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수확후 배 푸른곰팡이병을 일으키는 Penicillium속의 종류 및 특성 =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enicillium spp. Isolated from Postharvest Decay of Pe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010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수확 후 피해를 주는 Penicillium속의 병원체를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여러 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 중 배에서 분리한 198균주는 상처 접종과 무상 접종에서 병반을 형성하여 병원성이 있었으...

      수확 후 피해를 주는 Penicillium속의 병원체를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여러 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 중 배에서 분리한 198균주는 상처 접종과 무상 접종에서 병반을 형성하여 병원성이 있었으며, 균총 크기와 형태, 색, 배지뒷면 색소와 포자형태 등의 특성에 따라 15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분리한 균주들은 배양·형태적·생리적 특성에 따라 P. expansum, P. solitum, P. crustosum 등 3종으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균주들의 병원성 검정 결과 저온에서 상처접종이 무상접종 보다 병원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P. expansum이 저장 배 과실에 대해 가장 병원성이 강하였고, P. solitum과 P. crustosum은 약한 편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causal pathogens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Penicillium spp. isolated from postharvest decay of pear. One hundred and ninety eight Penicillium spp. were isolated from infected pear fruits. The l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causal pathogens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Penicillium spp. isolated from postharvest decay of pear. One hundred and ninety eight Penicillium spp. were isolated from infected pear fruits. The lesions were formed when the isolated pathogen were inoculated into the wounds and unwounds of pear fruit. Total isolates were classified into 15 groups by the size, color, pigment of colony and shape of conidia. These isolates were identified to be P.expansum, P.solitum, and P.crustosum according to the types of morphological, cultur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athogenicity was higher in wound inoculation at low temperature than unwound one. This result confirmed that wound promoted the disease appearance. P.expansum was appeared to have the most strong virulence, whereas P.solitum and P.crustosum were classified as weak virulent species by pathogenicity test on pear frui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38 0.6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