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업교육분야 전공 대학원생의 연구역량 형성 과정 =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Research Competencies of Graduate Students in Vocational Education and Workforce Development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36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research competencies of graduate students in Vocational Education and Workforce Development Program. Qualitative research using the ethnographical approach was use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research competencies of graduate students in Vocational Education and Workforce Development Program. Qualitative research using the ethnographical approach was use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research competencies development. Ethnography is selected to describe and interpret the socialization process for the graduate student to acquire the unique perception and value of the program. The Research competencies are the core elements to success their graduate study. There were main informants selected to collect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ritten surveys, self-repor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research competencies of graduate students include the abilities to select the theme of the study, perform the study, think creatively, logically, and reasonably, buil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municate with colleagues and others. Second, the perceived research competencies were built during writing a thesis, papers for professional journals, and personal studies were led to their dramatic improvement in research competencies. The graduates’ daily experiences which are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s of their program and their sincere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of colleagues have great influence on building their research competencies. Third, there are three types of developmental process of research competencies: ① upward moving walk style, ② stair case style, and ③ elevator sty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대학교 산업교육분야 전공 대학원생의 연구 역량 형성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기술하는데 있었으며, 문화기술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산업교육분야 전공 대학...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대학교 산업교육분야 전공 대학원생의 연구 역량 형성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기술하는데 있었으며, 문화기술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산업교육분야 전공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주 제보자를 선정하고 참여 관찰, 심층 면담 및 서면 인터뷰가 이루어졌으며, 연구진 모두가 대학원 구성원으로서 내부 제보자가 되어 자기보고 방식의 진술을 통해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산업교육분야 전공 대학원생들이 인식하는 연구역량은 일반적 연구 수행 단계별로 요구되는 연구수행 지식과 기술, 연구 수행 전반에 걸쳐 논리적으로 방향을 잡아가는 능력, 그리고 연구 수행을 위해 사람 간의 관계를 만들어가는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능력이다. 시기별로는 석사과정생의 경우 자료를 찾고 정리하며 표현하는 능력이 중요한 연구역량이며, 박사과정의 경우 연구주제 및 문제를 형성하는 능력과 연구를 이끌어 가는 리더십이 주요 연구역량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대학원생의 연구역량 형성은 수업과 세미나 수강, 프로젝트 참여, 학위논문 작성 및 개인연구, 그리고 대학원 생활을 통한 일종의 문화적 사회화 과정에 대한 경험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수업과 세미나는 연구역량 향상에 가장 기본이며, 프로젝트 수행을 통하여 실천적 학습과 인지적 도제학습이 일어나 연구역량에 성장을 보이고, 논문 작성과 개인연구 과정에서 어려운 문제와 고민을 해결하면서 자신의 연구 역량이 형성 되어감을 인식 한다 셋째, 대학원생의 연구 역량 형성 과정은 개개인의 특성과 환경에 따라 상이하지만, 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꾸준히 점진적으로 연구역량을 형성하는 (상승)무빙워크형, 잦은 사건이나 과제를 해결함으로서 한 단계씩 연구역량을 형성하는 계단형, 슬럼프나 어려운 과제 혹은 논문 등을 해결함으로서 어느 순간 급격하게 연구역량이 형성되는 엘리베이터형의 세 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여각, "태극대학교 대학원의 학문적 수월성 유지 기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7

      2 서근원, "질적연구 수행의 의미" 한국교육학회 46 (46): 133-161, 2008

      3 박성희,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원미사 2004

      4 조용환,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2008

      5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06

      6 정은희, "삶의 총체적 변화로 이어지는 평생학습 : 성인대학원생들의 학습과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1 (11): 177-204, 2005

      7 이용숙,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교육과학사 2005

      8 Austin,A.E., "Using doctoral education to prepare faculty to work within Boyer's four domains of scholarship" 129 : 51-65, 2006

      9 Perkins,J.A, "The university in transition" John Wiley 1967

      10 Thornton,R, "The dynamics of role acquisition." 80 (80): 870-885, 1975

      1 윤여각, "태극대학교 대학원의 학문적 수월성 유지 기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7

      2 서근원, "질적연구 수행의 의미" 한국교육학회 46 (46): 133-161, 2008

      3 박성희,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원미사 2004

      4 조용환,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2008

      5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06

      6 정은희, "삶의 총체적 변화로 이어지는 평생학습 : 성인대학원생들의 학습과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1 (11): 177-204, 2005

      7 이용숙,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교육과학사 2005

      8 Austin,A.E., "Using doctoral education to prepare faculty to work within Boyer's four domains of scholarship" 129 : 51-65, 2006

      9 Perkins,J.A, "The university in transition" John Wiley 1967

      10 Thornton,R, "The dynamics of role acquisition." 80 (80): 870-885, 1975

      11 Weidman,J.C, "Socialization of graduate and professional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a perilous passage?" Jossey-Bass 2001

      12 Boyer,E.L, "Scholarship reconsidered: Priorities of the professoriat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13 Padgett,D,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Challenges and rewards" SAGE Publications. 1998

      14 Creswell,J.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Sage Publications 1998

      15 Leedy,P.D, "Practical research:Planning and design" Merrill Princeton Hall 1997

      16 Lincoln,Y.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17 Lovitts,B.E, "Leaving the ivory tower: the cause and consequences of departure from doctorial stud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1

      18 Hall,L.A, "Identity development and mentoring in doctoral education" 79 (79): 49-70, 2009

      19 Denzin,N.K.,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1994

      20 Gansemer-Topf, A. M, "Graduate and professional student development and student affairs" 115 : 19-30, 2006

      21 Kerlinger,F.N, "Foundations of behavioral research" Holt, Rinehart & Winston 1986

      22 Gardner,S.K, "Fitting the mold of graduate school: A qualitative study of socialization in doctoral education" 33 (33): 125-138, 2008

      23 Bieber,J.P., "Conceptualizing the academic life: Graduate students' perspectives" 77 (77): 1009-1035, 2006

      24 송창용, "2008년 미래의 직업세계 인프라 구축:박사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5-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35 1.58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