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누리 상품권과 신용카드가 전통시장내 소상인들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Onnuri Gift Certificate and Credit Card Use on the Performances of Small Business in Traditional Marke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소상인들은 대형유통업체의 시장잠식과 고령화로 인하여 점차 도태되고 있으며, 간편결제를 비롯한 최근 상거래 환경의 변화는 소상인들의 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홍...

      소상인들은 대형유통업체의 시장잠식과 고령화로 인하여 점차 도태되고 있으며, 간편결제를 비롯한 최근 상거래 환경의 변화는 소상인들의 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홍의락 의원을 비롯한 11인은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의안번호 11703)』을 발의하였다. 이는 간편결제시스템으로 대표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전자금융거래를 소상인들에게 도입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상공인 전용 상품권 지원과 현대화된 상거래 시스템에 대한 정부지원이 전통시장 활성화에기여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려 한다. 이를 위하여 소상공인 전용 상품권 도입에 앞서 전통시장 전용 상품권인 온누리 상품권에 대한 효과성을 살펴보고 소상공인 전용 상품권 도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들과 달리 전통시장내 소상인 점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전통시장이라는 지리적 범위내 소상인들의 성과를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전자금융거래 시스템이 소상공인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하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2018)의 원자료에서 온누리 상품권 및 카드결제 관련된 변수들을 추출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온누리 상품권과 카드결제 및 POS 시스템이 소상공인들의 매출액과 방문고객 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외 카드결제의 경우 소상공인들의 매출액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방문고객 수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상공인 전용상품권 및 온누리 상품권에 대한 정책 제언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온누리 상품권이 정책 목표에 부합하여 효과적으로 전통시장 소상공인들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형태의 상품권 도입이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는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간편결제 서비스의 활성화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의 실무적,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아직 도입되지 않은 소상공인 전용 상품권에 대한 실무적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학문적으로는 온누리 상품권과 전통시장 지원의 효과성을 개별 점포단위로 분석하여 전통시장 지원의 효과성 관련 연구에 일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mall business are gradually culling due to market downturn and aging of large retailers. In particular, recent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including Simple Payment Service, have made it more difficult for small business. Therefore, a group ...

      Small business are gradually culling due to market downturn and aging of large retailers. In particular, recent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including Simple Payment Service, have made it more difficult for small business.
      Therefore, a group of eleven people, including members of Hong, initiated a bill to amend to Act on the Protection and Support of Small Businesses (bill number 11703). The amendment bill is intended to support the introduction and use of electronic commerce systems and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represented by simple payment systems by small business owners. One of the means for this is the issuance and distribution of mobile electronic vou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onnuri gift certificates, which are exclusive to traditional market, and to discuss the necessity of introduction of exclusive gift certificates for small business owner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ffects of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on small business.
      As a result, onnuri vouchers, card payment, and POS system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ales of small business owners and the number of visiting customers. However, in the case of overseas card settlement, it affects the sales of small business owners positively, but it does not affect the number of visiting customers. Based on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ed the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exclusive gift certificate for the small business owners and the onnuri gift certificate.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prac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s limitations of research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지은, "화폐의 명칭에 따른 프레이밍의 변화: 상품권 프레이밍과 할인권 프레이밍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30 (30): 71-88, 2015

      2 박수용, "중소기업경영자의 긍정적 리더십, 구성원의 긍정적 삶의 태도, 학습조직활동, 직무열의, 조직성과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유통과학회 13 (13): 113-131, 2015

      3 이덕훈, "정부의 전통시장 지원정책이 시장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구・대전의 도시지역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26 (26): 2337-2360, 2013

      4 김유오,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상품권 유통방안에 관한 소고 - 전통시장 상품권을 중심으로 -" 한국유통과학회 7 (7): 37-46, 2009

      5 조광익,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비교 - 관광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인가, 전통시장의 관광상품화인가? -" 관광연구소 26 (26): 157-187, 2014

      6 김준식, "전통시장 활성화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28 (28): 65-87, 2012

      7 중소기업청,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2016년 1.1조 원 팔려- 설 맞이 온누리상품권 개인 50만 원 할인한도 상향 판매 실시" 2017

      8 김현, "전통시장 수요모형에 관한 연구 - 선택속성과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학회 26 (26): 25-39, 2010

      9 김영기, "전통시장 개념 및 분류체계 재정립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과학회 9 (9): 83-95, 2011

