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에서 주관적 시간웰빙 유형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of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for the Married Wor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50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노동자의 여가참여를 통한 일·삶 균형을 위해 조직의 여가지원 가능성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에서 주관적 시간웰...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노동자의 여가참여를 통한 일·삶 균형을 위해 조직의 여가지원 가능성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에서 주관적 시간웰빙을 충족하는 두 가지 조건의 관계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주요 영향요인을 밝혔다. 그런 다음, 일-여가-가정 간 균형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가족친화조직 30~40대 기혼노동자 320명이며, 설문조사 자료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보면 첫째, 여가생활에서 기혼노동자의 주관적 시간웰빙은 일로 인한 여가시간압박(WL시간압박)과 여가만족 수준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에서 주관적 시간웰빙을 지각하는 유형4를 기준으로 할 때 유형1의 주요 영향요인은 주당 노동시간이고, 유형2와 유형3은 주말 희망-실제 여가시간 차이와 여가지속성으로 밝혀졌다. 셋째, 네 유형은 일-여가 촉진과 일-여가 균형만족과 정적 관련성을 가졌다. 결론적으로, 여가생활에서 기혼노동자의 주관적 시간웰빙 인식은 낮은 WL여가시간압박 조건과 높은 여가만족 조건의 충족과 관련이 깊다. 따라서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 지원은 주관적 시간웰빙의 두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개인차원을 넘어 사회적 관심과 조직단위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요청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leisure support for the married workers working for family-friendly firms. For this purpose, the types of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were developed and the effect of predictor variables of each type was...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leisure support for the married workers working for family-friendly firms. For this purpose, the types of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were developed and the effect of predictor variables of each type was investigated. Also, a balanc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leisure and family using the types was tes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20 married workers in their 30s~40s working for family-friendly firm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consisted of four types according to work-to-leisure time pressure and leisure satisfaction levels.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types were working week, difference between preferred and actual weekend leisure time, and leisure continuity. Also,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group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work-leisure facilitation and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In conclusion, workers are aware of their self-perceived temporal well-be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y work in lower time pressure and feel higher leisure satisfaction in leisure activities. That means the leisure support policy for workers should support by organizational unit beyond individual and family leve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경선, "한국인의 여가생활패턴과 삶의 만족도" 여가문화학회 14 (14): 57-84, 2016

      2 신규리, "한국 직장인의 일-여가 갈등, 일-여가 촉진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성 연구" 여가문화학회 16 (16): 39-58, 2018

      3 홍계훈, "팀 내에서 느끼는 긍정감정과 자기효능감이 관계적 응집성과다양성 태도, 역할 외 행동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 대한경영학회 30 (30): 813-833, 2017

      4 이윤석, "취업한 기혼 남녀의 일과 가족 전이 : 부정적 전이와 긍정적 전이의 통합적 접근" 한국인구학회 33 (33): 1-31, 2010

      5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지자체 및 기업의 여가지원제도 연구" 문화관광부 2006

      6 차승은, "중년의 일, 가족, 여가시간 배분유형과 유형결정요인: 취업한 기혼 남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6 (46): 103-116, 2008

      7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 2018

      8 이국희, "일하고 놀까? 놀고 일할까? : 행복, 관계 그리고 여가 우선 선택" 여가문화학회 16 (16): 29-53, 2018

      9 서리나, "일을 할 것인가, 여가를 즐길 것인가 - 30대~50대 기혼자의 향후 일 - 여가 시간투자 의향의 영향요인 분석 -" 한국관광학회 40 (40): 63-82, 2016

      10 김정운, "일과 삶의 조화(Work-Life Balance)’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효과성" 2 (2): 29-48, 2005

      1 민경선, "한국인의 여가생활패턴과 삶의 만족도" 여가문화학회 14 (14): 57-84, 2016

      2 신규리, "한국 직장인의 일-여가 갈등, 일-여가 촉진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성 연구" 여가문화학회 16 (16): 39-58, 2018

      3 홍계훈, "팀 내에서 느끼는 긍정감정과 자기효능감이 관계적 응집성과다양성 태도, 역할 외 행동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 대한경영학회 30 (30): 813-833, 2017

      4 이윤석, "취업한 기혼 남녀의 일과 가족 전이 : 부정적 전이와 긍정적 전이의 통합적 접근" 한국인구학회 33 (33): 1-31, 2010

      5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지자체 및 기업의 여가지원제도 연구" 문화관광부 2006

      6 차승은, "중년의 일, 가족, 여가시간 배분유형과 유형결정요인: 취업한 기혼 남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6 (46): 103-116, 2008

      7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 2018

      8 이국희, "일하고 놀까? 놀고 일할까? : 행복, 관계 그리고 여가 우선 선택" 여가문화학회 16 (16): 29-53, 2018

      9 서리나, "일을 할 것인가, 여가를 즐길 것인가 - 30대~50대 기혼자의 향후 일 - 여가 시간투자 의향의 영향요인 분석 -" 한국관광학회 40 (40): 63-82, 2016

      10 김정운, "일과 삶의 조화(Work-Life Balance)’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효과성" 2 (2): 29-48, 2005

      11 박정열,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국내 정책의 현황 및 시사점" 여가문화학회 14 (14): 1-22, 2016

