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령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도・농간 비교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522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그간 고령자 삶의 만족도와 관련변인 간 관계성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연구가 미흡했던 고령자 삶의 만족도와 영향 변인간의 관계를 국내 고령사...

      본 연구는 그간 고령자 삶의 만족도와 관련변인 간 관계성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연구가 미흡했던 고령자 삶의 만족도와 영향 변인간의 관계를 국내 고령사회의 공간적 특성과 연관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Korea Employnent Information Service)의 ‘고령화연구패널’(KLoSA) 6차 조사자료(2016년)의 65세 이상 고료자 자료를 추출하여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전체 표본(n=4552)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주요관심사안인 고령자 삶의 만족도가 도시와 농촌이라는 공간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농촌지역 고령자 삶의 만족도가 도시지역 고령자에 비해 약 1.6점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 단계로 도시와 농촌이라는 공간적 특성에 따라 고령자 삶의 만족도와 주요 영향변인간 관계를 분석 한 결과 도시지역은 노인 종합돌봄서비스의 확대, 고령자 돌봄 여행・문화관람 바우처 지원 확대 등과 같은 복지차원의 정책이 보다 효과적인 반면,농촌지역은 고령자에 대한 맞춤형 일자리 공급을 통한 소득 보전, 즉 경제활동지원정책이 보다 효과적인 정책적 수단이 될 수 있으리라는 결론을 얻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were numerous studies on the element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South Korea. But few studies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terms of spatial property. This study compared factors affect...

      There were numerous studies on the element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South Korea. But few studies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terms of spatial property. This study compared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in South Korea.
      This study examined if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 in Korea based on the data (n=4552) of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from the 6th survey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at Korea Employnent Information Service.
      The study found that, if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in rural area is 1.6 point higher than that of elderly people in urban area.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at welfare policies such as expansion of comprehensiv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support for elderly care tour, and expansion of voucher for cultural viewing are more effective for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urban area. While, in the rural areas, it was concluded that income protection through the provision of customized jobs for the elderly, that is, economic activity support policy could become a more effective policy instrumen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