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수도권주변 단지형전원주택 사례조사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The) case study of revitalization for development of graden housing in capital region ar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9116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지난 반세기동안 꾸준히 경제 발전을 이루었고 무주택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었으며, 여가시간의 증대, 자동차의 급속한 보급, 주5일 근무제도입, 재택근무방식 등 근무환경의...

      우리나라는 지난 반세기동안 꾸준히 경제 발전을 이루었고 무주택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었으며, 여가시간의 증대, 자동차의 급속한 보급, 주5일 근무제도입, 재택근무방식 등 근무환경의 변화요구는 제한된 도시 공간내에서 기존의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다가구주택 등의 주거형태에서 사람들의 가치관이 '일' 과 '최소한의 휴식' 중심에서 '여가활용'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생활공간의 중심이 도심에서 교외로 옮겨가게 되었다.
      그에따라 주거공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변화로 인하여 주거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요구가 급속하게 증가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주거의 변화된 형태인 전원주택 특히 개별적 주택이 아닌 소규모더라도 단지형 전원주택의 미래지향적 방향을 제시한다는 목적을 설정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으로 설정된 목적에 부합시키고자 하였다.
      직접 연구자료로는 2000년도이후 현재 진행 중인 4개단지와 주변의 5호이상의 단위로 그룹화 된 단지형 전원 주택지, 문헌조사, 관련업체들로부터 단지계획도면, 인터넷 관련사이트 검색 등의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기존 문헌 등의 간접자료를 통한 선행 연구동향과 내용을 분석, 기초 자료로 활용하되 수집된 사례 가운데 30개의 대상지를 선정, 현장 답사를 통하여 확인하고 공간적,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정리하는 범위와 방법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각 장별로는 기존 자료 분석을 통하여 전원주택의 발생원인과 유형을 분류하여 전원주택의 성격을 개관하고, 사회 경제적 관점에서 전원 주택의 형성배경을 고찰하였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전원주택의 개발과정 및 관련 법·제도와 허가 사항을 검토하여 관련제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전 연구과정을 통한 수도권지역의 전원주택 개발의 문제점을 실제 사례분석을 통하여 정리하고 앞으로의 활성화 방향을 검토했으며,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전원주택단지의 사례조사 및 문제점을 분석의 결과로부터 체계화 되지 못하는 원인 규명과 활성화 이후의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여 향후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전원주택이 개발되어 전원주택이 주거의 한 형태로 올바르게 정착되고, 주생활의 질적 수준 향상을 통한 건강한 주거문화를 제시하게 될 단지형 전원주택 개발이 활성화 될 수 있는 기초 자료와 기준을 제공하고자 서울 근교의 개발 현황과 개발실태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계획과정에서부터 건축전문가가 전체적인 단지의 마스터플랜에 대한 공간적 계획을 수립하고, 적정규모의 단지화 및 '건설사업관리(CM;Construction Management)방식' 의 도입으로 기획단계에서 설계, 발주, 시공, 유지관리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도입해야 한다.
      둘째, 산발적인 소규모의 난개발의 문제, 공용시설의 부족, 방범문제와 기반시설의 부족등을 기술력과 자본력을 가진 건설업체의 참여를 유도하여 소규모 개발업체별로 조성하는 개별적인 단지가 연접하여 개발되거나 사업지 인근에 개발되는 또 다른 사업에 대해서도 선행사업과의 연계방안을 모색하여 기반시설을 공동으로 이용하게 하는 등 기반시설 및 단지 전체적 개발이 일관성을 지니도록 적극적인 행정력이 발휘되어야 한다.
      셋째, 주택의 생산, 건설, 유지, 폐기와 관련된 각각의 과정에서 자원절약, 에너지절약을 도모하고 자연의 미, 이용 에너지를 재활용하는 등 지구환경의 보전에 대한 적절한 배려가 이루어져야 하고, 불합리하고 까다로운 현행 개발관련 법·제도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넷째, 새로운 대안적 주거문화로써 이질적 지역주민과의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노력으로 마을의 특성, 거주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유사한 유형의 주택으로 주거지를 조성할 때 사회적 접촉을 통해 형성되는 이웃과의 유대감은 공동체를 위한 아이덴티티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전원주택의 합리적인 개발은 과밀화된 대도시의 여러 도시문제를 부분적으로 완화하고 주택문제 해결에도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건축 재료를 다양화하여 전원적 환경에 어울릴 수 있는 소재 및 건축공법의 개발과 연구는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단지형전원주택 형태를 정립, 개발될 수 있게 함으로서 새로운 수요의 주거환경 토대를 마련하는데 기여하고 선진국 수준의 국민소득 증대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확산될 미래 주거의 대안으로 점차 인식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meless problem in Korea has solved a little with the accomplishment of economic development during last Century. Changes in working environment like working at home, introduction of five days' work a week, and increase of leasure time and automobile...

      Homeless problem in Korea has solved a little with the accomplishment of economic development during last Century. Changes in working environment like working at home, introduction of five days' work a week, and increase of leasure time and automobile in such housing forms as apartment buildings, low-rise town housing, and single detached housing, forced to change the life value system of general populace from work-oriented rest to leasure-oriented life, and their cores of living space from urban to suburb area.
