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순천만국가정원의 생태미학적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140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순천만국가정원(이하 순천만정원)의 고유성에 대한 철학적 고찰은 생태적 삶의 추구 라는 가치를 중심에 놓고 이루어져야 한다. 순천만 정원이 생겨난 이유가 거기에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순천만국가정원(이하 순천만정원)의 고유성에 대한 철학적 고찰은 생태적 삶의 추구 라는 가치를 중심에 놓고 이루어져야 한다. 순천만 정원이 생겨난 이유가 거기에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뵈메(G. Böhme)에 따르면, 생태적 삶의 추구라는 가치는 생태미학적 (ecoaesthetic) 관점을 취할 때 그 의의가 제대로 드러날 수 있다. 생태미학적 관점이란 우리가 ‘인간은 자연 속에서 자연과 함께 살아가야 하는 존재’라는 사실을 몸으로 감지하 는 가운데 자연을 경험하고 더 나아가 자연을 바라보는 관점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이 필요한 이유는 그렇지 않을 경우, 생태적 삶을 추구하는 것이 그 의도와 달리 종종 일상 의 삶과 동떨어진 자연과학적 성과물에 의존하는 삶을 사는 것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요컨대 순천만 정원의 고유성에 대한 철학적 고찰은 생태미학적 관점에 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입장에서 순천만정원의 고유한 정체성을 언급해 보자면 그 핵심은 다음과 같다. 순천만 정원은 세계 정원 구역의 중심에 위치한 순천 호수 정원과 그것을 둘러싼 세계 정원들의 비대칭적 공존 속에서, 또 동천을 중심으로 동·서로 구분되는 영역의 비대칭적 공존 속에서 생태적 삶의 의미를 감지하게 해주는 데서 일차적으로 그 고유성 이 확인된다. 이와 같은 순천만정원에서 경험하게 되는 자연은 뵈메가 말하는 영국정에서 경험되는 자연과 마찬가지로 풍경처럼 우리 앞에 펼쳐진다. 그곳에서 경험하게 되 는 자연미는 특정인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곳을 방문한 사람 누구에게나 개방된 자연미다. 그렇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순천만 정원을 순천만 습지까지 확장 해서 파악할 때 그곳의 고유한 정체성이 제대로 드러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순천만정원 은 순천만 습지를 매개로 해서만 ‘순천만 사람들이 일상의 삶 속에서 생태미학적 자연을 경험하는 공간’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순천만정원에 관한 인문학적 논의를 하고자 할 경우 순천만정원과 순천만 습지간의 매개적 관계를 잘 숙지하고 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그 논의가 부지불식간에 순천만정원의 고유한 정체성을 훼손하거나 혹은 순천만정원의 존립 자체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n the inherent identity of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SBNG) should be centered on the pursuit of ecological life. This pursuit is the reason for the establishment of SBNG. According to G. Böhme, the value of ecolog...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n the inherent identity of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SBNG) should be centered on the pursuit of ecological life. This pursuit is the reason for the establishment of SBNG. According to G. Böhme, the value of ecological life can reveal its significance when it comes to ecoaesthetic views. The ecoaesthetic perspective refers to the view that humans experience and see nature, feeling through their bodies the fact that humans are supposed to live in nature and with nature. The reason why this view is necessary is that the ecological life often changes into a life that depends on the results of natural sciences, contrary to the original intention. In summary,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n the inherent identity of SBNG should be done, based upon the ecoaesthetic viewpoint. In this context, the core of the inherent identity of SBNG is as follows: The inherent identity of SBNG is primarily validated through the asymmetric coexistence of the Suncheon Lake Garden and the world gardens around it. The nature that we experience in SBNG is to unfold in front of us like landscapes (like nature in the English gardens spoken by Böhme). The natural beauty in SBNG is not the beauty that can be only experienced by a specific person, but the one that opens up to anyone who visits there. More important, however, the inherent identity of SBNG can be fundamentally revealed when the area of SBNG extends to Suncheon Bay Wetland Reserve. It can be sure via Suncheon Bay Wetland Reserve that SBNG is entitled to be called the space where people living around Suncheon Bay ecoaesthetically feel and see nature every da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SBNG and Suncheon Bay Wetland Reserve in a discourse of humanities on SBNG. Otherwise, it could be a factor inadvertently undermining the inherent identity of the SBNG or the existence of the SBNG in itself.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근대적 자연관의 붕괴와 생태미학적 자연관의 요구
      • Ⅲ. 생태미학적 자연관과 정원
      • Ⅳ. 순천만정원과 생태미학적 삶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근대적 자연관의 붕괴와 생태미학적 자연관의 요구
      • Ⅲ. 생태미학적 자연관과 정원
      • Ⅳ. 순천만정원과 생태미학적 삶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광진, "한국소설에 나타난 순천만 정원의 배경적 의미 - 김승옥의 <무진기행>을 중심으로" 남도문화연구소 (31) : 131-156, 2016

