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주 시조의 장르 의식과 디아스포라 = Korean-American Sijo's Genre Consciousness and Diaspo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753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주 시조의 상상력은 두 가지 차원이 공존하고 있다. 하나는 밖으로 넓어지는 원심적상상력과 관련되는 세계화 지향이다. 미주의 특정한 지역을 시적 상상의 매개로 삼을 경우, 그 지리적 ...

      미주 시조의 상상력은 두 가지 차원이 공존하고 있다. 하나는 밖으로 넓어지는 원심적상상력과 관련되는 세계화 지향이다. 미주의 특정한 지역을 시적 상상의 매개로 삼을 경우, 그 지리적 상상에 대한 동일시는 고향에 대한 애착을 넘어서서 현지의 삶을 적극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것이다. 미주 시조가 보여주는 다른 하나의 특성은 안으로 깊어지는 구심적 상상력과 관련되는 민족성 지향이다. 디아스포라 혹은 향수와 관련되는 이러한 특성은 국내 시조와는 다른, 한인 시조만이 지니는 특수성이다. 미주의 한인 시인들은 낯선 이국땅에서 이민자로 살아가면서 마음 깊은 곳에는 디아스포라를 간직하고 살아간다. 모국을 향한 노스탤지어를 포함하는 디아스포라는 미주 시조가 보여주는 핵심적 특수성에 속한다.
      미주 시조는 이처럼 깊이와 넓이가 상호 교직하면서 미주 한인 시문학사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해 왔다. 그 문학사적 의미는 첫째, 시조에 대한 자의식을 간직하고 세계화를 지향했다는 점이다. 미주 시인들은 시조의 장르적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시조를 세계 각 나라에 보급하고자 노력했다. 둘째, 한국 시조의 한 부분이자 지역 시조로서의 위상을 갖추었다는 점이다. 미주는 국내의 특정한 지역과 마찬가지로 특수한 시조 문학 단위로 자리를 잡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지리적 상상과 관련하여 국내 시조와는 다른 특수성을지닌다는 점이다. 즉 미주 시조는 미주 지역의 특정한 지역을 바탕으로 하는 지리적 상상을 빈도 높게 보여주었다. 따라서 미주 시조는 한국 시문학사 내지는 미주 시문학사에서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문제는 미주 시조의 미래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하는 것인데, 이는 비단 미주 시조뿐만 아니라 미주 문학 전반과 관련된 사안이다. 안타까운 것은 현재 미주 지역에서 활동하는 시조 시인은 대략 20여 명으로 파악되는데, 이들은 대부분 연로하여 창작 활동을 지속할 만한 시간이 많지 않다는 사실이다. 미주에서는 일반 시단도 그렇거니와 시조 시단은 더더욱 고령화가 심각한 상태이다. 신진 시조 시인들이 거의 등장하지 않고 있는 점은더 심각한 문제이다. 영문 시조를 창작하면서 그 타개책을 모색하고 있지만, 그것이 과연고유의 장르 의식을 온전히 지키면서 문학성을 고양해 나갈 수 있을지 의문이다. 그 의문에 대한 현답(賢答)을 찾기 위해서는 또 다른 논의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종찬, "현대시조의 진로모색과 세계화 문제 연구" 한국시조학회 (23) : 33-48, 2005

      2 이경영, "현대시와 현대시조의 소통 ―리듬과 형식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41) : 321-352, 2011

      3 Christian Norberg Sohulz, "장소의 혼" 태림문화사 2008

      4 김현주,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5 강명혜, "시조의 변이 양상" 한국시조학회 (24) : 1-1, 2006

      6 김성문, "시조문학의 가치와 위상, 그리고 세계화 방안 모색" 한국시조학회 (41) : 31-62, 2014

      7 미주시조시인협회, "사막의 별" 가람출판사 1996

      8 SIJO Society of America, "사막의 민들레" 도서출판 나라 1994

      9 미주시조연구회, "사막의 달" 도서출판 백상 1989

      10 이형권, "미주 한인시의 디아스포라와 공동체 의식" 어문연구학회 74 : 447-471, 2012

      1 임종찬, "현대시조의 진로모색과 세계화 문제 연구" 한국시조학회 (23) : 33-48, 2005

      2 이경영, "현대시와 현대시조의 소통 ―리듬과 형식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41) : 321-352, 2011

      3 Christian Norberg Sohulz, "장소의 혼" 태림문화사 2008

      4 김현주,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5 강명혜, "시조의 변이 양상" 한국시조학회 (24) : 1-1, 2006

      6 김성문, "시조문학의 가치와 위상, 그리고 세계화 방안 모색" 한국시조학회 (41) : 31-62, 2014

      7 미주시조시인협회, "사막의 별" 가람출판사 1996

      8 SIJO Society of America, "사막의 민들레" 도서출판 나라 1994

      9 미주시조연구회, "사막의 달" 도서출판 백상 1989

      10 이형권, "미주 한인시의 디아스포라와 공동체 의식" 어문연구학회 74 : 447-471, 2012

      11 박미영, "미주 시조 선집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작가 의식" 한국시가학회 25 : 259-300, 2008

      12 박미영, "미주 시조 선집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시조론" 한국시조학회 (30) : 53-90, 2009

      13 박미영, "미주 발간 창작영어시조집에 나타난 시조의 형식과 그 의미 -『Around the Tree of Light』·『Modern Sijo』·『Urban Temple』을 중심으로" 한국시조학회 (34) : 71-110, 2011

      14 M.H. Abrams, "The Mirror and Lamp" The Noreon Library 19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879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