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순천시 도시계획의 방법적 전환과 ‘전원적 도시’ 구상 - 1980·90년대 도시계획과 공간 구상 - = “Methodological Transition of Suncheon City and Vision for ‘the Rural City’ - Urban Planning and Spatial Planning in the 1980s and 1990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75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process of urban planning and the feature of urban structure in Suncheon City. The great flood in 1962 first conditioned the urban planning of the city. It mostly focused on rebuilding the city. In the 1980s discussions o...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process of urban planning and the feature of urban structure in Suncheon City. The great flood in 1962 first conditioned the urban planning of the city. It mostly focused on rebuilding the city.
      In the 1980s discussions on new urban planning were initiated. The national development plan and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eastern area of South Jeolla Province stimulated the urban development of Suncheon. The city made a new methodological approach for the establishment of urban planning.
      The establishment of basic planning was made by the participation of specialists and citizens, and with the activity of the Committee for the Urban Planning of Suncheon City. In the 1990s, modifications to the development plan were made. It is noteworthy that the modification process was done wit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citizens of Suncheon. Such urban planning enabled a transition of the structure of the city, from “the linear city” to “the rural c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순천시 도시구조의 ‘현재적 원형’이 되는 1980년대 이후 도시계획의 추진배경과 공간구조의 특징에 대해서 살핀 것이다. 1962년 대홍수를 계기로 순천시는 도시계획의 마련을 시...

      이 논문은 순천시 도시구조의 ‘현재적 원형’이 되는 1980년대 이후 도시계획의 추진배경과 공간구조의 특징에 대해서 살핀 것이다. 1962년 대홍수를 계기로 순천시는 도시계획의 마련을 시작했다. 당시 도시재건 논의는 도시기반 시설에 대한 긴급 복구와 이재민 주택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도시 재건사업이 도시 개발사업으로 전환된 것은 1970년대였다. 여천이 호남정유를 유치하고, 석유화학단지 개발에 나서면서 이를 시야에 둔 순천의 도시개발 방안이 논의되었다.
      하지만 당시까지 도시구조는 동천을 경계로 하는 남북의 도심축에 머물러 있었다. 기존시가지를 중심으로 한 단일축 구조에 균열이 나타난 것은 1980년대였다. 당시 전남동부권은 제2차 국토개발계획으로 새로운 지역의 거점화가 진행되었으며, 광양만권의개발로 지역의 성장 방안이 논의되었다. 1982년 말 시작된 이 도시기본계획의 추진은순천도시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그것은 새로운 전문가 그룹의 등장 속에서 도시의 구조적 변화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국내 도시설계에 풍부한 경험을 가진 동명기술공단과 중앙도시계획위원이자, 홍익대 교수인 나상기 그리고 순천시도시계획위원인 황우수 등이 참여하며 새로운 공간 개념과 지역의 여론이 수렴된 계획안이 완성되었다.
      하지만 이 도시기본계획은 승주군의 불만과 반발을 불러왔다. 순천시의 도시계획권에편입된 서면과 해룡면 대안리의 계획과 권한 변경을 승주군이 요구했다. 도시계획을 둘러싼 도시 간의 갈등은 광양과 광양만권 개발 속에서 심화됐는데, 광양과 여천이 공업도시로 성장하는 것을 견제하면서 순천의 도시계획 수정이 논의되었다. 이 과정에서 순천시는 설문조사와 공청회를 통해서 ‘밑으로부터의 의견 수렴’과 순천시, 순천시도시계획위원회가 중심이 된 ‘위로부터의 계획 조정’을 통해서 완성되었다.
      이로써 신시가지인 연향지구를 중심에 둔 순천의 도시재편 구상이 완성되었다. 또한도심의 녹지와 공원 등을 관리하고, 동천의 하천 및 하류지 정비를 통해서 순천이 ‘전원적 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이루었다. 1990년대 말 순천만의 보존과 2000년대후반 국가정원의 개발은 이 도시계획과 도시구조의 개편 속에서 이루어졌다. 그리고 오천지구와 신대지구로 향하는 도심의 확대와 주거지 성장 역시 1980·90년대 진행된순천의 개발을 토대로 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해방후 민족국가 건설운동과 통일전선" 역사비평사 1991

      2 방기중, "한국근현대사상사연구 -1930·40년대 백남운의 학문과 정치경제사상-" 역사비평사 1992

      3 김의원, "한국국토개발사연구" ㈜대학도서 1982

      4 "지방도시계획소위원회관계철"

      5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이야기로 듣는 국토·도시계획 반백년" 보성각 2009

      6 우승완, "순천의 근대기 도시화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09

      7 "순천도시기본계획승인"

      8 "순천도시기본계획관계철"

      9 순천시, "순천도시기본계획(안)" 1983

      10 순천시, "순천도시기본계획" 1991

      1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해방후 민족국가 건설운동과 통일전선" 역사비평사 1991

      2 방기중, "한국근현대사상사연구 -1930·40년대 백남운의 학문과 정치경제사상-" 역사비평사 1992

      3 김의원, "한국국토개발사연구" ㈜대학도서 1982

      4 "지방도시계획소위원회관계철"

      5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이야기로 듣는 국토·도시계획 반백년" 보성각 2009

      6 우승완, "순천의 근대기 도시화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09

      7 "순천도시기본계획승인"

      8 "순천도시기본계획관계철"

      9 순천시, "순천도시기본계획(안)" 1983

      10 순천시, "순천도시기본계획" 1991

      11 "순천도시계획시설변경결정 (1)"

      12 김득중, "빨갱이의 탄생 : 여순사건과 반공 국가의 형성" 선인 2009

      13 동명기술공단, "동명기술공단 50년사: 1960-2010" 동명기술공단 종합건축사사무소 2011

      14 한광야, "도시에 서다: 순천·여수·구례·남원" 상상 2016

      15 "도시기본계획수립관계철"

      16 "도시계획관계철 (1)"

      17 "도시계획관계"

      18 곽경상, "근현대 시기 순천의 성장과 도시계획의 전환" 연세사학연구회 48 : 597-632, 2021

      19 이정록, "광양만권 잠재력과 비전" 한울아카데미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2 0.64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