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측두하악장애증상자의 성격유형검사(MBTI) = Personality Type Test(MBTI) of Korean College Students with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566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symptoms and contributing factor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199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a questionnaire and c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symptoms and contributing factor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199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a questionnaire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AS 9.2 program.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prevalence of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mean scales of positive answers of contributing factors appeared to be higher in I type, S type, T type, P type than in E type, N type, F type, J type. 2. ISTP and ISFP among 16 types of personality seemed to have higher prevalence of symptoms and contributing factor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han other types of personality. 3. Symptom of TMJ pain during mouth opening seemed to occur more frequently in I type, S type, F type, J type than in E type, N type, T type, P type. 4. Contributing factors including clenching and stressful state occurred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in I type than E type. Gum chewing habit occurred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in E type than in I type. 5. Unilateral chewing habit occurred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in J type than in P type. 6. Nervous or sensitive persons ha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ales of positive answers of subjective symptoms than relaxed or general persons. 7. General persons had significantly lower mean scales of positive answers of contributing factors than nervous, sensitive and relaxed person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ling considering personality type may contribute to treating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애, "한국 이갈이 환자의 성격 유형 검사(MBTI)"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33 (33): 41-48, 2008

      2 김기석, "악관절장애의 기여요인" 29 (29): 354-358, 1991

      3 정성창, "악관절 및 저작계 기능장애에 관한 연구" 7 : 32-40, 1982

      4 정성창, "악관절 기능장애의 원인에 관 한 연구" 8 : 69-76, 1983

      5 심혜숙, "심리기능과 성격장애 관계" 3 (3): 1-15, 1996

      6 백기청, "스트레스 요인으로서의 생활사건과 통 제소재 및 불안의 관계에 대한 연구" 26 (26): 75-111, 1987

      7 황익근, "스트레스 대응전략 -정신역동적 접근-" 한국정신신체의학회 3 (3): 58-63, 1995

      8 정영조, "스트레스 대응전략 -생물학적 접근-" 한국정신신체의학회 3 (3): 72-80, 1995

      9 김영희, "성격유형과 유머감각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의 관계" 5 (5): 121-138, 1999

      10 김정택, "성격 유형 검사(MBTI)의 한국 표준화 에 관한 일 연구" 3 (3): 44-72, 1990

      1 이현애, "한국 이갈이 환자의 성격 유형 검사(MBTI)"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33 (33): 41-48, 2008

      2 김기석, "악관절장애의 기여요인" 29 (29): 354-358, 1991

      3 정성창, "악관절 및 저작계 기능장애에 관한 연구" 7 : 32-40, 1982

      4 정성창, "악관절 기능장애의 원인에 관 한 연구" 8 : 69-76, 1983

      5 심혜숙, "심리기능과 성격장애 관계" 3 (3): 1-15, 1996

      6 백기청, "스트레스 요인으로서의 생활사건과 통 제소재 및 불안의 관계에 대한 연구" 26 (26): 75-111, 1987

      7 황익근, "스트레스 대응전략 -정신역동적 접근-" 한국정신신체의학회 3 (3): 58-63, 1995

      8 정영조, "스트레스 대응전략 -생물학적 접근-" 한국정신신체의학회 3 (3): 72-80, 1995

      9 김영희, "성격유형과 유머감각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의 관계" 5 (5): 121-138, 1999

      10 김정택, "성격 유형 검사(MBTI)의 한국 표준화 에 관한 일 연구" 3 (3): 44-72, 1990

      11 조영준, "서울지역 고등학생의 측두하악장애에 관한 역학적 연구" 11 (11): 273-288, 1995

      12 정민, "생활양식, 심리유형(MBTI)과 생활 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693-710, 2003

      13 홍수민, "교합 및 심리적 요소와 측두하악관절내장증 발현과의 관계"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8 (28): 239-247, 2003

      14 노창세,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이용한 구강안면동통환자의 심리학적 분석" 24 (24): 467-477, 1999

      15 Mitchell WD, "Type Similarity of hypertensives and patients with heart disease" 21 : 54-58, 1991

      16 Solberg WK,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and dysfunction: A clinical study of emotional and occlusal components" 3 (3): 56-59, 1975

      17 "Temporomandibular Disorders. Classification, Diagnosis, Management. 3rd edi" Year Book Medical Publishers 166-176, 1990

      18 The American Academy of Orofacial Pa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Guidelines for Classifica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2nd ed" uintessence Publishing Co 62-, 1993

      19 Kaplan AS,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Diagnosis, Treatment" W.B. Saunders Co 190-, 1991

      20 Kypp WL, "Psychosomatic aspects of TMJ dysfuction" 59 : 31-44, 1959

      21 Schulte JK, "Psychometric profiles and related pain characteristic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7 : 247-253, 1993

      22 Rugh JD, "Psychological implication in temporomandibular pain and dysfuction" 7 : 3-30, 1976

      23 Nilner M, "Prevalence of functional disturbance and diseases of the stomatognathic system in 15-18 year olds" 5 : 189-197, 1981

      24 Clark GT, "Perspectives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uintessence Co 13-, 1987

      25 Parker MW,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Diagnostic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7 : 337-, 1993

      26 Clark GT, "Nocturnal masseter muscle activity and urinary catecholamine levels in bruxers" 59 (59): 1571-1576, 1980

      27 Myers IB, "Manual : A guide to the development and use of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5

      28 김정택, "MBTI개발과 활용" 한국심리검사연구소 1995

      29 정민, "MBTI 성장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첫 임상실습전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6 (6): 70-81,

      30 Gamsa A, "Is emotional disturbance a precipitator or a consequence of chronic pain" 42 : 183-, 1990

      31 김정택, "16가지 성격유형의 특성. 개정판" 한국심리검사연구소 18-27,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3-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구강내과학회 ->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cademy Of Oral Medicine -> THE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ICIN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6 0.06 0.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7 0.24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