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베일러 챔버의 압력과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수분함량이 원형베일 사일리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Baler Chamber Pressure and Moisture Concentration of Italian Ryegrass on Quality of Round Bale Sil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976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baler chamber pressure and moisture concentration of Italian ryegrass on the quality of round bale silage. Italian ryegrass was wilted for 1 (High-moisture), 2 (Medium-moisture), and 4 d...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baler chamber pressure and moisture concentration of Italian ryegrass on the quality of round bale silage. Italian ryegrass was wilted for 1 (High-moisture), 2 (Medium-moisture), and 4 days (Low-moisture). And then, all forages were ensiled for 60 days into round bale silo with different levels of baler chamber pressure at 115, 130, and 145 bar, respectively. Bale weights at fresh and dry were higher in high-moisture and low-moisture forages,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baler chamber pressure on fresh weight, their dry weights were increased. Baler chamber pressure and moisture concentration did not affect NDF, ADF, CF and CP of silage. However, the relative feed value (RFV) was highest in High-moisture bale silage with low baler chamber pressure. Lactic acid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High-moisture bale silage with high baler chamber pressure, but lowest in Low-moisture bale silage with medium baler chamber pressure. Butyric acid concentration was not affected by the baler chamber pressure, but decreased by increase of the pre-wilting day. Silage pH was lower in High-moisture than in Medium and Low-moistrue, but it was not affected by the baler chamber pressur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isture concentration of forage and baler chamber pressure are one of the major factors affecting on fermentation quality of Italian ryegrass round bale sil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원형베일 사일리지 조제에 있어서 원료작물의 수분함량과 베일러 챔버의 압력에 따른 사일리지의 사료가치와발효품질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

      본 연구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원형베일 사일리지 조제에 있어서 원료작물의 수분함량과 베일러 챔버의 압력에 따른 사일리지의 사료가치와발효품질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수확 후 1일(고수분), 2일(중수분) 및 4일간(저수분) 각각 예건하여 서로 다른 수분함량의 이탈리안라이그라스를 베일러 챔버 압력이 115, 130 및 145 bar로 설정된 베일러로 원형베일 사일리지를 조제하여 60일간 저장하였다. 베일 사일리지의무게는 고수분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고, 건물중은 저수분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베일러 압력에 따른 사일리지의 무게는 유의적인차이는 없었으나, 압력이 증가할수록 건물중은 증가하였다. 수분함량과 베일러 압력에 따른 사일리지의 NDF, ADF, CP 및 CF는 처리 간에 유의적인차이가 없었으며, RFV (relative feed value)는 고수분 저압력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actic acid는 고수분-고압력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저수분-중압력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 Butyric acid는 베일러 압력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예건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사일리지 pH는 고수분 처리구가 중수분과 저수분 처리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베일러 압력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원형베일 사일리지 조제 시 조사료의 수분함량과 베일러 챔버의 압력이 사일리지의 발효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근, "유산균제 첨가가 라운드베일 목초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6 (26): 139-146, 2006

      2 김종근, "예건기간이 라운드베일 목초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6 (26): 39-44, 2006

      3 김종근, "수확시 숙기, 예건 및 유산균첨가제 처리가 호밀 원형곤포 사일리지의 건물 손실률 및 형태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5 (35): 283-289, 2015

      4 박형수, "수분함량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헤일리지의 화학적 조성 및 발효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5 (35): 131-136, 2015

      5 이종찬, "수분 조절이 보리와 호밀 silage의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4 (44): 25-32, 2010

      6 Holland C, "The pioneer forage manual: A nutritional guide"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1990

      7 Meeske R, "The effect of adding an enzyme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l inoculant to big round bale oat silage on intake, milk production and milk composition of Jersey cows" 97 : 159-167, 2002

      8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The current situation of forage increase production and supplementation policy" 2015

      9 McDonald P, "The biochemistry of silage" Chalcombe Publ 1991

      10 Muck RE, "Storage temperature effects on proteolysis in alfalfa silage" 31 : 1005-1009, 1988

      1 김종근, "유산균제 첨가가 라운드베일 목초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6 (26): 139-146, 2006

      2 김종근, "예건기간이 라운드베일 목초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6 (26): 39-44, 2006

      3 김종근, "수확시 숙기, 예건 및 유산균첨가제 처리가 호밀 원형곤포 사일리지의 건물 손실률 및 형태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5 (35): 283-289, 2015

      4 박형수, "수분함량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헤일리지의 화학적 조성 및 발효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5 (35): 131-136, 2015

      5 이종찬, "수분 조절이 보리와 호밀 silage의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4 (44): 25-32, 2010

      6 Holland C, "The pioneer forage manual: A nutritional guide"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1990

      7 Meeske R, "The effect of adding an enzyme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l inoculant to big round bale oat silage on intake, milk production and milk composition of Jersey cows" 97 : 159-167, 2002

      8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The current situation of forage increase production and supplementation policy" 2015

      9 McDonald P, "The biochemistry of silage" Chalcombe Publ 1991

      10 Muck RE, "Storage temperature effects on proteolysis in alfalfa silage" 31 : 1005-1009, 1988

      11 Kilic A., "Silo feed(Instruction, Education and Application Proposals)" Bilgehan Press 327-, 1986

      12 Coblentz WK, "Silage review: Recent advances and future technologies for baled silages" 101 : 4075-4092, 2018

      13 Kung L, "Silage review: Interpretation of chemical, microbial, and organoleptic components of silages" 101 : 4020-4033, 2018

      14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0

      15 Zimmer E, "New methods in fodder conservation" 6-7, 1973

      16 Goering HK, "Forage fiber analysis" U.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379 : 1970

      17 Kim JG, "Effects of maturity at harvest and wilting days on quality of round baled rye silage" 14 : 1233-1237, 2001

      18 Han KJ, "Effects of forage length and bale chamber pressure on pearl millet silage" 46 : 337-344, 2006

      19 Seydosoglu S, "Effects of different mixture ratios of grass pea (Lathyrus sativus L.) and barley (Hordeum vulgare)on quality of silage" 42 : 666-670, 2019

      20 이혁준, "Effects of Bacterial Inoculants and Cutting Height on Fermentation Quality of Barley Silag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4 (34): 163-168, 2014

      21 Kim JG, "Effect of maturity at harvest on the changes in nutritive value of round baled rye silage" 20 : 309-316, 2000

      22 Kim JG, "Effect of maturity at harvest and inoculants on the quality of round baled rye silage" 19 : 347-354, 1999

      23 Kim JG, "Effect of management practices on the quality of round baled oat silage" 20 : 185-192, 2000

      24 Andrighetto I, "Conservation of spring cut Italian ryegrass as round bale silage : Effect of stage of maturity on ensiling characteristics and forage nutritive value" 179 : 251-256, 2008

      25 Keles G, "Conservation characteristics of baled grass silages differing in duration of wilting, bale density, and number of layers of plastic stretch-film" 48 : 21-34, 2009

      26 Han KJ, "Bale density and moisture effects on alfalfa round bale silage" 44 : 914-919, 2004

      27 Rhein RT, "Aerobic stability of wheat and orchardgrass round-bale silages during winter" 88 : 1815-1826,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CI등재
      2012-04-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58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