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강점기 손진태 채록 부산지역 민요의 성격과 의의 =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Folk Songs investigated by Sohn, Jin-Tai in Bus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first searched for various folk songs collected by Sohn Jin-tai (1900-1960s) in the Busan a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ext,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se folk songs. The folk song materials collected and surv...

      I first searched for various folk songs collected by Sohn Jin-tai (1900-1960s) in the Busan a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ext,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se folk songs. The folk song materials collected and surveyed by Sohn Jin-tai are as follows. ① 14 song materials sung by the pen name ‘Sohn Jung-ja’ in the literary magazine Keumsung, ② 83 song materials in Korean Oral Folk Songs(1933) edited by Kim So-un, ③ 50 song materials in unpublished note manuscript collecting folk songs, ④ 17 songs cited in folk songs theories. These folk songs are 164 pieces in total.
      Most of the folk songs in the Busan area surveyed and collected by Sohn Jin-tai ranged from August 1922 to before April 1931. These songs are very valuable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in Busan, and most of them are meaningful because they were obtained by direct field survey.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Sohn Jin-tai's folk song recoding method is quite advanced at the time. We can see folk songs as written in tongues, neatly divided by musical scores, annotated dialects or difficult vocabulary, and clearly identified folk song singers.
      The folk song materials collected and surveyed by Sohn Jin-tai were also collected mainly from 'Dongrae-gun Gupo'. Among these, <Arirang> is an interesting song that reflects the condition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needs to be reexamined as 'Gupo Arirang'. <Jang-taryeong>(i. e. Song of Markets) and <Gakseoli-taryeong>(i. e. Song of Beggar) are also folk songs that show the placeness of the area surrounding Gupo. <Quejinachingchingnane> is one of Gyeongsang-do's representative folk songs, and it is noted as a song that shows the song sung in Busan.
      Sohn collected and discussed on Children's Oral Songs and Female Folk Songs with special interest. The folk songs surveyed and collected by Sohn Jin-tai are very important evidences for understanding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Oral Song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folk songs in the 1920s and early 1930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일제강점기에 손진태(1900~1960년대 중반)가 조사, 채록한 부산지역 민요 자료들을 여러 문헌에서 찾는 작업을 한 후, 이들 부산지역 민요 자료가 갖는 성격과 의의를 고찰하는 목적에...

      이 글은 일제강점기에 손진태(1900~1960년대 중반)가 조사, 채록한 부산지역 민요 자료들을 여러 문헌에서 찾는 작업을 한 후, 이들 부산지역 민요 자료가 갖는 성격과 의의를 고찰하는 목적에서 진행된 것이다. 손진태가 조사, 채록한 부산지역 민요 자료는 ① 문예지 『금성』(1924. 1~2)에 ‘손중자(孫重子)’란 필명으로 발표된 14편, ② 김소운이 편찬한 『언문조선구전민요집』(1933)에 수록된 83편, ③ 미발표 유고 원고 수록 민요 자료 50편, ④ 민요론에서 인용된 민요 자료 17편 등으로 전체 164편이 된다.
      손진태가 조사, 채록한 부산지역 민요는 대부분 1922년 8월부터 1931년 4월 이전까지 걸쳐 있다. 이들 자료는 당시 부산지역 민요의 전승 국면과 특징을 이해하는 데 매우 소중한 자료이며, 대부분 손진태가 직접 현장조사를 통해 취득한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손진태의 민요 채록 방식이 당시로서는 상당히 앞선 방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있다. 방언 그대로 채록한 점, 음보를 구분하여 정연하게 채록한 점, 방언이나 어려운 어휘에 주석을 붙인 점, 제보자를 명확하게 밝힌 점 등을 확인할 수 있다손진태가 조사, 채록한 부산지역 민요 자료는 또한 당시 ‘동래군 구포’에서 주로 채록한 것들이다. 이들 중에서 <모심기 노래>는 1920년대 초반 전승 상황을 잘 보여주는 자료이며, <아리랑>은 일제강점기의 세태를 흥미롭게 반영하고 있는 노래로, 일명 ‘구포아리랑’으로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장타령>과 <각설이타령>도 구포를 둘러싼 지역의 장소성을 잘 드러내고 있는 민요로 역시 ‘구포 장타령’과 ‘구포 각설이타령’으로 부를 수 있다. ‘캐지랑이’로 채록된 <쾌지나칭칭나네>도 경상도의 대표적인 민요의 하나로 당시 부산지역에서 불린 노래의 모습을 보여주는 노래로 주목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승희, "현대 문화지리의 이해 : 특정한 공간·장소·경관 등에서 문화는 어떤 양식으로 나타나는가?" 푸른길 2013

