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간호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Influencing Sexual Assertiveness of Women University Students in Nurs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758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sexual assertiveness in women students in nursing and also, to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sexual assertiveness. Methods: In this study, 373 women students in nursing who were enro...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sexual assertiveness in women students in nursing and also, to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sexual assertiveness. Methods: In this study, 373 women students in nursing who were enrolled in a university in B city, Korea and who gave written consent completed the questionnaire between May 15 and May 30, 2016.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level of sexual assertiveness in the women students in nursing was 54.84±5.82. Sexual assertiven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gender role stereotypes (r=-.37, p<.001), and permissiveness of dating violence (r=-.15, p<.005),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r=.36, p<.001). Models including the variables explained 18% of the variance for sexual assertiveness. Gender role stereotypes and self-esteem were the influential factors. Conclusion: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sign intervention programs that emphasize sexual assertiveness of women students in nurs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봉선, "청소년 성 주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9 (9): 79-117, 2002

      2 강문희, "정신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아존중감" 정신간호학회 20 (20): 404-413, 2011

      3 유외숙, "이성교제에서 원하지 않는 성관계 요구의 응낙에 대한 설명모형-대학생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793-812, 2004

      4 조규영, "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2795-2806, 2014

      5 이난희, "여대생의 성경험과 성적 자기주장에 대한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414-422, 2016

      6 김소정, "성역할 고정관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성인기 인구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4 (44): 89-111, 2013

      7 하예지, "데이트 폭력 인식과 폭력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30 (30): 79-103, 2014

      8 이영란, "대학생의 성희롱 및 성평등 인식 수준 및 영향 요인"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4 (24): 40-50, 2013

      9 김수진, "대학생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 20 (20): 434-443, 2011

      10 전경숙, "대학생의 성지식, 태도, 행동실태 및 성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1 (21): 45-68, 2004

      1 홍봉선, "청소년 성 주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9 (9): 79-117, 2002

      2 강문희, "정신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아존중감" 정신간호학회 20 (20): 404-413, 2011

      3 유외숙, "이성교제에서 원하지 않는 성관계 요구의 응낙에 대한 설명모형-대학생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793-812, 2004

      4 조규영, "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2795-2806, 2014

      5 이난희, "여대생의 성경험과 성적 자기주장에 대한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414-422, 2016

      6 김소정, "성역할 고정관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성인기 인구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4 (44): 89-111, 2013

      7 하예지, "데이트 폭력 인식과 폭력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30 (30): 79-103, 2014

      8 이영란, "대학생의 성희롱 및 성평등 인식 수준 및 영향 요인"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4 (24): 40-50, 2013

      9 김수진, "대학생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 20 (20): 434-443, 2011

      10 전경숙, "대학생의 성지식, 태도, 행동실태 및 성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1 (21): 45-68, 2004

      11 김영희, "대학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 19 (19): 166-175, 2013

      12 심정신,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성폭력 인지도 및 성폭력 허용도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 18 (18): 117-125, 2012

      13 이은숙,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 성적 자기주장성, 성폭력 인식도, 성폭력 허용도 및 데이트 성폭력 경험" 동서간호학연구소 20 (20): 48-56, 2014

      14 이지연, "대학생의 데이트 성폭력 피해와 가해에 대한 설명모형"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419-436, 2005

      15 김보미, "남녀 대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및 자아존중감과 성적 자기주장과의 관계: 성별의 차이" 여성건강간호학회 21 (21): 11-22, 2015

      16 오숙희, "남․녀 대학생의 강간통념 수용도,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 24 (24): 249-257, 2010

      17 김은주, "간호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성정체성, 성평등의식과 자아존중감" 한국가정간호학회 21 (21): 60-68, 2014

      18 Jang HS,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ating viol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8 : 197-204, 2001

      19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6-, 1965

      20 Morokoff PJ, "Sexual assertiveness scale for women : development and validation" 73 (73): 790-804, 1997

      21 East P, "Sexual assertiveness and adolescents' sexual rights" 34 (34): 212-216, 2002

      22 Jon BJ, "Self-esteem : a test of it's measurability" 11 (11): 107-130, 1974

      23 Kiefer AK, "Scripting sexual passivity : a gender role perspective" 14 : 269-290, 2007

      24 Lee SK,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exual contacts and self-esteem, self -assertiveness of teenage girls who have or had boyfriends" 7 (7): 212-228, 2001

      25 Choi MH., "Factors influencing sexual assertiveness among women college students" Yonsei University 2005

      26 Luthra R,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men and women : evaluation of theoretical model" 21 (21): 717-731, 2006

      27 Yoo SY., "A study on the factor mediating the link between family violence victimization and 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of college women: focusing on the acceptability of dating violence" Yonsei University 2000

      28 Choi MS,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in sex and sexual autonomy of college students" 10 (10): 318-330, 2014

      29 Foo L, "A multivariate investigation of dating aggression" 10 (10): 351-377, 1995

      30 Smith PH, "A longitudinal perspective on dating violence among adolescent and college-age women" 93 (93): 1104-1109,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정신간호학회 -> 한국정신간호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9-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4 1.829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