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 대학생의 주도성, 대학창업지지,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사의 구조적 관계 = Chinese College Students' Proactive Personality, University Entrepreneurial Support, Entrepreneurial Self -Efficacy, Entrepreneurial Intention Structural Relationshi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441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llege graduates and the impact of post -new crown pneumonia, the employment situa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s still severe. Encouraging college students to start a business has always been an important measu...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llege graduates and the impact of post -new crown pneumonia, the employment situa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s still severe. Encouraging college students to start a business has always been an important measure to solve the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Affected by many factors,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s not hig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use that affects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so as to formulate a plan to enhance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r this reason, the specific research issues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Chinese college students' proactive personality, university entrepreneurial support, entrepreneurial self -efficacy, entrepreneurial intention tendency, gender, school year, and majors are different?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college students' proactive personality, university entrepreneurial support, entrepreneurial self -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21 university students from six Chinese universities, an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to select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reliability of the proactive personality is α=.883 university entrepreneurial support is α=.954 entrepreneurial self -efficacy is α=.923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α=.942 Each scale is a 5-point Likert scale.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mobile survey app from June 12 to 18, 2023,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and AMOS 27.0 programs.
      In order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tendency of the cause, the average value is found. In order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T -test and one -dollar configuration variance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levant analysis was performed,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he Bootstrap method explores the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of the potential variable interval path.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are set to .05. Below are key research findings.
      First, with 5 points, the average proactive personality is 3.72 points, the average entrepreneurial support of university is 3.86 points, the average sense of entrepreneurial self -efficacy is 2.82 points, and the average intention of entrepreneurship is 3.05 points.
      Second, The survey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entrepreneurial self -efficacy, and male students a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The university entrepreneurial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3rd grade than in the 4th, 2nd, and 1st grades, respectively. Differences in professionalism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humanities and society are higher than those of science and engineering.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university entrepreneurial support has not played a medium effect.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college entrepreneuri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ve multi-media effect.
      On this basis, the following revelation was proposed.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proactive personality of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master a variety of strategies. First, college students should start from themselves and pay attention to the cultivation of proactive personality. At the same time, universities in daily education, through a variety of ways to improve the proactive personality of college students. Universities should also carry out proactive personality assess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student proactive personality to carry out entrepreneurial guidance.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universities should strengthen the status of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ship in daily entrepreneurship cultivation, and focus on stimulating students' entrepreneurial beliefs. At the same time, ment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to help college students form a good psychological quality of entrepreneurship.