      2 방현석, "하늘이 내린 정원 순천만" 도서출판 아시아 2013

      3 김진섭, "픽처레스크 정원에 나타난 촉지적 지각 - 18세기 영국 픽처레스크 정원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4 (44): 37-51, 2016

      4 성춘자, "지역정체성과 자연의 사회적 구성에 관한 고찰 -순천만국가정원을 대상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5 (25): 75-89, 2015

      5 황주영, "이론과 실천의 대화: 정원이론서를 통해 본 프랑스 형식주의 정원의 발달" 미술사학연구회 (44) : 237-258, 2015

      6 석연경, "순천정원 시에 나타난 생태의식" 남도문화연구소 2016

      7 이현주, "순천시의 생태도시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관한 연구 - 2013 순천만 정원박람회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1 (11): 83-94, 2013

      8 유동환, "순천만국가정원의 장소성 구축을 위한 공간스토리텔링 연구 - 오래된 상상력을 체화(embodiment)하는 새로운 낙원" 남도문화연구소 (31) : 157-186, 2016

      9 윤주옥, "순천만국가정원 1년, 성과와 과제" 남도문화연구소 2016

      10 장선국, "순천만 수질환경의 계절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 12 (12): 47-57, 2010

      1 안광진, "한국소설에 나타난 순천만 정원의 배경적 의미 - 김승옥의 <무진기행>을 중심으로" 남도문화연구소 (31) : 131-156, 2016

      2 방현석, "하늘이 내린 정원 순천만" 도서출판 아시아 2013

      3 김진섭, "픽처레스크 정원에 나타난 촉지적 지각 - 18세기 영국 픽처레스크 정원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4 (44): 37-51, 2016

      4 성춘자, "지역정체성과 자연의 사회적 구성에 관한 고찰 -순천만국가정원을 대상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5 (25): 75-89, 2015

      5 황주영, "이론과 실천의 대화: 정원이론서를 통해 본 프랑스 형식주의 정원의 발달" 미술사학연구회 (44) : 237-258, 2015

      6 석연경, "순천정원 시에 나타난 생태의식" 남도문화연구소 2016

      7 이현주, "순천시의 생태도시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관한 연구 - 2013 순천만 정원박람회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1 (11): 83-94, 2013

      8 유동환, "순천만국가정원의 장소성 구축을 위한 공간스토리텔링 연구 - 오래된 상상력을 체화(embodiment)하는 새로운 낙원" 남도문화연구소 (31) : 157-186, 2016

      9 윤주옥, "순천만국가정원 1년, 성과와 과제" 남도문화연구소 2016

      10 장선국, "순천만 수질환경의 계절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 12 (12): 47-57, 2010

      11 김준선, "순천만 국가정원의 역사와 의의" 남도문화연구소 (31) : 457-474, 2016

      12 김용철, "순천만 국가정원의 공간적 특성" 남도문화연구소 (29) : 277-298, 2015

      13 장성국, "순천만 갯벌의 입도조성 및 유기물 분포특성"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3 (13): 198-205, 2010

      14 양지나, "생태-현시적 개념을 적용한 폐염전 공원화 설계 - 순천만 장산지구를 중심으로" 서울대 환경대학원 2015

      15 채의병, "사람이 만든 정원 2013 순천만 국제 정원박람회" 도서출판 아시아 2013

      16 최준호, "바움가르텐 미학과 행복한 미학적 인간" 중앙철학연구소 40 : 95-125, 2015

      17 배주희, "도시를 열다: 순천, 대한민국 정원문화의 발상지가 되다" 대한지방행정공제회 (563) : 2015

      18 우경숙, "‘정원’의 시대적 정의에 관한 연구 - 문헌연구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44 (44): 1-11, 2016

      19 Baumgarten, A. G., "Ästhetik" Felix Meiner 2007

      20 황주영, "ut pictura hortus: 18세기 영국 풍경식 정원에 관한 연구" 미술사학연구회 (26) : 179-202, 2006

      21 Böhme, Gernot, "Für eine ökologische Naturästhetik" Suhrkamp 1989

      22 Böhme, Gernot, "Das Andere der Vernunft" Shurkamp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2 0.64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