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적용 방안 연구 = Study on the Application Strategies of Team-based Learning Model to Improve Creativity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371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pplicability of Team-Based Learning(TBL) model to improve creativity in the elementary education by analyzing the artifacts of implemented TBL lessons and interviews wit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pplicability of Team-Based Learning(TBL) model to improve creativity in the elementary education by analyzing the artifacts of implemented TBL lessons and interviews wit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lessons. TBL model found to be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mprove crea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as well as pre-service teachers. We applied a formative research method that employs iterative processes of the development – implementation – evaluation - revision cycle as follow. First, we selected the existing TBL model. Second, we designed a case in point related to the theory, and implemented the case. Third, we revised the case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formative data. As a result, we found the total course period (5 weeks) was too short to make visible changes in creativity. However, TBL showed a potential to be an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method in elementary education which is more learner-centered and provides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TBL in elementary classrooms, teachers should be an expert on the TBL model as well as the contents. Also, it is critical to chose appropriate topics for TBL. In addition, teachers should be aware of elementary students’ work-load before and during TBL less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육에서 예비초등교사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팀 기반 학습(Team Based Learning)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팀 기반 학습에 관한 연구는 협력학습에 기반을 둔...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육에서 예비초등교사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팀 기반 학습(Team Based Learning)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팀 기반 학습에 관한 연구는 협력학습에 기반을 둔프로젝트학습이나 상호작용에 관련된 연구이거나, 웹 기반학습 환경 또는 컴퓨터 활용 교육의 수업방법이 주류를 이루었다. 또한, 연구 대상자의 경우, 초등 학생이나 공업계고등학교 사례에 관련된 수업이었으며, 대학생의 경우 글쓰기 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 예비초등교사 교육과 관련된 팀 기반학습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창의력 조기 발굴을 위해 초등교육에서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초등학교 예비교사인 교육대학교 학생들을대상으로 초등교육에서 예비초등교사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팀 기반 학습 적용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6년 11월 교육대학교 초등학교 현장실습을 경험한 2~3학년 예비교사 20 명을 대상으로 교육공학 수업시간에 매주 2시간씩 5주간 팀 기반 학습 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사용된 팀 기반 학습 모형은 사전 계획 단계, 선행 학습 단계, 준비도 확인 단계, 개념적용 문제해결단계인 4단계를 단계별로 구체화하여 수업시간에 적용하였으며, 역진행 수업(Flipped learning)과는차별화된 개인과 팀별 사전 점검 및 개념적용 문제해결 과정을 통한 심층적 접근을 통해 학습자의 창의력 향상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팀 기반 학습의 실천적 학습 지향 연구는 초등학교 교실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교육 방법과 수업 모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동료의 수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예비초등교사간 다양한 아이디어와 발산적 사고를 자극하여 창의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형정, "학습과정과 성과개선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개념적 탐색" 교육종합연구소 6 (6): 27-42, 2008

      2 허선, "학습공동체 기반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및 팀기반학습(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수업 운영 효과" 122-122, 2015

      3 유상옥, "팀학습 핵심수행자의 역할에 따른 영향요인 분석: 리더십과 전문성을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7 (17): 93-124, 2015

      4 진영훈, "팀기반학습이 영재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진영훈, "팀기반학습이 영재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재학회 21 (21): 703-718, 2011

      6 최경옥, "팀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사고 및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소 20 (20): 154-159, 2014

      7 염은이, "팀기반 시뮬레이션 학습에 대한 간호학생의 인식유형: Q 방법론적 접근" 한국주관성연구학회 (32) : 27-47, 2016

      8 배성현,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의 변화 탐색 - 일반 보육교사와 장애아 보육교사의 협력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 11 (11): 307-326, 2016

      9 양민석, "팀 프로젝트 형 실천기반 학습과 대학생 리더십 교육에 관한 연구 - 이화여대 <나눔리더십> 교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22 (22): 209-236, 2016

      10 테레사 편, "팀 프로젝트 기반 다문화교육 수업 성찰일지에 나타난 대학생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137-1164, 2016

      1 조형정, "학습과정과 성과개선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개념적 탐색" 교육종합연구소 6 (6): 27-42, 2008

      2 허선, "학습공동체 기반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및 팀기반학습(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수업 운영 효과" 122-122, 2015

      3 유상옥, "팀학습 핵심수행자의 역할에 따른 영향요인 분석: 리더십과 전문성을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7 (17): 93-124, 2015

      4 진영훈, "팀기반학습이 영재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진영훈, "팀기반학습이 영재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재학회 21 (21): 703-718, 2011

      6 최경옥, "팀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사고 및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소 20 (20): 154-159, 2014

      7 염은이, "팀기반 시뮬레이션 학습에 대한 간호학생의 인식유형: Q 방법론적 접근" 한국주관성연구학회 (32) : 27-47, 2016

      8 배성현,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의 변화 탐색 - 일반 보육교사와 장애아 보육교사의 협력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 11 (11): 307-326, 2016

      9 양민석, "팀 프로젝트 형 실천기반 학습과 대학생 리더십 교육에 관한 연구 - 이화여대 <나눔리더십> 교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22 (22): 209-236, 2016

      10 테레사 편, "팀 프로젝트 기반 다문화교육 수업 성찰일지에 나타난 대학생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137-1164, 2016

      11 김민주, "팀 기반 학습이 사회과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교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2 김현정, "팀 기반 학습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법 - 논증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24) : 23-49, 2015

      13 나은하,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콘택트렌즈 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161-161, 2016

      14 이동훈, "팀 기반 학습에서 지각된 태만이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교수설계변인의 조절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79-99, 2016

