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SCIE KCI등재

      한국인 7-17세 아동의 두개저, 상악, 하악의 성장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 A Semilongitudinal Study on Cranial Base, Maxilliary and Mandibular Growth of Korean Children aging 7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901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인 7세-17세 아동의 두 개저, 상악, 하악의 사춘기 성장 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남자 251개, 여자 286개의 측모두부계측방사선 사진을 이용, 10개의 계측점과 16개의 계측항목을 설정하고 계...

      한국인 7세-17세 아동의 두 개저, 상악, 하악의 사춘기 성장 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남자 251개, 여자 286개의 측모두부계측방사선 사진을 이용, 10개의 계측점과 16개의 계측항목을 설정하고 계측항목에 대한 계측치와 각 연령별 년간 누년차를 산출한 다음 이들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각 계측항목을 두 개저, 상악, 하악의 세군으로 분류하고 또 남녀별 로 분류하여 비교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한국인 성장기 아동에 있어서의 성장은 남자 아동에 비해 여자 아동이 빠른 시기에 일어났다.
      2. 두 개저, 상악골, 하악골 모두 사춘기 성장을 나타내었으나 두 개저의 성장은 안면골 성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다.
      3. 두 개저 성장에 있어서 전두개저 길이의 증가에 비해 중두개저 및 후두개저의 길이 증가가 현저했으며 사춘긱 성장증가(circumpuberal growth spurt) 양상도 보다 명확했다.
      4. 상악골의 전하방 이동은 상악골 자체의 길이 성장과 상악골 주위 봉합부의 성장에 따른 변위가 종합된 결과로 두 개저에 대한 상악골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Ar-ANS와 Ar-Pr 이 상악골 자체의 길이 성장을 나타내는 ANS-PNS 보다 많은 성장량을 보였다.
      5. 하악골은 수평 성장량에 비해 수직 성장이 약간 크게 나타났으나 유의할 수준은 아니다.
      6. 상악 치조골과 하악 치조골은 유치 탈락후 영구치 맹출시기에 최대 성장률을 보인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하악 치조골의 수직성장에서는 사춘기 성장증가가 관찰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ateral cephalograms of 251 males and 286 females were taken and pubertal growth pattern of cranial base, maxillary and mandible of 7 to 17 years old Korean children was evaluated. 10 landmarks and 16 analytical measurements were evaluated. ...

      Lateral cephalograms of 251 males and 286 females were taken and pubertal growth pattern of cranial base, maxillary and mandible of 7 to 17 years old Korean children was evaluated.
      10 landmarks and 16 analytical measurements were evaluated. Analytical measurement and annual difference for each age group was calculated and test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Analytical measurem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 which were cranial base, maxillary and mandibular measurements and also classified into make and female measurements. Following results were achieved.
      1. The circumpuberal growth spurt was earlier in Korean females than in males.
      2. Cranial base, maxilla and mandible showed circumpuberal growth. The cranial based showed a relatively smaller amount of growth than the facial complex.
      3. Middle and posterior cranial base length showed a greater increase than anterior cranial base length and circumpuberal growth spurt was also more definite.
      4. the forward and downward growth of maxilla results from maxillary growth itself and transposition of the maxilla due to circumsutural growth aroud the maxilla. Ar-AN S and Ar-Pr which represent maxillary position relative to the cranial base showed more growth than ANS-PNS which represents maxillary bone growth.
      5. mandible showed more vertical growth than horizontal growth but without significance.
      6. Alveolar growth of maxilla and mandible show maximum growth rate of the time of permanent teeth eruption following loss of deciduous teeth. After this period alveolar growth shows a decreasing tendenc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