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판적 담화 분석`의 문법교육적 적용 가능성 = Grammar Educational Application Possibility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Focused on Grammar Discourse Education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grammar educational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discourse education in the grammar education, it would suggest a way of the grammar d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grammar educational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discourse education in the grammar education, it would suggest a way of the grammar discourse education design applied by CDA. To establish this purpose, it looks at concepts of CDA, arranges arguments about Korean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is theory. It finds out that arguments about contents and methods of the critical reading education are centralized from CDA. But this study realizes a starting point of these application is the grammar education. So it pays attention to the discourse education which are emphasizing “contextuality” in grammar education, considers contents of the discourse education reflectively. As a result, it determines that there are two aspects could be complemented by CDA. Those ar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a discourse”, “Appropriate and efficient Korean language life”, it suggests aways of contents design in the discourse education from CDA: “Discourse analysis method(Fairclough, 1992)”, “Critical Language Awareness (Fairclough, 1995)”. Concretely, in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a discourse”, the “Discourse analysis method” could give a sociocultural practicality of a discourse to this aspect, the following examples of theses could be emphasized: “A discourse connotes the power of sociocultural practice”, “A meaning of a discourse is constructed by functionally, and critically”. And the “Critical language awareness” could give the value of language use to the “Appropriate and efficient Korean language life”, so “the valuable Korean language life”, “language and power in a discourse communication”, “language and identity (awareness)”, and “language and human relationships” could be designed in this aspect. This study has a meaning that it opens to inquire various sociocultural meanings in the grammar discourse education applying CDA, ultimately it lays foundation stone to apply CDA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ansive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Ⅱ. "비판적 담화 분석"과 국어교육적 적용
      • Ⅲ. 문법 담화 교육 내용에 대한 반성적 고찰
      • Ⅳ. "비판적 담화 분석"을 적용한 담화 교육 설계 방향
      • Ⅴ. 연구의 요약과 전망
      • 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Ⅱ. "비판적 담화 분석"과 국어교육적 적용
      • Ⅲ. 문법 담화 교육 내용에 대한 반성적 고찰
      • Ⅳ. "비판적 담화 분석"을 적용한 담화 교육 설계 방향
      • Ⅴ. 연구의 요약과 전망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관규, "학교 문법론(제3판)" 월인 2012

      2 임지룡, "학교 문법과 문법 교육" 박이정 2005

      3 조국현, "텍스트언어학의 탈(脫)언어학화- 한국 텍스트언어학의 미래에 대한 단상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9) : 365-393, 2005

      4 Heinemann, W, "텍스트언어학 입문" 역락 2001

      5 김규훈,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론"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6 최건아, "중학생의 소그룹 상호작용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한국국어교육학회 (102) : 181-213, 2015

      7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Ⅱ)-국어, 도덕, 사회-"

      8 김혜숙, "우리 말글 교육의 모습과 쓰임" 월인 2005

      9 김은성, "영국의 문법교육에 대한 고찰" 한국문법교육 학회 2 : 1-36, 2005

      10 Fairclough, N., "언어와 권력" 도서출판 경진 2011

      1 이관규, "학교 문법론(제3판)" 월인 2012

      2 임지룡, "학교 문법과 문법 교육" 박이정 2005

      3 조국현, "텍스트언어학의 탈(脫)언어학화- 한국 텍스트언어학의 미래에 대한 단상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9) : 365-393, 2005

      4 Heinemann, W, "텍스트언어학 입문" 역락 2001

      5 김규훈,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론"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6 최건아, "중학생의 소그룹 상호작용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한국국어교육학회 (102) : 181-213, 2015

      7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Ⅱ)-국어, 도덕, 사회-"

      8 김혜숙, "우리 말글 교육의 모습과 쓰임" 월인 2005

      9 김은성, "영국의 문법교육에 대한 고찰" 한국문법교육 학회 2 : 1-36, 2005

      10 Fairclough, N., "언어와 권력" 도서출판 경진 2011

      11 김해연, "사회언어학에서의 담화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12 (12): 105-130, 2004

      12 김혜숙, "사회언어학 연구와 국어교육의 연계성 - 국어교육에 미치는 사회언어학적 영향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41 : 379-405, 2005

      13 문종철, "비판적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비판적 담화분석 활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14 심영택, "비판적 언어인식 교육 방법 연구" 국어교육학회 (46) : 45-75, 2013

      15 김유미,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읽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6 김누리, "비판적 담화분석(CDA)을 활용한 읽기 교육 방법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17 장성아, "비판적 담화분석(CDA)을 활용한 국어 교육 내용 연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9) : 213-244, 2015

      18 박병선, "비판적 담화분석 이론의 응용 방안 모색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2 : 293-317, 2013

      19 최윤선, "비판적 담화분석" 한국문화사 [서울] 2014

      20 조종혁, "비판적 담론분석(CDA) 방법의 탐구 : 기딘스, 부르드외, 하버마스의 분석모형"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9 (19): 157-173, 2011

      21 이도영, "문법 영역의 평가 방법- 형성 평가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1) : 103-126, 2007

      22 민현식, "문법 교육의 반성과 교과서 개발의 방향" 국어교육연구소 (19) : 289-362, 2007

      23 Fairclough, N., "대중매체 담화 분석" 한국문화사 2004

      24 김효연,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문법 담화 교육 내용 구성 방향" 한국국어교육학회 (96) : 281-305, 2013

      25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26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27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국어-"

      28 오현아, "‘정확성’ 중심 문법 교육관에 대한 반성적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80) : 295-318, 2008

      29 임규홍, "‘담화문법 교육’에 대하여" 한국문법교육학회 4 : 161-184, 2006

      30 Van Dijk. T., "Methods of CDA" Sage 95-120, 2009

      31 Ivanič, R., "Knowledge about Language and the Curriculum: The LINC reader" Hodder & Stoughton 1990

      32 Fairclough, N., "Discourse as Social Interaction" Sage 258-284, 1997

      33 Fairclough, N., "Discourse and Social Change" 1992

      34 Fairclough, 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Critical Study of Language" Longman 1995

      35 Schiffrin, D., "Approaches to Discourse" Blackwell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4 1.14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