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대학원 교육학과 세부전공 분석 = Analysis of Graduate School Education Major in Korea Using Network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525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전공 개설 현황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5월부터 6월까지 전국 대학의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내 설치 전공을 수집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

      본 연구는 국내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전공 개설 현황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5월부터 6월까지 전국 대학의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내 설치 전공을 수집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대학정보를 공시하는 대학알리미 사이트에서 일반대학원 교육학과가 개설된 학교를 파악한 후, 각 학교 홈페이지와 입시요강을 참고하여 학교별 개설 전공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연결중심성과 근접중심성 측면에서 교육행정 전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육공학, 교육심리, 교육상담, 교육과정, 평생교육 등이 뒤를 이었다. 매개중심성 측면에서는 평생교육 전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육행정, 교육상담, 교육심리, 교육공학, 교육철학 등이 뒤를 이었다. 응집성 분석에서는 전공의 유사성으로 집단이 구별되기보다는 상대적으로 많은 대학에서 설치된 전공과 그렇지 않은 전공으로 구별되는 특징이 있었으며, 구조적 공백에는 고등교육 전공이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교육학과 전공 개설현황을 네트워크 분석으로 시각화하여 각 분석에서 나타난 특징을 해석하였으며, 방법론적으로는 연구 동향 분석에만 주로 사용되어 온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의 범위를 확장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graduate majors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Korea. For the purpose,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nformation on graduate major openings in education nationwide. Results showed that educa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graduate majors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Korea. For the purpose,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nformation on graduate major openings in education nationwide. Results showed that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was the highest in terms of degree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followed by educational technology, education psychology, education counseling, and curriculum. In terms of betweenness-centrality, lifelong educa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educational administration, educational counseling, educational psychology, and educational technology. In cohesive analysis, majors were distinguished depending o n h ow much commonly installed in many universities, rather than depending on how much similar. Higher education majors were located in structural holes. This study analyzed and visualized the current status of majors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Korea using network analysis, and interpre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network analysis. In methodology,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has expanded scopes of keyword network analysis, which has been mainly used for research trend analysi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승환, "핵심어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통한 국내 HRD 연구동향 탐색"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1-33, 2014

      2 최영출,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45 (45): 123-139, 2011

      3 유기웅, "한국과 미국의 대학원 평생교육학 전공 프로그램 비교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22 (22): 121-144, 2019

      4 한용진, "학회지 분석을 통한 한국의 교육사 연구 동향" 교육사학회 20 (20): 155-179, 2010

      5 오경희, "학부과정 교육학과의 교육 경쟁력 제고를 위한 차별화 전략 : 교육학 계열학과의 취업률 및 교육과정 특성 분석에 기초하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5 (25): 801-818, 2013

      6 이상철, "학부과정 교육학 전공학생의 진로분야 발전방안 탐색 -교육학 관련학과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4 (24): 670-686, 2012

      7 박은준, "텍스트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호스피스 간호 연구 주제의 비교 분석" 한국간호과학회 47 (47): 600-612, 2017

      8 허균,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스마트교육 연구동향 탐색 연구" 20 (20): 89-92, 2016

      9 김경민, "코로나 이후 민족주의·보호무역 강화.. 외교·교육정책 등 정부 역할 커질 것" 파이낸셜뉴스

      10 성태제,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한국교육학회 55 (55): 1-21, 2017

      1 정승환, "핵심어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통한 국내 HRD 연구동향 탐색"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1-33, 2014

      2 최영출,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45 (45): 123-139, 2011

      3 유기웅, "한국과 미국의 대학원 평생교육학 전공 프로그램 비교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22 (22): 121-144, 2019

      4 한용진, "학회지 분석을 통한 한국의 교육사 연구 동향" 교육사학회 20 (20): 155-179, 2010

      5 오경희, "학부과정 교육학과의 교육 경쟁력 제고를 위한 차별화 전략 : 교육학 계열학과의 취업률 및 교육과정 특성 분석에 기초하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5 (25): 801-818, 2013

      6 이상철, "학부과정 교육학 전공학생의 진로분야 발전방안 탐색 -교육학 관련학과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4 (24): 670-686, 2012

      7 박은준, "텍스트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호스피스 간호 연구 주제의 비교 분석" 한국간호과학회 47 (47): 600-612, 2017

      8 허균,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스마트교육 연구동향 탐색 연구" 20 (20): 89-92, 2016

