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Union Shop조항에 대한 헌법적 검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3969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헌법 제33조는 근로자의 노동3권을 단결권·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 중에서 단결권은 근로자가 자주적이고 자율적으로 노동조합을 결성할 권리를 말하는데, 이러한 ...

      헌법 제33조는 근로자의 노동3권을 단결권·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 중에서 단결권은 근로자가 자주적이고 자율적으로 노동조합을 결성할 권리를 말하는데, 이러한 노동조합의 결성에 가담하지 않을 자유가 존재하느냐에 대하여 논란이 있다. 여기엔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는 관점이 논의될 수 있다. 첫째, 헌법 제33조에서 규정하는 단결권이 적극적 단결권과 소극적 단결권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인지에 그 핵심이 있다. 둘째, 만약 헌법 제33조가 적극적 단결권만 허용하고 소극적 단결권을 부인하는 논리에 선다면 구체적으로 다른 헌법규정 어디에서 소극적 단결권을 도출하느냐에 관심이 모아진다. 셋째, 소극적 단결권을 다른 헌법규정에서 도출할 수 있다면 조직강제를 규정하는 이른바 Union Shop조항의 위헌성을 판단하는 경우에 어떤 논리를 구성할 것인가에 있다. 위 세 가지 쟁점에 대하여 첫째, 헌법 제33조에서는 소극적 단결권과 적극적 단결권을 함께 보장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 오직 단결권의 경우에 적극적 측면만 내포되어 있다고 볼 이유가 없다. 둘째, 헌법 제33조에서 소극적 단결권을 도출하지 않는 견해들은 단결권의 두 측면을 한 조항에서 도출하는 것이 이론상 정합성이 떨어진다고 보는데, 그것은 기본권 보장의 속성에 비추어 보면 그다지 타당한 논리로 여겨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헌법 제33조에서 정한 단결권의 다른 한 측면이 헌법의 다른 조항에서 도출된다는 것이 어떻게 정합한가에 의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셋째, 헌법재판소는 이른바 Union Shop 조항의 위헌성 여부에 대한 판단에서 단체의 적극적 단결권과 개인의 소극적 단결권이 서로 기본권 충돌(상충)의 관계에 있음을 전제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설명보다 개인의 소극적 단결권이라는 기본권 제한의 측면에서 구성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었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따라서 우리 법체계에서 Union Shop조항은 개인의 소극적 단결권을 제한하는 측면에서 노조에 대한 가입을 강제하여 우리 헌법이 예정하는 자주적 인간상과 어울리지 않으며, 노조가입 후 탈퇴한 근로자를 해고하게 하는 위 조항은 탈퇴 근로자의 직업의 자유를 침해한다. 또한 근로자들이 스스로 복수노조를 통하여 자율경쟁을 확보하라는 입법목적에도 합치되지 않으며, 복수노조의 현행 입법체계에서 구조적 결함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ticle 33 of the Constitution defines three basic labor rights of workers as the right to organize, the right to collective bargaining, and the right to collective action. Of these, the right to organize refers to the right of the workers to independ...

      Article 33 of the Constitution defines three basic labor rights of workers as the right to organize, the right to collective bargaining, and the right to collective action. Of these, the right to organize refers to the right of the workers to independently and freely form a labor union, but there is dispute over whether workers have freedom not to participate in forming a union. The standpoint of approaching this issue from three sides will be discussed here. First, the core of the question lies in whether to view the right to organize prescribed by Article 33 of the Constitution as including both the active and the passive right to organize. Second, if Article 33 of the Constitution stands on the logic of allowing only the active right and denying the passive right to organize, then the attention should focus on whether the passive right to organize can be drawn from other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Third, if the passive right to organize can be drawn from other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then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reasoning on which judgment on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so-called Union Shop provision prescribing compulsory organization is made. In regard to the three points made above, first, there is room for interpreting Article 33 of the Constitution as guaranteeing both the passive and active right to organize. There is no reason to view the right to organize as including only the active aspect. Second, the view that the passive right to organize cannot be drawn from Article 33 of the Constitution is based on the thinking that drawing two aspects of the right to organize from one provision theoretically results in loss of consistency. However, when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rights guarantee are considered, such reasoning does not seem to have much validity. Rather, a question should be raised on how consistent it is in having a different aspect of the right to organize established by Article 33 of the Constitution be drawn from another provision of the Constitution. Third, in its judgment on the unconstitutionality of Union Shop Provision, the Constitutional Court`s exposition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an organization`s active right to organize and an individual`s passive right to organize are in conflict of each other`s basic rights; however, rather than this explanation, it seems more rational to approach the issue from the side of seeing the individual`s passive right to organize as a restriction of basic rights. Accordingly, from the aspect of restricting an individual`s passive right to organize within our legal system, the Union Shop Provision that makes union membership compulsory does not befit the independence of the individual as intended by our Constitution. This provision, by which workers who withdraw from union membership are dismissed, violates the former union workers` freedom of employment. Moreover, this does not accord with the legislative intention of having workers themselves secure free competition through multiple unions, and since the current legislative system of multiple unions contains structural deficiency, removal of the provision seems appropriat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