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스포츠이벤트의 지역사회 기여도 분석 = A Study on Contributions of Sports Events to the Local Commu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303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스포츠이벤트가 지역사회 기여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여 향후 지역사회에서 스포츠 관련 이벤트가 개최되는데 있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

      이 연구는 스포츠이벤트가 지역사회 기여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여 향후 지역사회에서 스포츠 관련 이벤트가 개최되는데 있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9년 11월 1일에서 11월 10일 사이 강원도 동해시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을 대상으로 편의할당표집법(convenient quota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3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는 고상미(2004), 김도훈(2009), 김상훈(2007)의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토대로 이 연구에 부합되도록 수정ㆍ보완하여 작성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Cronbach's α .945~.910로 나타나 설문지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독립 t 검증(independent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이벤트의 지역사회 기여도 인식의 차이는 성별과 최종학력에 차이가 나타났고, 결혼여부, 연령, 소득수준, 직업, 거주기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이벤트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스포츠이벤트의 지역사회 기여도 중 경제적 효과와 도시홍보 효과가 소비자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s of sports events to the local community in order to create and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hold sports related events in local communiti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3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s of sports events to the local community in order to create and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hold sports related events in local communiti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300 samples were selected from local residents in DongHae City, the Province of Gangwon from 1st to 10th of November 2009 by using Convenient Quota Sampling Method.
      The instrument was questionnaire, and it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y of Goh(2004), Kim(2007) and Kim(2009). To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α were conducted. The alpha coefficients were ranged from .945 to .910.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version 12.0. The results were drawn out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gap about sports events' contribution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isted in gend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but did not exist in marital status, age, income level, occupation and period of residence.
      Second, there was no meaningly difference in consumer satisfaction about sports event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rd, among sports events' contributions, economic effect and community PR effec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er satisfa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4
      • 3. 연구모형 및 가설 4
      • 4. 용어의 정의 6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4
      • 3. 연구모형 및 가설 4
      • 4. 용어의 정의 6
      • 5. 연구의 제한점 8
      • Ⅱ. 이론적 배경 9
      • 1. 스포츠이벤트 9
      • 2. 지역사회와 스포츠이벤트 19
      • 3. 스포츠이벤트와 소비자 만족 25
      • 4. 스포츠이벤트를 통한 지역 활성화 사례 28
      • Ⅲ. 연구방법 31
      • 1. 연구대상 31
      • 2. 조사도구 33
      • 3. 조사절차 37
      • 4. 자료처리 37
      • Ⅳ. 연구결과 39
      • 1. 스포츠이벤트의 지역사회 기여 중요도 39
      • 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이벤트의 지역사회 기여도 인식 차이 41
      • 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이벤트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 차이 47
      • 4. 스포츠이벤트의 지역사회 기여도와 소비자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50
      • 5. 스포츠이벤트의 지역사회 기여도가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51
      • Ⅴ. 논의 53
      • Ⅵ. 결론 및 제언 61
      • 1. 결론 61
      • 2. 제언 62
      • 참고 문헌 63
      • 부록 68
      • 국문초록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