      15 강명희, "팀 기반 학습성과에 대한 다양성수용도, 학습정서, 사회실재감의 예측력 검증" 교육연구소 22 (22): 5-32, 2016

      16 김지영, "팀 기반 시뮬레이션 교육에서의 디브리핑에 대한 학습자의 경험" 3 (3): 35-44, 2015

      17 박금옥, "통증 관리 간호교육을 위한 팀 기반학습 프로그램 개발" 4 (4): 33-40, 2016

      18 박인숙, "치위생교육과정의 치면세마 교육에 대한 팀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의 효과"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33 (33): 125-133, 2009

      19 채수진,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팀기반학습에서 동료평가 결과와 자기주도학습준비도 점수와의 관계 분석" 한국치위생학회 9 (9): 536-544, 2009

      20 최석민, "초등학교 창의성 교육 접근 방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초등교육학회 19 (19): 1-22, 2006

      21 이수영, "초등 예비교사의 창의적 교사역량 분석 : 교사 창의성과 교사 전문성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223-232, 2016

      22 하채연, "초등 과학 수업에서의 팀 기반 학습모형이 학업 성취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1-26, 2014

      23 이수영, "초등 과학 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이 학습자의 과학 개념 이해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0 (30): 415-429, 2011

      24 홍성용, "창의력 향상을 위한 청소년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143-153, 2015

      25 금성호, "지속적인 창의 교육 시스템에 근거한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의 창의력 향상 연구" 교육연구원 36 (36): 69-91, 2016

      26 임철일, "제시용 소프트웨어의 상호작용적 활용을 위한 교수설계. 전략의 형성적 연구" 7 (7): 29-57, 2001

      27 김희자, "전통적 컴퓨터교실 구조 상황에서의 팀기반 프로젝트학습 지원 전략에 관한 연구 : 상업계 고등학교 컴퓨터교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8 이영민,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팀 기반 학습방법이 학습자의 과제수행, 학습활동,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51-71, 2011

      29 박인숙, "일부지역 치위생과 학생들에 대한 치위생 교육과정의 팀기반학습이 학습동기와 자기주도 학습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치위생학회 10 (10): 127-140, 2010

      30 이은희,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사회성과 놀이성의 영향력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593-612, 2016

      31 김은수, "유아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모티프 라이팅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216-222, 2016

      32 이은희, "유아동작교육의 팀기반학습 수업단계 설계 및 적용의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651-673, 2017

      33 이은희, "유아동작교육수업의 팀기반학습 적용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843-860, 2016

      34 신혜경,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6 (16): 41-61, 2016

      35 구상권, "영상제작 도구로서의 3D 프린터 창의적 활용 사례 연구" 한국영상학회 14 (14): 99-115, 2016

      36 김민경, "어반의 창의성 구성 모델을 이용한 창의적 조형미술 교육 연구 - 장 뒤뷔페의 조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17 (17): 55-78, 2016

      37 백경선, "아동간호 팀기반 시뮬레이션학습이 비판적 사고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6 (6): 9-15, 2016

      38 이수경, "숲·명상과 함께한 미술 활동이 유아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형교육학회 (58) : 181-216, 2016

      39 김희영, "소셜 네트워킹 도구를 활용한 팀기반 협력학습이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2 (22): 681-703, 2016

      40 오효숙, "성과기반 간호교육에서 팀기반학습 적용의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409-418, 2015

      41 이신애, "메타인지 수준을 고려한 팀 기반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3 (3): 45-53, 2015

      42 이용진, "대학의 팀 기반 수업에서 협동적 학습양식과 팀 구성 방식에 따른 학습 성과" 안암교육학회 22 (22): 115-139, 2016

      43 장선영, "대학에서의 팀기반 학습 설계모형 개발연구" 교육연구소 16 (16): 271-302, 2015

      44 최윤미, "대학에서의 팀 학습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43-163, 2010

      45 정한호, "대학수준 팀 기반 학습에서 공유정신모형의 선행변인과 팀 성과" 한국교육공학회 27 (27): 37-73, 2011

      46 이미나, "대학생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전공계열별 인식 비교"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353-376, 2012

      47 장우심,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대한팀 기반 학습 적용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55-666, 2016

      48 권은미, "대학교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팀 효능감, 대인관계의 이해, 문제해결의 적극성과 팀 성과 간 상관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9 임소희, "기초간호과학 해부학 교육에서의 팀기반 학습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7098-7108, 2015

      50 김순옥, "기본간호학 수업에서 팀기반 학습 적용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107-119, 2016

      51 최미정, "교사 창의성의 의미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7): 431-447, 2007

      52 김이경, "교․사대 예비교원 교육실습 교과영역 개선 방안"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53 이영민, "공업계 고등학교 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모형 적용에 관한 형성적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6 (36): 1-23, 2011

      54 한주랑, "간호학생의 팀기반학습에서 공유리더십이 팀성과 및 팀몰입에 미치는 영향: 팀신뢰의 매개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303-311, 2016

      55 Lee, S-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eacher creativity, teaching expertise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Korea" 11 (11): 293-302, 2016

      56 Dunkin, M. J., "The Study of Teaching" Holt, Reinhart and Winston 1974

      57 Michaelsen, L. K., "Team-based Learning: A Transformative Use of Small Groups in College Teaching" Stylus Publishing 2004

      58 Jeffery, B., "Teaching creatively and teaching for creativity: Distinctions and relationships" 30 (30): 77-87, 2004

      59 Colaizzi, P. F.,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48-71, 1978

      60 전희성, "PIE(Photo in education)를 활용한 창의적 공간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7 (17): 547-560, 2016

      61 Reigeluth, C. M.,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Vol. Ⅱ"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33-651, 1999

      62 전영석, "2016년 창의교육 선도 교원양성대학 운영 사업" 한국과학창의재단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3-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Center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1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2007-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초등교육연구소 -> 초등교육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7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