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용(龍)에 표출된 전통 조형미와 익살의 디자인적 활용 가치 = The Usage for Design of the Traditional Aesthetic Quality and Humor Expressed in Korean Drag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241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먼저 한국용의 미학적 가치를 찾아내기 위한 방법론으로 한국의 조형미(선, 색채, 여백)와 익살의 특징을 서민 예술에 표출된 한국용의 조형적 특성에 대입하여 분석해 보았다. ...

      본 논문은 먼저 한국용의 미학적 가치를 찾아내기 위한 방법론으로 한국의 조형미(선, 색채, 여백)와 익살의 특징을 서민 예술에 표출된 한국용의 조형적 특성에 대입하여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한국용은 그 독자적인 특징이 뚜렷하며 한국의 전통적인 미와 익살의 특징이 선명하게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근거로 제안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의 한국 정체성 표현으로 한국용에 표출된 선, 색채, 여백의 본질을 이해하고 현대적으로 잘 해석한다면 디자인의 새로운 경쟁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한국적 익살에서 그 모티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한국용뿐 만 아니라 전통조형 예술의 전반에 표출되는 한국만의 특징이며 차별화된 독자적 가치를 지닌다.
      셋째, 국가브랜드 가치, 한류, K-pop, K-design, 싸이 등에서 보여준 가능성과 같이 경쟁력이 있는 전통 조형미의 가치를 디자인적인 관점에서 재해석, 현대화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그 대표적인 한 예로 한국용은 서민 문화의 재미있는 아이콘으로 충분한 가치와 정서를 지니고 있다. 여기에 한국적 조형 가치가 더해져서 재조명 된다면 디자인의 새로운 소재로 응용 가능하며, 글로벌 시대 또 하나의 디자인적 활용 가치로 재탄생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methodology to find out the aesthetic value of Korean dragons, this thesis first substitu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esthetic quality (line, color, margin) and humor of Korea with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Korean dragons for analysis. ...

      As a methodology to find out the aesthetic value of Korean dragons, this thesis first substitu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esthetic quality (line, color, margin) and humor of Korea with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Korean dragons for analysis.
      As a result, Korean dragons have distinctive independent characteristics and they clearly reveal the traditional beauty and humor of Korea. On such a basis, the following are suggested.
      Firstly, a new competitiveness in design will be able to be found if the essence of the line, color, and margin expressed in Korean dragons is understood and interpreted well with a modern sense with the expression of Korean identity in the design.
      Secondly, the motive will be able to be found in Korean humor, which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Korea expressed not only in Korean dragons but also throughout the traditional formative arts to have differentiated independent values.
      Thirdly, it is important to reinterpret and modernize competitive values of traditional aesthetic quality which was shown in the value of national brand, Hallyu, K-pop, K-design, Psy, etc. As a representative example, Korean dragons have sufficient value and emotion to be an interesting icon for the culture of ordinary people. If Korean aesthetic value is added to it for review, it can be used as a new design material and reborn with another usage for design in the global er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要約
      • Abstract
      • 1. 서론
      • 2. 한국용의 표현과 의미
      • 3. 한국용에 표출된 전통 조형미
      • 要約
      • Abstract
      • 1. 서론
      • 2. 한국용의 표현과 의미
      • 3. 한국용에 표출된 전통 조형미
      • 4. 한국용에 표출된 익살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朝の民畵 上,下卷" 講談社 1982

      2 호이징하, "호모루렌스" 홍익신서 1981

      3 한국디자인진흥원, "형태와 이미지 연구" 한국디자인진흥원 1996

      4 윤희순, "현대회화의 근본문제" 예술춘추사 1968

      5 야나기 무네요시, "한민족과 그 예술" 탐구당 1976

      6 오병욱, "한국적 미에 대한 오해, 미술이론과현장" (1) : 2003

      7 조요한, "한국인의 해학미" 시공사 1998

      8 김영기, "한국인의 조형의식" 창지사 1991

      9 탁석산, "한국인의 정체성" 책세상 2005

      10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인의 전통조형의식Ⅰ" 한국디자인진흥원 1998

      1 "李朝の民畵 上,下卷" 講談社 1982

      2 호이징하, "호모루렌스" 홍익신서 1981

      3 한국디자인진흥원, "형태와 이미지 연구" 한국디자인진흥원 1996

      4 윤희순, "현대회화의 근본문제" 예술춘추사 1968

      5 야나기 무네요시, "한민족과 그 예술" 탐구당 1976

      6 오병욱, "한국적 미에 대한 오해, 미술이론과현장" (1) : 2003

      7 조요한, "한국인의 해학미" 시공사 1998

      8 김영기, "한국인의 조형의식" 창지사 1991

      9 탁석산, "한국인의 정체성" 책세상 2005

      10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인의 전통조형의식Ⅰ" 한국디자인진흥원 1998

      11 이재만, "한국의 색" 일진사 2005

      12 최성자, "한국의 미-선, 색, 형" 지식산업사 1993

      13 조요한, "한국미의 조명" 열화당 2004

      14 고유섭, "한국미술사 미학논고" 통문관 1972

      15 임두빈, "한국미술사 101장면" 가람기획 1999

      16 권영필, "한국미를 다시 읽는다" 돌베개 2005

      17 이은숙, "한국디자인의 형이상적 특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18 이진구, "전통 조형미를 통한 한국이미지 포스터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25 (25): 83-92, 2012

      19 문은배, "색채의 이용과 활용" 안그라픽스 2005

      20 N. 프라이, "비평의 해부" 을유문화사 1978

      21 조성진, "분청사기의 미감적 특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2 이진구, "민화에 표출된 조형미와 익살을 통한 한국 Vernacular Design의 제언적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23 윤민희, "문화의 키워드, 디자인" 예경 2003

      24 마츠마라 사브르, "동양미술사" 예경 1998

      25 권명광, "권명광 디자인 40년" I & I 2002

      26 야나기 무네요시, "공예문화" 신구 1999

      27 조자룡, "民畵 下卷" 예경산업사 1989

      28 김민수, "21세기 디자인 문화 탐사" 솔출판사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7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8-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저널 [디자인지식저널] -> 디자인지식저널
      외국어명 : Korea Design Knowledge Journal ->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1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산업포럼 -> 한국디자인지식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Knowledge & Industrial Forum -> Korea Design Knowledge Society
      KCI등재후보
      2010-11-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포럼 학술지 [디자인지식논총] -> 한국디자인지식저널 [디자인지식저널]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9-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포럼 -> 한국디자인지식산업포럼
      영문명 : Korea Design Knowledge Forum -> Korea Design Knowledge & Industrial Forum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시아퍼시픽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지식포럼
      영문명 : Asia Pacific Society of Design -> Korea Design Knowledge Forum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