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풍수지리 연구의 검토와 과제 = Review and Prospect of Geographers Research into Pungsu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956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지리학 전공자가 국내학술지에 발표한 풍수지리 연구물을 위주로 주요 성과를 검토·비평하였다. 이를 통해 지리학적 해석의 여정을 살피고, 한국 풍수지리 연구의 주요 논점과 쟁점...

      한국의 지리학 전공자가 국내학술지에 발표한 풍수지리 연구물을 위주로 주요 성과를 검토·비평하였다. 이를 통해 지리학적 해석의 여정을 살피고, 한국 풍수지리 연구의 주요 논점과 쟁점으로서 풍수의 기원, 풍수론 체계를 토론하였다. 한국 풍수지리 연구의 과제와 전망은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한국의 풍수학은 연구 방법에 있어 풍수 자체의 이론과 논리로 국한시켜 연구되기 보다는 사회문화의 전체적인 맥락과 관련 속에서 어떻게 역사적으로 실천되었는지 접근될 필요가 있다. 풍수가 현대적 학문이기 위해서는 학계에서 통용되는 보편적 지식에 기반을 두고 타 학문 분야와 상호 소통할 수 있는 해석적 논리와 학문적 체계를 구성해야 한다. 한국의 풍수연구는 사회와 시대가 요청하는 핵심적 연구 주제에 집중해야 한다. 동아시아에서 풍수는 문화적 다양성에 기초한 전통적 환경·생태 지식체계의 세계적 무형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풍수가 국제 학계에서 Pungsu라고 일컬을 수 있는 한국적 정체성과 특색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 시선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한국의 풍수 연구는 동아시아 및 세계의 범위로 연구의 공간적 소통 범위를 넓혀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views and prospects on the geographers research into Pungsu in Korea. I discussed arguing points on the Korean Pungsu that the origin of Geomancy(Fengshui), the Pungsu theory system of Korean Pungsu. Korean Pungsu is required socio-cultur...

      This paper reviews and prospects on the geographers research into Pungsu in Korea. I discussed arguing points on the Korean Pungsu that the origin of Geomancy(Fengshui), the Pungsu theory system of Korean Pungsu. Korean Pungsu is required socio-cultural approach, as it were, how it has been practiced historically rather than the Pungsu theory itself. For being ranked as one of the modern academic studies, Pungsu should be based in the universal knowledge and the logical system to be able to communicate other studies mutually. Korean Pungsu research is also requested to concentrate on the times subjects in response to the social demand. In these days, Pungsu is estimating as a potential world intangible heritage in a field of the traditional environmental-ecological knowledge system in East Asia. Korean Pungsu research needs to be extended toward East Asia and global scale from the perspective of what are the Korean Pungsu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머리말
      • 2. 지리학 분야의 풍수 연구 개관
      • 3. 주요 논점과 쟁점
      • 요약
      • ABSTRACT
      • 1. 머리말
      • 2. 지리학 분야의 풍수 연구 개관
      • 3. 주요 논점과 쟁점
      • 4. 맺음말: 풍수 연구의 과제와 전망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