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철도시설의 가설구조물 사고 예방 대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accident for temporary structures in railway fac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7918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35 판사항(6)

      • DDC

        625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v, 58장 : 삽화, 도표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시곤
        참고문헌: 장 55-56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무너짐 사고는 비계, 거푸집, 동바리, 흙막이 가시설 등 가설구조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가설공사 및 가설구조물은 목적구조물과는 다르게 공...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무너짐 사고는 비계, 거푸집, 동바리, 흙막이 가시설 등 가설구조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가설공사 및 가설구조물은 목적구조물과는 다르게 공사를 진행하는 동안 필요에 의해 설치와 해체를 하는 구조물로서 특히 사고예방에 만전을 기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가설구조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과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건설현장에서는 가설구조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설계를 도외시한 경험에 의존한 공사,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과소단면 부재, 결함재료 등을 사용한 시공으로 가설구조물의 안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가설구조물 사고예방과 안전관리체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법령개정 및 관리감독 강화 등 많은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나, 재해예방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철도건설 산업의 경쟁력 확보 및 인명 존중을 실현하기 위하여 가설구조물의 재해예방 개선대책을 다음과 같이 강구하였다.
      첫째, 설계자는 일정규모 이상의 가설구조물에 대하여 조립·가공을 위한 상세한 설계도면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한 구조검토서 작성을 강화하며, 시공자는 설계 성과물을 검토·반영하여 가설구조물을 시공토록 하여야 한다.
      둘째, 흙막이 가설구조물의 계측기 설치에 대한 표준화된 설계도면 작성 및 주의사항을 설계 성과물에 정확히 명시하고, 발주자 및 건설사업관리기술자는 시공단계의 이행여부를 관리·감독하여야 한다.
      셋째, 시공자와 건설사업관리기술자 중심의 안전관리체계를 발주자와 설계자까지 확대하여, 설계단계부터 시공 및 유지관리까지의 안전관리에 대한 책임과 역할을 명확히 하도록 강화된 안전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이 철도건설현장의 가설구조물 사고예방 대책을 제시하였으나 이는 안전을 위한 기본적인 실천이며, 우선적으로 인적오류에 의한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와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철도시설의 가설구조물 재해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로서, 가설구조물 사고저감 및 건설 안전관리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of the collapses occurring at the construction site are related to the temporary structures such as scaffolding, formwork, strut, sheathing strucutre and etc. In the case of the temporary construction and the temporary structure, it is installed ...

      Most of the collapses occurring at the construction site are related to the temporary structures such as scaffolding, formwork, strut, sheathing strucutre and etc. In the case of the temporary construction and the temporary structure, it is installed during construction and dismantled when necessary unlike the target structure. This means that the structures need to be safe, especially in the prevention of accidents.
      Although many efforts and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to prevent the accident of the temporary structure, At the construction site there was a lack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temporary structure. For this reason, not only the design is neglected and experience-based construction carried out, but also the construction site is not properly managed due to the lack of sub-sectional components and defects that have not been verified.
      In order to improve the accident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temporary structure, many efforts have been made such as revision of laws, strengthened supervision of management, and etc but there are limitations to preventing disasters. Therefore, this study has taken the following measures to prevent the disasters of temporary structures in order to secure competitiveness of the railway construction and respect for people.
      First, designers are obliged to prepare a detailed design drawing for assembling and machining of a certain size or more and a structure review document for securing safety, and the constructors should review and reflect the design result to construct a temporary structure.
      Second, the standardized design drawing and precautions should be clearly indicated on the design result for the installation of the measuring instrument of sheathing structure, and the contractor and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technician should manage and supervise the implementation at the construction stage.
      Third,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centered on the contractor and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technician should be extended to the contractor and the designers, and safety equipment should be provided to clarify responsibility and role for safety management from the design stage to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s mentioned above, the measures to prevent accidents of temporary structures at the railroad construction site are a basic practice for safety, and continuous management and education are needed to minimize accidents caused by human error.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accident of a temporary structure in a railroad facility, and hopes that it can be used as a data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accident reduction and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of a temporary struc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 내용 및 범위 3
      • 3. 연구의 수행절차 4
      • Ⅰ. 서 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 내용 및 범위 3
      • 3. 연구의 수행절차 4
      • Ⅱ. 선행연구 고찰 및 시사점 도출 5
      • 1. 선행연구 고찰 5
      • 2. 시사점 도출 8
      • III. 가설구조물 사고 원인 고찰 9
      • 1. 안전관리의 개요 9
      • 2. 국내 가설구조물 관련 기준 및 법적 현황 10
      • 3. 재해의 발생 현황 19
      • 4. 국내 가설공사 재해 사례 33
      • 5. 외국 가설공사 사례 42
      • Ⅳ. 철도시설의 가설구조물 사고 예방 대책 46
      • 1. 설계단계의 가설구조물 안전 개선 46
      • 2. 흙막이 가설구조물의 안전 개선 47
      • 3. 설계단계 안전관리체계 강화 49
      • Ⅴ. 결론 및 향후 추진과제 53
      • 1. 결론 53
      • 2. 향후 추진과제 53
      • 참고 문헌 55
      • 영문초록(Abstract) 57
      • 감사의 글 5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