      10 박봉두, "재래시장 경쟁력 구성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12 (12): 17-48, 2007

      1 구지은, "화폐의 명칭에 따른 프레이밍의 변화: 상품권 프레이밍과 할인권 프레이밍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30 (30): 71-88, 2015

      2 박수용, "중소기업경영자의 긍정적 리더십, 구성원의 긍정적 삶의 태도, 학습조직활동, 직무열의, 조직성과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유통과학회 13 (13): 113-131, 2015

      3 이덕훈, "정부의 전통시장 지원정책이 시장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구・대전의 도시지역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26 (26): 2337-2360, 2013

      4 김유오,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상품권 유통방안에 관한 소고 - 전통시장 상품권을 중심으로 -" 한국유통과학회 7 (7): 37-46, 2009

      5 조광익,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비교 - 관광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인가, 전통시장의 관광상품화인가? -" 관광연구소 26 (26): 157-187, 2014

      6 김준식, "전통시장 활성화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28 (28): 65-87, 2012

      7 중소기업청,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2016년 1.1조 원 팔려- 설 맞이 온누리상품권 개인 50만 원 할인한도 상향 판매 실시" 2017

      8 김현, "전통시장 수요모형에 관한 연구 - 선택속성과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학회 26 (26): 25-39, 2010

      9 김영기, "전통시장 개념 및 분류체계 재정립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과학회 9 (9): 83-95, 2011

      10 박봉두, "재래시장 경쟁력 구성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12 (12): 17-48, 2007

      11 신승만, "외식업 자영업자의 배달앱 서비스 이용실태 및 수수료의 적정수준에 대한 정책탐색 연구" 한국유통경영학회 18 (18): 41-50, 2015

      12 김영국, "외식 소셜커머스의 서비스편의성과 지각된 가치가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7 (37): 83-102, 2013

      13 김서연, "외식 모바일 커머스의 서비스 편의성이 지각된 서비스 가치, 고객만족, 그리고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학회 11 (11): 7-23, 2015

      14 임병인, "온누리상품권의 전통시장 활성화 효과 분석" 한국중소기업학회 37 (37): 105-121, 2015

      15 서근하, "영세 소상공인 조직화에 대한 직능업종별 차이분석과 경영성과" 한국유통과학회 9 (9): 111-122, 2011

      16 최신혜, "소상인 점포 이용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VALS)이 구전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과학회 15 (15): 61-72, 2017

      17 이철성, "소상인 디지털 전환 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과학회 16 (16): 89-99, 2018

      18 우대일,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의 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소상공인 지원제도를 중심으로" 2 (2): 95-110, 2011

      19 류태창, "소도읍지역 경제활성화를 위한 지역밀착형 전통시장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16 (16): 103-122, 2011

      20 이학식,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회귀분석" 집현재 2012

      21 이철성,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과 소상인 지원방안 : 외식업을 중심으로" 2017

      22 이동길, "국내 전통산업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40 (40): 67-77, 2017

      23 손희영, "‘온누리-Money’와 ‘KC-Pass(Korean Culture Pass)’를 활용한 온누리상품 활성화 방안 연구" 9 (9): 25-40, 2016

      24 Grewal, Dhruv, "The Future of Retailing" 93 (93): 1-6, 2017

      25 Inman, J. Jeffrey, "Shopper-Facing Retail Technology : A Retailer Adoption Decision Framework Incorporating Shopper Attitudes and Privacy Concerns" 93 : 17-28, 2017

      26 Helion, Chelsea, "Gift Cards and Mental Accounting : Green-Lighting Hedonic Spending" 27 (27): 386-393, 2014

      27 이철성, "DEA모형을 이용한 전통시장 효율성 분석" 한국물류학회 27 (27): 15-25, 2017

      28 김순홍, "DEA를 활용한 전통시장 지원정책의 효율성과 고객유치 활성화 방안" 16 (16): 43-61, 2011

      29 Feinberg, Richard A., "Credit Cards as Spending Facilitating Stimuli : A Conditioning Interpretation" 13 (13): 348-356, 1986

      30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2017년 통합 정기공시보고서" 2018

      31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2016년 전통시장, 상점가 및 점포경영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view -> 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3-1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통정보학회지 -> 유통경영학회지
      외국어명 :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Information Review ->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view
      KCI등재
      2010-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통정보학회 -> 한국유통경영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2 1.25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