      2 최인학, "조선설화집" 민속원 2009

      3 손진태, "조선민담집" 제이앤시 2013

      4 엄필진, "조선동요집" 창문사 1924

      5 김소운, "조선동요선(일문)" 암파서점 1933

      6 최광식, "조산상고문화의 연구)(남창 손진태선생 유고집 1)" 고려대학교 박물관 2002

      7 박경수, "일제강점기 부산지역 아동문학의 형성과 전개과정 연구" 28 : 2012

      8 최광식, "우리나라 역사와 민속" 지식산업사 2012

      9 최광식, "우리나라 민속과 역사(남창 손진태 선생 유고집 2)" 고려대학교 박물관 2002

      10 김소운, "언문조선구전민요집" 제일서방 1933

      1 심승희, "현대 문화지리의 이해 : 특정한 공간·장소·경관 등에서 문화는 어떤 양식으로 나타나는가?" 푸른길 2013

      2 최인학, "조선설화집" 민속원 2009

      3 손진태, "조선민담집" 제이앤시 2013

      4 엄필진, "조선동요집" 창문사 1924

      5 김소운, "조선동요선(일문)" 암파서점 1933

      6 최광식, "조산상고문화의 연구)(남창 손진태선생 유고집 1)" 고려대학교 박물관 2002

      7 박경수, "일제강점기 부산지역 아동문학의 형성과 전개과정 연구" 28 : 2012

      8 최광식, "우리나라 역사와 민속" 지식산업사 2012

      9 최광식, "우리나라 민속과 역사(남창 손진태 선생 유고집 2)" 고려대학교 박물관 2002

      10 김소운, "언문조선구전민요집" 제일서방 1933

      11 김연갑, "아리랑" 현대문화사 1986

      12 김광식, "시미즈 효조[清水兵三]의 조선 민요설화론에 대한 고찰" 온지학회 (28) : 61-86, 2011

      13 최광식, "손진태의 생애와 학문활동" 11 : 2000

      14 황인덕, "손진태의 구비문학 연구" 2 : 1995

      15 이기백, "손진태선생전집1~6(전6권)" 태학사 1981

      16 박경수, "서부산 문화권 민요(Ⅱ)-북구․사상구․사하구 편"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18

      17 박경수, "서부산 문화권 민요(Ⅰ)-강서구 편"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17

      18 박경수, "부산지역 아리랑의 전승 양상과 생성 국면 연구"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33) : 335-381, 2017

      19 김영순, "매일 신보 어린이란 ‘전래동요모집’을 통한 독자와의 소통과 김소운" 동화와번역연구소 (14) : 15-40, 2007

      20 이필영, "남창 손진태의 역사민속학의 성격" 41 : 1985

      21 홍흥구, "남창 손진태의 국문학 연구" 10 : 1997

      22 낙동향토문화원, "낙동강 유역 민속․민요집" 부산직할시 북구(문화공보실) 1993

      23 이수자, "구비문학 연구의 성격과 의의" 11 : 2000

      24 손진태, "朝鮮의 童謠와 兒童性" (22) : 1927

      25 손진태, "朝鮮神歌遺篇" 향토문화사 1930

      26 손진태, "朝鮮心과 朝鮮의 民俗"

      27 손진태, "朝鮮婦謠" 9 (9): 1926

      28 손진태, "朝鮮の童謠と子供" 9 (9): 1926

      29 손진태, "朝鮮の童謠" 1926

      30 손진태, "朝鮮の子守唄と婦謠" 1926

      31 "『금성』 제3호"

      32 "『금성』 제2호"

      33 남근우, "‘손진태학’의 기초연구" 28 : 1996

      34 전계영, "20세기 전반기 민요집 언문 조선구전민요집(1933)에 대한 연구-선행작업: 매일신보(1930) 수록 민요와의 비교 검토-" 한국민요학회 54 (54): 171-214, 2018

      35 류기선, "1930년대 민속학 연구의 한 단면 –손진태의 ‘민속학’ 연구의 성격을 중심으로" 2 :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1.444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