist Realism novels about the Korean War show that most of the pieces were written to convert adolescent readers to socialism. However, as you can see in A Little Liaison Kim E-Cho or The Nightingale's Group, the young heroic characters, who were created on political ideologies, failed to draw universal sympathy and to inspire readers. The young characters that are overly beautified stressed the grotesqueness of children, who act like a grown-up with no childhood innocence, and ended up emphasizing the message about antiwar and world peace rather than the socialism propaganda they were supposed to tell. On the other hand, The Home of Regained Childhood, which describes North Korean war orphans, who were trained in Poland in the 1950s, or The Light in the Darkness, which explains the activities of the medical volunteer team of the Polish Red Cross that was dispatched to North Korea, captured the historical meaning of specific events in the framework of 'literature'. They also could gain value as archives and art, regardless of the political propagation that lies underneath.
      In these works, Korea id depicted as the unfortunate weak country that should point a gun to the same nation and the tragic land that is full of starvation and poverty. In addition, they thoroughly attributed the bale for Korean War to USA, and they defined USA as the enemy that Poland should join efforts together with Korea and defeat.
      Even if they commit the error of biased historical recognition, the strong solidarity with Korea appears in Polish Socialist Realism Proses. This is due to the historical similarity between Korea and Poland. Historically, Korea and Poland have been continuously invaded by neighboring countries, and especially during World War II, both of them had to experience the tragedy to lose their sovereignty. Although Korea and Poland had no direct exchange each other in 1950's. Polish writer showed the brotherhood and same feeling to Korean people. In addition, we can find their will to model Korean reality in 1950's, which is historically very similar to Poland, and then calmly examine Polish present and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개요>
      • 1. 들어가는 말
      • 2. 1950년대 폴란드 사회주의리얼리즘 소설에 나타난 한국전쟁
      • 3. 맺는 글
      • <참고문헌>
      • <국문개요>
      • 1. 들어가는 말
      • 2. 1950년대 폴란드 사회주의리얼리즘 소설에 나타난 한국전쟁
      • 3. 맺는 글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석, "한국전쟁과 폴란드" 7 : 73-89, 1998

      2 李民熙, "한국과 폴란드의 자국문학사 이해 비교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3 최성은, "폴란드 사회주의리얼리즘 시(詩)에 나타난 한국전쟁" 동유럽발칸연구소 11 (11): 219-248, 2003

      4 Sieroszewski, Wacław, "Wrażenia z podróży po Korei" Antena Polska 1927

      5 Willaume-Pielka, Ewa, "Tygodnik Powszechny"

      6 Zawodniak, Mariusz, "Teraźniejszość i przeszłość: Studia o życiu literackim socrealizmu. Wydawnictwo Uniwersytetu Kazimierza Wielkieo" Bydgoszcz 2007

      7 Włodarczyk, Wojciech, "Socrealizm: Sztuka polska w latach 1950-1954. Wydawnictwo Literackie" Kraków 1991

      8 Śliwińska, Katarzyna, "Socrealizm w PRL i NRD. Wydawnictwo Poznańskie" Poznań 2006

      9 Krysowata, Jolanta, "Skrzydło Anioła" Warszawa 2013

      10 Krysowata, Jolanta, "Sieroty Koreańskie" (42) : 98-121, 2004

      1 김종석, "한국전쟁과 폴란드" 7 : 73-89, 1998

      2 李民熙, "한국과 폴란드의 자국문학사 이해 비교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3 최성은, "폴란드 사회주의리얼리즘 시(詩)에 나타난 한국전쟁" 동유럽발칸연구소 11 (11): 219-248, 2003

      4 Sieroszewski, Wacław, "Wrażenia z podróży po Korei" Antena Polska 1927

      5 Willaume-Pielka, Ewa, "Tygodnik Powszechny"

      6 Zawodniak, Mariusz, "Teraźniejszość i przeszłość: Studia o życiu literackim socrealizmu. Wydawnictwo Uniwersytetu Kazimierza Wielkieo" Bydgoszcz 2007

      7 Włodarczyk, Wojciech, "Socrealizm: Sztuka polska w latach 1950-1954. Wydawnictwo Literackie" Kraków 1991

      8 Śliwińska, Katarzyna, "Socrealizm w PRL i NRD. Wydawnictwo Poznańskie" Poznań 2006

      9 Krysowata, Jolanta, "Skrzydło Anioła" Warszawa 2013

      10 Krysowata, Jolanta, "Sieroty Koreańskie" (42) : 98-121, 2004

      11 Uniwersytet Śląski, "Realizm socjalistyczny w Polsce z perspektywy 50 lat: Materiały z konferencji naukowej" Karowice 2001

      12 Możejko, Edward, "Realizm socjalistyczny : teoria, rozwój, upadek. Universitas" Kraków 2001

      13 Kucharczyk, Maciej, "Polski MASH ratowali życie pod bombami Amerykanów"

      14 Topaczyńska-Ogarkowa, Weronika, "Mały Łącznik Kim E-Cho. Nasza Księgarnia" Warszawa 1951

      15 Pracki, Lucjan., "Korespondent wojenny z Korei donosi... Wydawnictwo MON" Warszawa 1953

      16 Krysowata, Jolanta, "Kim Ki-Dok"

      17 Leon-Bielicki, Marian, "Grupa Słowika. Nasza Księgarnia" Warszawa 1954

      18 Oczak, Dorota, "Gazeta Wyborca"

      19 Korotyński, Henryk, "Dziesięć tygodni w Korei. Książka i Wiedza" Warszawa 1952

      20 Brandys, Marian, "Dom odzyskanego dzieciństwa. Nasza Księgarnia" Warszawa 1954

      21 Braun, Andrzej, "Blask ciemności" Warszawa 1956

      22 Broniak, Zygmunt, "Amerykańska zaraza nad Koreą. Książka i Wiedza" Warszawa 195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
      2013-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5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