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아시아와 동북아의 내포와 외연에 관한 연구 = 지역상 논의의 진전을 위하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699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990년대 초반의 탈냉전기부터 2000년대 중반의 참여정부기에 이르기까지의 동아시아와 동북아의 외연과 내포에 관한 연구다. 동아시아와 동북아라는 지역상은 너비로서만 존재하...

      본 논문은 1990년대 초반의 탈냉전기부터 2000년대 중반의 참여정부기에 이르기까지의 동아시아와 동북아의 외연과 내포에 관한 연구다. 동아시아와 동북아라는 지역상은 너비로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깊이도 갖는다. 다시 말해 국가 단위의 병렬적 나열로서는 드러나지 않는 층위가 있다. 동아시아 담론에서 동아시아라는 개념은 지리 범주를 가리키는 단순한 지역명에 머물지 않고 지역지평, 지역질서, 경제권역, 문명권, 사유공간, 연대의 장 등 다양한 용법으로서 거론되었다. 동아시아 담론을 한국지식계에서 학술적 전통으로 자리매김하고 동아시아 담론의 현실적 용법을 신장시키려면 그 혼란상을 정리하기 위해 동아시아 담론 자체의 인식론적 토대와 배치를 되묻는 작업이 필요하다. 즉 동아시아와 동북아의 외연과 내포를 분석하고 도출해내고자 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n Denotation and Connotation of the East Asia and the Northeast Asia from the post-Cold War Era in the 1990s to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in the mid-2000s. The regional image of East Asia and Northeast Asia does not exist onl...

      This paper is a study on Denotation and Connotation of the East Asia and the Northeast Asia from the post-Cold War Era in the 1990s to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in the mid-2000s. The regional image of East Asia and Northeast Asia does not exist only as width, but it also has depth. In other words, there is a level that cannot be revealed by a parallel enumeration of national units. The notion of East Asia in the East Asian discourse did not remain simply as a regional name, but was discussed in diverse usages, including as a regional prospect, regional order, economic region, cultural sphere, space of thought, and field of solidarity. To settle the East Asian discourse as an academic tradition in Korean intellectual world and extend its practical usage, a work that questions the epistemological foundation and arrangement of the East Asian discourse itself again is required to organize this state of confusion. Namely, it attempts to analyze and draw the denotation and connotation of East Asia and North As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제기 : 동아시아인가 동북아인가, 그것은 어디이고 무엇인가
      • Ⅱ. 동아시아, 동북아 지역상의 용례 차이
      • Ⅲ. 동아시아, 동북아 지역상에서 각국별 표상 차이
      • Ⅳ. 결론 : 지역상 설정의 지역적 현실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 참고문헌
      • Ⅰ. 문제제기 : 동아시아인가 동북아인가, 그것은 어디이고 무엇인가
      • Ⅱ. 동아시아, 동북아 지역상의 용례 차이
      • Ⅲ. 동아시아, 동북아 지역상에서 각국별 표상 차이
      • Ⅳ. 결론 : 지역상 설정의 지역적 현실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철, "한국의동북아시대구상" 오름 2006

      2 이근, "한국외교정책. 패러다임을바꿔라: ‘약소국현실주의’를극복하고‘세계질서관리’ 나서야" 2006

      3 동북아시대위원회, "참여정부의동북아시대구상" 대통령자문동북아시대위원회 2006

      4 백영서, "주변에서본동아시아" 문학과지성사 2004

      5 최원식, "주변에서 본동아시아" 문학과지성사 2004

      6 통일연구원, "이명박정부외교안보통일정책의세부실천방안" 기획조정실 2010

      7 김기석, "신공동체구상과신아시아외교" (13) : 2010

      8 이수훈, "세계체제. 동북아. 한반도" 아르케 2004

      9 이우성, "동아시아학의모색과지향"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10 신윤환, "동아시아공동체와한국의미래" 이매진 2008

      1 박종철, "한국의동북아시대구상" 오름 2006

      2 이근, "한국외교정책. 패러다임을바꿔라: ‘약소국현실주의’를극복하고‘세계질서관리’ 나서야" 2006

      3 동북아시대위원회, "참여정부의동북아시대구상" 대통령자문동북아시대위원회 2006

      4 백영서, "주변에서본동아시아" 문학과지성사 2004

      5 최원식, "주변에서 본동아시아" 문학과지성사 2004

      6 통일연구원, "이명박정부외교안보통일정책의세부실천방안" 기획조정실 2010

      7 김기석, "신공동체구상과신아시아외교" (13) : 2010

      8 이수훈, "세계체제. 동북아. 한반도" 아르케 2004

      9 이우성, "동아시아학의모색과지향"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10 신윤환, "동아시아공동체와한국의미래" 이매진 2008

      11 김대중, "나의길나의사상세계사의대전환과민족통일의방략" 한길사 1994

      12 Pempel. T. J., "Remapping East Asia: The Construction of a Region" Cornell University Press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세아문제연구소 -> 아세아문제연구원
      영문명 : Asiatic Research Center -> Asiatic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亞細亞 硏究 -> 아세아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6 1.01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