      Third,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enrich the form of entrepreneurial support, increase entrepreneurial support, allow college students to feel the feasibility and safety of entrepreneurship, eliminate the fear of unknown entrepreneurship, and improve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s by enhancing the entrepreneurial self -efficiency of college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 대학생의 주도성, 대학창업지지,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사의 구조적 관계 대진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지멍단 대학 졸업자의 증가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영향으로 ...

      중국 대학생의 주도성, 대학창업지지,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사의 구조적 관계 대진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지멍단 대학 졸업자의 증가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영향으로 중국 대학생의 고용 상황은 여전히 심각하다. 대학생의 창업을 장려하는 것은 항상 대학 졸업자의 취업난을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였다. 여러 요인의 영향으 로 중국 대학생들의 창업의사는 높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 생의 창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창업의사를 높이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 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중국 대학생들의 주도성, 대학창업지지,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사의 경향성은 어떠하며 이러한 경향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중국 대학생들의 주도성, 대학창업지지,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사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비확률적 편의 표집방법을 통해 표집한 중국 6개 대학의 대학생 921명이다. 측정도구와 신뢰도는 ‘Proactive Personality Scale, (PPS)’는 α=.883, ‘大学创业支持 尺度(대학창업지지 척도)’는 α =.954,‘Entrepreneurial Self-Efficacy Scale’는 α=.923, ‘Entrepreneurial Intention Scale’는 α=.942이다. 조사는 2023년 6월 12일부터 18일까지 모바일 설문앱을 통해 수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및 AMO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도구의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연구대상 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각 변인의 경향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t- 검증 및 F-검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 과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Bootstrap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와 총 효과를 구하였고, 모든 통계적 의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5점 만점 기준으로 주도성 평균은 3.72점, 대학창업지 지 평균은 3.86점, 창업자기효능감 평균은 2.82점, 창업의사 평균은 3.05점 이었다. 둘째, 창업자기효능감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남학 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대학창업지지는 3학년이 4학년,2학년,1학년보 다 유의하게 높았고, 창업의사는 전공에 따라 인문사회계열이 이공자연계 열보다 높았다. 셋째, 주도성과 창업의사 간의 관계에서 창업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주도성과 창업의사 간의 관계에서 대학창업지지는 매개효과가 없 었다.   다섯째, 주도성과 창업의사 간의 관계에서 대학창업지지와 창업자기효 능감은 다중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주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략을 숙달해야 한 다. 대학생은 스스로 시작하고 주도적 훈련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동시 에 대학은 일상 교육에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대학생의 주도성을 향상시 킨다. 대학은 또한 주도성 평가를 실시하고 학생들의 주도성 수준에 따라 창업 지도를 실시해야 한다. 둘째, 대학생의 창업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대학은 일상적인 창업교 육에서 대학생의 창업주체적 지위를 강화하고 창업신념 고취에 주의를 기 울여야 한다. 동시에 대학생들이 좋은 기업가 정신을 함양할 수 있도록 정신 건강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대학창업 지지를 강화하여 창업의 타당성과 안전성을 느낄 수 있 도록 하고 대학생의 창업자기효능감을 높여 창업의사를 높여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3. 용어 정의7
      • 가. 주도성 7
      • Ⅰ. 서론·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3. 용어 정의7
      • 가. 주도성 7
      • 나. 대학창업지지 8
      • 다. 창업자기효능감 ·8
      • 라. 창업의사 ·9
      • Ⅱ. 이론적 배경·10
      • 1. 주도성 10
      • 가. 주도성의 개념·10
      • 나. 주도성의 구성요소 12
      • 다. 주도성의 영향·13
      • 라. 주도성의 집단차이 14
      • 2. 대학창업지지 16
      • 가. 대학창업지지의 개념·16
      • 나. 대학창업지지의 구성요소 18
      • 다. 대학창업지지의 영향·19
      • 라. 대학창업지지의 집단차이 21
      • 3. 창업자기효능감 22
      • 가. 창업자기효능감의 개념22
      • 나. 창업자기효능감의 구성요소 ·24
      • 다. 창업자기효능감의 영향25
      • 라. 창업자기효능감의 집단차이 ·27
      • 4. 창업의사 29
      • 가. 창업의사의 개념29
      • 나. 창업의사의 구성요소 31
      • 다. 창업의사의 영향32
      • 라. 창업의사의 집단차이 ·33
      • 5. 변인 간의 관계35
      • 가. 주도성과 창업의사의 관계35
      • 나. 주도성, 창업의사과 대학창업지지의 관계 36
      • 다. 주도성, 창업의사와 창업자기효능감의 관계39
      • 라. 주도성, 대학창업지지,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의사의 관계 ·43
      • Ⅲ. 연구 설계45
      • 1. 연구모형 및 가설 ·45
      • 가. 연구모형 45
      • 나. 연구가설 46
      • 2. 연구대상 47
      • 3. 측정도구 48
      • 가. 주도성 척도 48
      • 나. 대학창업지지 척도 50
      • 다. 창업자기효능감 척도·52
      • 라. 창업의사 척도·54
      • 4. 전체 측정 도구의 검증 55
      • 가. 확인적 요인 분석 ·56
      • 나. 집중타당도 57
      • 다. 판별 타당도 58
      • 5. 자료의 처리 58
      • Ⅳ. 연구 결과60
      • 1. 기술통계분석 60
      • 2. 전체 변인의 집단별 차이61
      • 가. 성별 차이61
      • 나. 학년별 차이 62
      • 다. 전공계열별 차이63
      • 3. 변인 간의 관계64
      • 가. 상관관계 64
      • 나. 구조모형 및 가설의 검증66
      • Ⅴ. 결론74
      • 1. 요약 및 논의74
      • 2. 연구의 시사점 ·81
      • 가. 학문적 시사점 ·81
      • 나. 실천적 시사점 ·83
      • 3.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 ·85
      • 참고문헌 ·87
      • 부록·115
      • <부록 1> 한국어 설문지 ·115
      • <부록 2> 중국어 설문지 ·119
      • ABSTRACT·123
      • 中文抄录 12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