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突然變異 誘起에 依한 大豆 品種改良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003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실험은 대두품종 장단백일과 Clark의 건조종자에 λ 선, EMS, EI, 및 λ 선과 화학약품과의 조합처리로써 조열, 내도복, 고단백, 다수성 등 유용한 돌연변이계통을 선발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는�...

      본실험은 대두품종 장단백일과 Clark의 건조종자에 λ 선, EMS, EI, 및 λ 선과 화학약품과의 조합처리로써 조열, 내도복, 고단백, 다수성 등 유용한 돌연변이계통을 선발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는데 기초자료로써 처리상대의 돌연변이유기물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1. λ 선의 조사는 장단백일에서 선량증가에 따라 발아 및 생잔율에 큰 장해를 주었으나 Clark에서는 일정한 경향을 찾아 볼 수 없었다. EH한 초장에 있어서는 양 품종 모두 선량이 증가 할수록 고도의 유의성이 있는 생장장해를 보였다. 2. Chemical mutagens을 처리한 경우는 양 품종 똑같이 Ei의 농도가 증가함에 유의성있게 발아율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EI의 0.003 Mol. 농도에선 아주 극심한 장해를 나타내고 있다. EMS처리는 발아와 생잔율에 유의성있는 변화를 주지 못했으나 초장에서 장단백일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생육장해가 나타났다. Clark에선 일정한 경향을 찾아 볼 수 없었다. 3. λ 선 24KR과 FMS 각 농도를 조합처리한 것은 EMS 단독처리 보다 유의하게 발아율이 떨어졌으며 EI과의 조합처리구에서는 λ 선 24KR+EI 0.002 Mol을 제외한 각조합처리의 발아율은 EI 단독처리보다 오히려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생잔율에서는 뚜렷한 경향을 찾지 못하였으나 초장에선 λ -선 24KR+EMS 각 농도조합과 그 단독처리구를 비교할 때, 양 품종 모두 고도의 유의차로 조합처리가 생육장해정도를 크게 나타냈다. EI와 λ -선 조합처리가 저농도에서는 초장의 감소를 나타냈으나 λ -선24KR+EI 0.008Mol. 처리구에선 장단백일의 파종후 21일만 제외하고 단독처리구 보다 초장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4. 일반적으로 본 실험에선 발아율과 생잔율이 EMS 단독 및 λ -선+EMS 처리구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았으며 EI 및 λ -선+EI 처리구에선 그 고농도구에서 발아율을 감소시켰으나 초장에 나타나는 생육장해는 적었고 오히려 촉진되는 경향도 있었다. 5. 발아율, 생잔율 및 초장을 기준으로 한 감수성을 비교해 보건데 대체적으로 장단백일은 Clark에 비해 매감하였으며 이는 그 감수성이 유전인자구성에 따라 크게 차이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In order to obtain useful mutants such as early maturity, resistance to lodging, high protein and oil content, and capability of high yield, dormant seeds of two soybean varieties, Jang Dan Baik Mok and Clark, were treated with ~gamma -ray, Ethyl M...

      1. In order to obtain useful mutants such as early maturity, resistance to lodging, high protein and oil content, and capability of high yield, dormant seeds of two soybean varieties, Jang Dan Baik Mok and Clark, were treated with ~gamma -ray, Ethyl Methane Sulfonate(EMS), Ethylene Imine(EI)and combinations of ~gamma -ray and EMS or EI. 2. The germination rate and survival rate in a variety Jang Dan Baik Mok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gamma -ray treatment while it was not the same in the Clark variety. A significant decrease for seedling height measured at 14 and 21 days after sowing was found with the increase of ~gamma -ray dose in both varieties. 3. Germination rates in both varieti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EI concentration increases, particularly severe damage in germination was observed at 0.008 Mo. concentration. Germination rate damages were found with EMS concentration increases in the variety Jang Dan Baik Mok while no regular responses in seedling height were observed in the variety Clark. 4. Germination rate was significantly lowered with the combined treatment of EMS and ~gamma -ray 24KR than that of EMS alone. In the treatments of ~gamma -ray with three levels of EI concentration, the combined treatments except 24KR+EI 0.002 Mol. resulted in better germination than of EI alone. In both varieties, significant reduction in seedling height was observed in the combined treatments of ~gamma -ray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EMS, whereas stimulation effect on seedling height was found with treatment of ~gamma -ray EI +0.08Mol. 5. Germination rate, survival rate, and plant height as criteria of radio sensitivity, variety Jang Dan Baik Mok is moze sensitive to ~gamma -ray, EMS, and EI than the variety Clark, and the varietal difference in responsibility to mutagen may be due to the genetic-constitution of the varieti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