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정몽주 숭모 양상 고찰 : 국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atterns of Admiring Jeong Mong-Ju in Joseon Dynasty: Focus on the Kings of Jos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964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포은집』 등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포은 숭모 양상을 고찰하는 한편 이를 다시 개인 차원의 숭모, 국가 차원의 숭모, 가문대상의 숭모로 구분...

      이 논문은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포은집』 등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포은 숭모 양상을 고찰하는 한편 이를 다시 개인 차원의 숭모, 국가 차원의 숭모, 가문대상의 숭모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 전기의 성종과 중종, 조선후기의 선조와 숙종 그리고 영조 등은 조선의 기틀을 세우고 국난으로 무너진 기강을 재건하는데 있어서 그리고 유교국가로서 조선의 정체성을 강조하기 위해 정몽주 숭모에 남다른 정성을 드렸다고 할 수 있으나 조선 태종대 이후 역대 국왕 중에 개인 차원의 숭모, 국가 차원의 숭모, 가문대상의 숭모를 수행하지 않은 왕은 없음을 밝혔다. 본고에서는 조선시대의 대표적 가치인 충절과 유학의 표상인 정몽주 가문을 유지 존속시키고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치제를 수행한 조선 역대 국왕의 숭모행위가 특정 국왕의 개별적 행위라기보다는 조선이라는 국가유지를 위해 수행해야 할 역대 조선국왕의 기본적인 업무였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atterns of admiring Poeun among the kings of Joseon and classified them into admiration at the individual, national, and family level with a focus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Seungjeongwonilgi and Poeunjip. ...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atterns of admiring Poeun among the kings of Joseon and classified them into admiration at the individual, national, and family level with a focus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Seungjeongwonilgi and Poeunjip. The findings show that Kings Seongjong and Jungjong in the former part of Joseon and Kings Seonjo, Sukjong, and Yeongjo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put their whole minds to the admiration of Jeong Mong-ju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Joseon, rebuild the discipline that fell due to a national crisis, and emphasize Joseon s identity as a Confucian state. Since King Taejong, all the kings of Joseon admired Jeong at the individual, national, and family level.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the kings of Joseon engaged in the act of admiring Jeong Mong-ju, who represented loyalty, one of Joseon s representative values, and was a model of Confucianism, by keeping and maintaining his family and supporting his memorial service with financial aids as part of their basic duties as a king of Joseon to maintain the state rather than a personal practice by certain king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조선전·후기 숭모 양상 3. 숭모 양상 분류 4. 숭모의 의미-결론을 대신하여
      • 1. 서론 2. 조선전·후기 숭모 양상 3. 숭모 양상 분류 4. 숭모의 의미-결론을 대신하여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순석, "포은종가의 계승과 세거지" 포은학회 11 : 1-43, 2013

      2 포은학회, "포은선생집 속록" 한국문화사 2007

      3 포은학회, "포은선생집" 한국문화사 2007

      4 이민홍, "포은(圃隱)과 포은학(圃隱學)의 성립과 서원향사(書院鄕祠)" 포은학회 20 : 5-34, 2017

      5 윤정, "태종대 정몽주 추증(追贈)의 정치사적 의미 - 조선 창업 과정에 대한 명분적 정리 -" 포은학회 23 : 7-52, 2019

      6 정연학, "조선시대 포은(圃隱) 정몽주 치제의례(致祭儀禮)" 포은학회 23 : 155-206, 2019

      7 김호동, "조선 전기 실록 사료에 나타난 鄭夢周像" 포은학회 6 : 63-98, 2010

      8 안장리, "정몽주(鄭夢周) 문집의 증보추이 고찰 -교서관본, 영천초각본, 개성재각본, 속집본 등을 중심으로-" 포은학회 19 : 73-94, 2017

      9 이수환, "북한 지역의 서원·사우 현황과 숭양서원의 위상" 포은학회 24 : 29-71, 2019

      10 迎日鄭氏世譜廳, "迎日鄭氏世譜 12冊" 회상사 1981

      1 홍순석, "포은종가의 계승과 세거지" 포은학회 11 : 1-43, 2013

      2 포은학회, "포은선생집 속록" 한국문화사 2007

      3 포은학회, "포은선생집" 한국문화사 2007

      4 이민홍, "포은(圃隱)과 포은학(圃隱學)의 성립과 서원향사(書院鄕祠)" 포은학회 20 : 5-34, 2017

      5 윤정, "태종대 정몽주 추증(追贈)의 정치사적 의미 - 조선 창업 과정에 대한 명분적 정리 -" 포은학회 23 : 7-52, 2019

      6 정연학, "조선시대 포은(圃隱) 정몽주 치제의례(致祭儀禮)" 포은학회 23 : 155-206, 2019

      7 김호동, "조선 전기 실록 사료에 나타난 鄭夢周像" 포은학회 6 : 63-98, 2010

      8 안장리, "정몽주(鄭夢周) 문집의 증보추이 고찰 -교서관본, 영천초각본, 개성재각본, 속집본 등을 중심으로-" 포은학회 19 : 73-94, 2017

      9 이수환, "북한 지역의 서원·사우 현황과 숭양서원의 위상" 포은학회 24 : 29-71, 2019

      10 迎日鄭氏世譜廳, "迎日鄭氏世譜 12冊" 회상사 1981

      11 "蔭譜 건곤 2책"

      12 박용만, "英祖의 御製詩文에 나타난 圃隱에 대한 認識" 포은학회 7 : 99-121, 2011

      13 박용만, "肅宗御製에 나타난 圃隱에 대한 인식" 포은학회 10 : 119-141, 2012

      14 조준호, "朝鮮時代 鄭夢周 祭享書院의 建立 推移와 性格" 포은학회 6 : 99-117,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7 0.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