      9 김경민, "코로나 이후 민족주의·보호무역 강화.. 외교·교육정책 등 정부 역할 커질 것" 파이낸셜뉴스

      10 성태제,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한국교육학회 55 (55): 1-21, 2017

      11 안병환,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육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197-1218, 2019

      12 신현석, "일반대학원 교육학 교육의 현황과 과제" 교육문제연구소 26 (26): 109-138, 2013

      13 노경란, "여대 사범대학 교육학과생의 진로개발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서울시내 여자대학교 재학생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1 (31): 45-73, 2013

      14 박경진,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육프로그램의 학습목표 특성 분석" 한국영재학회 27 (27): 17-35, 2017

      15 서희정,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미래교육 동향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4 (24): 649-678, 2018

      16 강정배,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활용한 특수교육 분야 연구동향 분석: 1997년 ~ 2014년"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281-306, 2015

      17 이수상,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49-68, 2014

      18 곽기영, "소셜 네트워크 분석" 도서출판 청람 2017

      19 김용학, "사회연결망 분석" 박영사 2016

      20 손충기, "사범대학 교육과정 편성.운영방법 개발을 위한 교사의 요구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251-271, 2004

      21 김철주, "사범계 교육학과의 진로 문제와 진로별 교과교육과정" 한국진로교육학회 30 (30): 89-111, 2017

      22 김재웅, "분과학문으로서 교육학의 위기에 대한 비판적 고찰: 현장적 전문성과 학문적 정체성의 관점에서" 교육연구소 13 (13): 1-26, 2012

      23 이영희, "미래교육 관련 연구 메타분석을 통한 미래교육의 방향" 교육연구소 24 (24): 127-153, 2018

      24 장인실, "미국 사범계 대학원 교육과정의 고찰 -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10 (10): 171-194, 2004

      25 김사훈, "대학원 신설학과 교육과정 개발 사례 연구: 교육학과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139-147, 2019

      26 김대현, "대학교육과정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교육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2 (32): 217-246, 2005

      27 한치근,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Modularity를 이용한 향상된 커뮤니티 추출 알고리즘"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3 (13): 75-82, 2012

      28 장상호, "당신은 교육학자인가?" 10 (10): 1-37, 2005

      29 현영섭, "다문화 학습동아리의 구조적 공백에서 신뢰와 결혼이주 구성원 브로커의 역할"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1-31, 2011

      30 이수용,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활용한 국내 대학원 인적자원개발 전공 교육과정 분석" 교육연구소 32 (32): 75-98, 2019

      31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논형 2012

      32 최지원, "구조적 공백, 개인학습, 반성적 사고의 관계"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135-157, 2014

      33 이동현, "구조적 공백 이론을 이용한 산업간 융합 측정 연구: ICT 산업을 중심으로" 한국산업정보학회 25 (25): 11-19, 2020

      34 송숙경, "교육학과 전공교육과정의 조직요소 분석-교육과정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2 (22): 477-489, 2010

      35 김재춘, "교육학과 교육과정의 편성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교육과학연구소 39 (39): 111-138, 2008

      36 박정, "고등학교「진로와 직업」교육과정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31 (31): 63-80, 2018

      37 신택수, "고등교육기관 핵심 역량의 구조화 및 경쟁력 지표의 개발과 적용: S대학교 교육학과 대학원 과정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8 (8): 21-53, 2007

      38 이재윤, "계량서지적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심성 척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0 (40): 191-214, 2006

      39 World Economic Forum, "The future of jobs. Global Challenge Insight Report" 2016

      40 Burt, R. S., "Structural holes :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41 Borgatti, S. P., "Network analysis of 2-mode data" 19 (19): 243-270, 1997

      42 Newman, M. E., "Modularity and community structure in networks" 103 (103): 8577-8582, 2006

      43 Zhongtai, C., "Key nodes identify in the peasants social network based on structural hole theory" 8 (8): 251-258, 2015

      44 Lee, M. H., "How to respon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r the second information technology revolution? dynamic new combinations between technology, market, and society through open innovation" 4 (4): 1-24, 2018

      45 조헌국,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사회와 교육환경의 변화, 그리고 초·중등 과학교육의 과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6 (36): 286-301, 2017

      46 조정호, "4차 산업혁명시대 교육의 개선방향:인성교육과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한국인격교육학회 13 (13): 75-89, 2019

      47 정혁,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 [4차 산업혁명 기획시리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7

      48 최상덕, "21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미래전략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49 윤진아, "2010~2015년 사회네트워크분석(SNA) 방법 활용 국내외 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영재학회 26 (26): 347-363,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