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해(渤海) 구금(口琴)에 대한 악기학적 검토 = A Study on the Kugum of Parhae Dynasty from an Instrumentological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903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5년 연해주(沿海州) 발해(渤海) 유적지 니콜라예프카(Nikolaevka) 성터에서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구금(口琴, 바르간)이 발견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구금의 발견과 그 발견의 의의를 어떻...

      2015년 연해주(沿海州) 발해(渤海) 유적지 니콜라예프카(Nikolaevka) 성터에서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구금(口琴, 바르간)이 발견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구금의 발견과 그 발견의 의의를 어떻게 검토고자, 구금의 기원과 발생에 대해 먼저 검토하고, 이어 유적의 구금의 악기적인 특성, 및 관련 악기인 황(簧)에 대한 우리나라에서의 인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발해 구금의 발견과 그 발견의 의의를 음악사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구금의 기원에 대해서 살펴보면 중국문헌에 황(簧)이라는 이름의 악기로 매우 오랜 역사를 갖고 있었음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그 흔적은 중국의 『시경』(詩經)을 비롯한 다양한 문헌에 그 모습을 전하고 있었으며, 동한대(東漢代)에 죽구금(竹口琴)과 철구금(鐵口琴), 송대(宋代)에 죽황(竹簧), 아황(雅簧), 철황(鐵簧) 등으로 존재했고, 한족을 제외한 소수민족에서 매우 활발히 사용되는 악기였다. 그리고 유럽에서는 12세기 철황 유물이 발견된 가장 이른 것으로 볼 수 있었는데, 아시아에서 발생한 죽구금이 철로 바뀐 후 유라시아로 널리 퍼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발해 구금의 유형은 중국의 분류에 따르면 겸형(鉗形)으로 볼 수 있었고, 유럽식 호칭에 따르면 헤어핀 형태의 초기 철구금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유형은 중앙 아시아, Kahkass, Gorno Altay, Siberia 등지에서 고루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죽구금이 유럽으로 먼저 전파되어 유라시아 초원길을 타고 아시아로 전파되었다는 기존의 가설보다 작스(Sachs)의 논의를 참조하면, 북인도에서 형성된 철구금이 여러 경로로 유럽으로 전파되었을 가능성도 제기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발해 구금은 독주나 합주, 반주로 연주되는 악기로 오락적 기능의 음악으로서 역할 이외에도 의식음악이나 종교음악으로서 연주되었을 가능성이 있었고, 배음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특징을 갖춘 악기로서 발해의 민간음악에 배음 음악이 존재 가능성도 점검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ldest kugum 口琴 ― the jaw harp or vargan ― in existence was found in 2015 at the Nikolaevka historic site in Yonhaeju 沿海州 province where Parhae 渤海, the ancient dynasty was located. This paper explains the discovery of kugum and i...

      The oldest kugum 口琴 ― the jaw harp or vargan ― in existence was found in 2015 at the Nikolaevka historic site in Yonhaeju 沿海州 province where Parhae 渤海, the ancient dynasty was located. This paper explains the discovery of kugum and its meaning by examining the origin and history of the instrument. The paper also explores its characteristic and discusses current academic debates on it in Korea holding up a similar instrument called ‘hwang’ 簧 as an example.
      In terms of its origin, the kugum has a long history written in old Chinese documents. Referred as ‘hwang,’ the image was described in several books, like the Shih-ching 『詩經』 (Book of Odes, Sigyong in Sino-Korean), and was also called in different names, such as ‘chuk (bamboo) kugum’ 竹口琴, ‘ch'ol (metallic) kugum’ 鐵口琴, ‘chuk hwang’ 竹簧, ‘ahwang’ 雅簧, and ‘ch'ol hwangg’ 鐵簧. It was not used by Han 漢 China, but was very popular among minority ethnic groups.
      The metallic kugum was found in the twelfth century in Europe, and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a kind of bamboo kugum invented in Asia was probably spread to Euro Asia regions as it was modified in different materials.
      The figure of Parhae kugum is in sickle-like shape, and it is classified as ‘hairpin type,’ an earlier metal version, according to the name used in Europe. Similar kinds were also found in wide range of regions of Central Asia, Kahkass, Gorno Altay, and Siberia. In this regard, the paper proposes a different point of view that the metallic kugum may have spread to Europe from Northern India in diverse routes, proving against the previous hypothesis which claims the earlier spread in Europe and the later delivery to Asia through Eurasian grassland road.
      Finally, it seems that the Parhae kugum was used not only for festive music, but also ritualistic or religious music. Also, the folk music of Parhae would have possibly had overtone music because the kugum could produce overton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