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푸드코트 이용하기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Educational Applications of Smart Learning on using Food cour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716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장애학생들이 일반적으로 동기가 낮고 흥미와 관심을 가지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스마트러닝은 다양한 멀티미디어적인 기능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므로 동기유발에 ...

      장애학생들이 일반적으로 동기가 낮고 흥미와 관심을 가지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스마트러닝은 다양한 멀티미디어적인 기능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므로 동기유발에 도움이 된다. 또한, 스마트폰의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종류의 수준별 교육용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어 지적장애 학생들의 능력에 맞는 적절한 맞춤형 개별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초등학생 3명에게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실시하였을 때, 푸드코트 이용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다양한 장소에서 일반화되고 유지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방법을 사용하였다. 교실중재는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자료를 활용하여 푸드코트 이용기술을 교수하고, 지역사회중재는 중재패키지를 이용하여 실제 지역사회 푸드코트에서 교수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역사회 중심교수를 실시하였을 때 모든 대상학생들은 푸드코트 이용기술을 습득하였으며, 습득된 기술은 학습하지 않은 지역사회 푸드코트에서 일반화되었으며, 중재 종료 3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멀티미디어적인 기능이 장애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 낼 뿐 아니라, 시공간의 제약 없이 학습이 언제 어디서나 즉시 이루어질 수 있기에 기술 습득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an maintain their learned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educational application of smart learning after passing over 4 weeks. To be specific, the study w...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an maintain their learned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educational application of smart learning after passing over 4 weeks. To be specific, the study wants to know whether three students who had been educated by community-based instruction can use these skills again at the same food court and do that by themselves. Meantime,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had been used as an experimental design in the study. At the arbitration stage, students had been educated with educational application, various strategies for the arbitration at the same time. In the generalization stage, students had been experienced new food court three times during specific time. After this, maintenance test was conducted three times as well. To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community-based instruction with educational applications of smart learning is an effective and useful metho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obtain food court or other places using independent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경애, "휴대용멀티미디어플레이어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지적장애 학생의 학교 도서관 이용 기술에 미치는 효과" 국립특수교육원 20 (20): 181-204, 2013

      2 한동욱, "특수교육 대상 아동들의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한 스마트 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4 (14): 504-510, 2014

      3 신지혜, "태블릿 PC를 활용한 자기관리전략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독립적인 일과수행과 수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203-229, 2013

      4 이성용, "지적장애 학생의 물건 구입하기 기술에 대한 국내외 실험연구 고찰"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101-123, 2011

      5 김진호, "지역사회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이동 및 직업기초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261-285, 2009

      6 김주연, "지역사회중심의 여가활동지도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볼링기술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209-229, 2012

      7 양영모, "지역사회중심교수 적용 국내 단일대상 연구 동향 및 평가지표에 의한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283-314, 2014

      8 양경애, "지역사회중심 교수가 자폐성장애학생의 지역사회 기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4 (24): 79-96, 2008

      9 장혜성, "중재 패키지를 이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지역사회적응기술 습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149-173, 2010

      10 장혜성, "중도 정신지체 고등부 학생의 지역사회 기능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중심 교수의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19 (19): 23-52, 2003

      1 전경애, "휴대용멀티미디어플레이어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지적장애 학생의 학교 도서관 이용 기술에 미치는 효과" 국립특수교육원 20 (20): 181-204, 2013

      2 한동욱, "특수교육 대상 아동들의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한 스마트 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4 (14): 504-510, 2014

      3 신지혜, "태블릿 PC를 활용한 자기관리전략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독립적인 일과수행과 수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203-229, 2013

      4 이성용, "지적장애 학생의 물건 구입하기 기술에 대한 국내외 실험연구 고찰"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101-123, 2011

      5 김진호, "지역사회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이동 및 직업기초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261-285, 2009

      6 김주연, "지역사회중심의 여가활동지도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볼링기술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209-229, 2012