      12 손영미, "일과 삶의 균형 정책의 도입에 관한 연구" 12 : 987-1000, 2006

      13 신규리, "일-여가 갈등 및 일-여가 촉진 척도 개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40 (40): 101-116, 2016

      14 정세희, "일-가정 촉진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229-236, 2013

      15 차승은, "유급노동시간, 시간압박감 그리고 휴식의 효과" 한국인구학회 37 (37): 25-52, 2014

      16 장훈, "여가친화기업인증제 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7

      17 김진욱, "시간압박, 누가 얼마나 경험하는가?: 한국 기혼부부의 수면, 개인관리, 여가시간 결핍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2 (42): 135-161, 2015

      18 이선명,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 취업여성의 시간사용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54 (54): 541-550, 2016

      19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정책실 지역문화정책과 보도자료"

      20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여가행복지수 개발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3

      21 문화체육관광부 새문화정책준비단, "문화비전2030: 사람이 있는 문화" 2018

      22 여성가족부,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3 배규식, "노동시간과 일·생활 균형" 국노동연구원 2013

      24 장훈, "기업 여가활성화를 위한 정책수립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25 이현아, "근로자들의 근무유연성에 대한 요구 분석 - 한 가족친화인증기업 근로자들의 사례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 (15): 63-84, 2011

      26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국민여가활동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6

      27 강혜정, "국내 가족친화인증 기업들의 가족친화경영 조직문화 형성을 위한 향후 과제" 1-14, 2016

      28 민현정, "광전 리더스 INFO" 광주전남연구원 2018

      29 서리나, "가족친화조직 기혼노동자의 일-여가-가정 균형 모델과 여가참여행동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8

      30 양동훈, "가족친화제도와 조직성과의 관계: 1인당 매출액과 자발적 이직률을 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25 (25): 81-107, 2017

      31 이용호, "가족친화제도와 상사의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일-삶의균형을 매개로" 25 (25): 69-87, 2017

      32 전종근, "가족친화제도 활용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가족친화인증기업을 대상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7 (27): 175-196, 2017

      33 성민정, "가족친화제도 디커플링 인식과 영향요인: 출산육아 및 근로시간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1 (51): 185-215, 2017

      34 정영금, "가족친화문화 조성을 위한 가족친화지원사업의 발전방향" 36 (36): 85-102, 2017

      35 이유리, "가족친화 인증후 컨설팅사업의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2 (22): 1-21, 2018

      36 김정운,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여가문화학회 5 (5): 53-69, 2008

      37 이혜정, "Y세대의 일과 삶의 균형: 세대별 일의 가치를 통해 본 의미 및 역할" 한국노동연구원 13 (13): 1-31, 2013

      38 Odle-Dusseau, H. N, "Work-family balance, well-being, and organizational outcomes : Investigating actual versus desired work-family time discrepancies" 27 (27): 331-343, 2012

      39 Valcour, M, "Work-based resources as moder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hours and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92 : 1512-1523, 2007

      40 Binachi, S. M, "Work, Family, Health and Well-be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17, 2005

      41 Johnson, S. E, "Time pressure and the wellbeing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in Australia" Curtin University 2010

      42 DeVoe, S. E, "Time is tight : How higher economic value of time increases feelings of time pressure" 75 : 440-454, 2011

      43 Fredrickson, B. L, "The value of positive emotions" 91 : 330-335, 2003

      44 Gimenez-Nadal, J. I, "The time-crunch paradox" 102 (102): 181-196, 2011

      45 Chen, C,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value of time and feeling of time pressure" 43 (43): 1395-1408, 2015

      46 Voydanoff, P, "The effects of work demands and resources on work-to-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66 : 398-412, 2004

      47 Bittman, M, "The Rush Hour : The Character of Leisure Time and Gender Equity" 79 (79): 165-189, 2000

      48 Lee, N, "The Impact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on women’s perceptions of role balance" 35 (35): 1252-1274, 2013

      49 Taneja, S, "Sustaining work schedules: Balancing work and leisure" 12 (12): 113-122, 2013

      50 Larsson, J, "Subject temporal wellbeing: Defining, measuring, and applying a new concept" 3 : 1-12, 2017

      51 Lin, J. H, "Promoting frontline employees’quality of life: Leisure benefit systems and work-to-leisure conflicts" 36 : 178-187, 2013

      52 Fredrickson, B. L, "Positive emotions broaden the scope of attention and thought-action repertories" 19 (19): 313-332, 2005

      53 Merrill, A. R, "Life matters: Creating dynamics of work, family, time, and money" McGraw-Hill 2003

      54 Mansour, S, "How the need for“leisure benefit systems”as a “resource passages” moderates the effect of work-leisure conflict on job burnout and intention to leave: A study in the hotel industry in Quebec" 27 : 4-11, 2016

      55 Frone, M. R, "Handbook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43-162, 2003

      56 OECD, "Better Life Index"

      57 문화체육관광부, "2019년 여가친화기업 선정·지원 사업 개요"

      58 김종순, "20-40대 직장여성의 일과 여가 그리고 행복의 관계" 여가문화학회 14 (14): 67-85,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5 1.25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5 1.3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