      As a result of perceptual change for living space and housing environment, quality requirement for housing improvement has rapidly increased. This study intended to propose future direction of garden housing in block, which was not a single family house but a small-size development as an alternative of urban housing and research method was established as followings.
      Research methods included four developing sites and garden housing in block with five more houses since 2000, literature survey, site planning drawing from general contractors, and internet searches. Thirty site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collected data, followed by every visit to these study areas, and finally analyzed by spatial and physical investigation.
      Each chapter classified causes and types of garden housing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data, and described development background from socio-economic perspective. From the regular aspects, problems and opportunities of related laws, regulations, and permissions/approvals regarding garden housing development, also examined. As a result, revitalization scheme and alternatives of garden housing in the capital region were proposed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Further, this study illuminate problems of unsystematic garden housing development based upon case study analysis and propose revitalization method for planned and systematic development, and consequently present healthy housing culture through the improvement of housing quality. With the analysis of development site around Seoul metropolitan area,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found as followings:
      Firstly, it required systematic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which presides over the whole development process from feasibility analysis, design, bidding, building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nd management, followed by expert participation in mater planning works of garden housing.
      Secondly, active administrative efforts and intervention by local authority were necessary for consistent development of garden housing and infrastructure support through the induction of competent general contractors and partnership development against small-size unsystematic development, deficiency of public facilities, security, and lack of infrastructure, resulting in harmonious serial development, connected to previous projects.
      Thirdly, for the conservation of earth environment, proper consideration needed to be given on recycling of energy and natural sources, and saving energy and resources, which was related to production, building, maintaining, and demolishing of housing, with additional examination of existing unreasonable laws and regulations closely related with development.
      Finally, in an effort to foster community sense as an alternative housing culture, homogeneous housing development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existing village and residents, where close relation with neighbors took place through social interaction, was an important element of identity.
      Resonable garden housing development will contribute to the solution of housing shortage and mitigate urban problems of high-density metropolitan area. Furthermo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various construction materials which is applicable to garden environment, and building technology will establish Korean style garden housing development in block for new demand, and be recognized as a future housing alternative along with advanced country level GNP increa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 목차 = ⅳ
      • 표목차 = ⅵ
      • 사례목차 = ⅶ
      • Ⅰ. 서론 = 1
      • 요약 = ⅰ
      • 목차 = ⅳ
      • 표목차 = ⅵ
      • 사례목차 = ⅶ
      • Ⅰ.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1.1.1 연구배경 = 1
      • 1.1.2 연구목적 = 3
      • 1.1.3 연구 동향 분석 = 3
      •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7
      • 1.3 연구의 범위 = 8
      • Ⅱ. 전원주택 발생원인과 특성 = 10
      • 2.1 전원주택의 사회ㆍ경제적 발생배경 = 10
      • 2.1.1 새로운 주거문화의 요구 = 11
      • 2.1.2 여가활용 및 투자의 가치성 = 16
      • 2.2 전원주택의 분류 = 17
      • 2.2.1 개발방식에 따른 분류 = 19
      • 2.2.2 규모에 따른 분류 = 19
      • 2.2.3 입지에 따른 분류 = 20
      • Ⅲ. 전원주택 단지개발과정 및 관련제도 = 22
      • 3.1 전원주택단지의 개발과정 = 22
      • 3.2 전원주택단지 개발관련 법ㆍ제도 = 23
      • 3.3 전원주택단지의 개발과 허가절차 = 29
      • Ⅳ. 전원주택 단지 사례조사 및 문제점 = 38
      • 4.1 사례조사의 개요 = 38
      • 4.1.1 사례조사 대상선정 = 38
      • 4.1.2 사례조사방법 및 내용 = 39
      • 4.2 단지별 사례조사 = 39
      • 4.2.1 단지별 사례조사결과 = 39
      • 4.2.2 단지별 사례조사지 조사내용 = 41
      • 4.3 사례조사에 의한 문제점 분석 = 70
      • 4.3.1 소규모 산발적인 개발진행 = 70
      • 4.3.2 공용공간 및 기반시설의 부족 = 73
      • 4.3.3 단지 내 도로 폭의 부족 = 75
      • 4.3.4 마스터플랜과 유기적 관계없는 개별주택 건설 = 75
      • 4.3.5 주변 환경과의 부조화 = 76
      • 4.3.6 주민간의 교류문제 = 78
      • 4.3.7 법적 절차상의 문제 = 78
      • Ⅴ. 전원주택단지의 활성화 방안 = 80
      • 5.1 단지개발시의 활성화방안 = 80
      • 5.1.1 적정규모의 단지화 및 C.M(Construction Management) = 80
      • 5.1.2 단지조성 과정의 활성화방안 = 82
      • 5.1.3 방범문제와 기반시설 = 84
      • 5.1.4 단지의 아이덴티티 확보 = 84
      • 5.1.5 주민간의 교류 = 85
      • 5.2 법ㆍ제도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 86
      • 5.2.1 소유권 이전문제 = 86
      • 5.2.2 법적 활성화방안 = 86
      • Ⅵ. 결론 = 88
      • □ 참고문헌 = 91
      • Abstract = 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