      7 양영모, "지역사회중심교수 적용 국내 단일대상 연구 동향 및 평가지표에 의한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283-314, 2014

      8 양경애, "지역사회중심 교수가 자폐성장애학생의 지역사회 기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4 (24): 79-96, 2008

      9 장혜성, "중재 패키지를 이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지역사회적응기술 습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149-173, 2010

      10 장혜성, "중도 정신지체 고등부 학생의 지역사회 기능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중심 교수의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19 (19): 23-52, 2003

      11 이태수, "장애학생의 스마트러닝을 위한 특수교육용 애플리케이션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259-283, 2013

      12 대전광역시교육청,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사업 성과 보고회"

      13 이태수,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적용의 특수교육적 타당성 확보를 위한 이론적개념화" 국립특수교육원 2012

      14 권정민, "자폐성 장애아동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사용성 연구" 한국자폐학회 12 (12): 73-92, 2012

      15 교육과학기술부, "인재대국으로 가는길 : 스마트교육추진전략" 교육과학기술부 2011

      16 박윤하, "시각적 단서와 관찰의 단계적 소거를 적용한 지역사회중심 교수가 자폐 청소년의 지하철 이용하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 (20): 217-250, 2004

      17 김수현, "스마트폰을 활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길 찾기 과제 수행과 도착 시간 예측하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43-73, 2012

      18 김건희, "스마트러닝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 2000-2012년 국내 논문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191-218, 2013

      19 이승훈,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언어훈련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RAN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99-123, 2013

      20 송승민, "스마트 폰 앱 기반의 직업교육이 자폐스펙트럼장애 고등학생의 도서 분류작업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353-375, 2014

      21 장오선, "스마트 러닝에 기반한 교수학습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학습 태도 및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8 (18): 235-243, 2013

      22 이성로, "비장애또래가 참여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트램펄린놀이터 이용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달장애학회 18 (18): 1-20, 2014

      23 이명원, "비디오자기모델링 중재가 발달장애아동의 지역사회적응능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5) : 55-86, 2010

      24 박지윤,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자폐아동의 자동판매기 이용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4 (24): 93-120, 2008

      25 김해근, "비디오 자기모델링, 시간지연 및 최소촉진법을 연합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발달장애 학생의 대형마트 이용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8 (8): 71-96, 2006

      26 박미라, "비디오 자기모델링 활용이 자폐장애 아동의 자립생활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7 신진숙,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지역사회 활용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309-328, 2010

      28 이성용, "비디오 모델링이 지적장애학생의 생활가전제품 작동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121-139, 2012

      29 임장현, "보완대체의사소통 (AAC) 중재서비스에 대한 발달장애인 부모의 요구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2 (12): 309-332, 2013

      30 임장현, "발달장애인을 위한 문제해결 중심의 기능성 모바일 앱 게임모델연구"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5 (25): 181-187, 2012

      31 권용덕,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대형마트 이용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225-248, 2012

      32 설진선,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지역사회중심 교수가 자폐아동의 패스트푸드점 이용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3 이소현, "단일대상연구" 학지사 2010

      34 장혜성, "다중요소로 구성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일반고등학교 발달장애학생의 지역사회활용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219-243, 2005

      35 이은진,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이 지적장애 학생의 물건값 지불하기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6 Steere, D. E, "When you can't get out : Strategies for Supporting Community-Based Instruction" 45 (45): 60-67, 2012

      37 Carlile, K. A., "Using Activity Schedules on the iPod touch to Teach Leisure Skills to Children with Autism" 2 (2): 33-57, 2013

      38 고진복, "KIDS VOICE를 활용한 AAC 중재가 뇌성마비아동의 어휘표현에 미치는 효과" 193-213, 2005

      39 임장현, "ASD인을 위한 스마트 교육 미디어로서의 앱 개발 및 연구현황 분석" 한국자폐학회 12 (12): 93-117,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KCI등재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1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